창세기속의 예수 그리스도 제 1 부 창세기 속의 예수 그리스도 창세기 21장 그분은 약속된 아브라함의 씨이십니다
  • 1
  (143.1)
 구속사의 대사건은 위대한 과학적 발명이나 거대한 건축물을 세우는 것이 아니다. 인간 기술의 놀라운 발전도 아니다. 바벨탑 사건을 통해서 온 땅으로 흩어진 이 땅에 희망의 전달자로 아브라함이 소명을 받았고, 드디어 기다리던 아브라함의 씨가 태어났다. 이삭은 아브라함 가정에 웃음을 안겨주었을 뿐 아니라 온 세상에 기쁨을 가져다 줄 메시아의 생명 계보를 이었다. (143.2)
 이삭 예수의 표상
여호와께서 말씀하신 대로 사라를 돌보셨고 여호와께서 말씀하신 대로 사라에게 행하셨으므로 사라가 임신하고 하나님이 말씀하신 시기가 되어 노년의 아브라함에게 아들을 낳으니 아브라함이 그에게 태어난 아들 곧 사라가 자기에게 낳은 아들을 이름하여 이삭이라 하였고(창세기 21:1-3).
(143.3)
 큰 기쁨의 소식. 돌보셨고로 번역된 히브리어 ‘파카드’(פָּקַד 돌보다, 방문하다)는 히브리어 중에서 번역하기가 매우 까다로운 단어이다. 이것은 높은 자가 낮은 자를 돌아보는 것을 가리키며, 그 결과로 낮은 자가 처한 상황에 획기적인 변화가 일어날 때 쓰인다.1 몸이 죽은 것 같은 아브라함과 태가 죽은 것 같은 사라가 아들을 낳았다(롬 4:19). 전능하신 하나님에 대한 믿음에 하나님은 약속의 말씀을 따라 신실하게 갚아주셨다. 태가 죽은 것 같은 사라에게서 기적의 아이가 태어난 것처럼 처녀에게서 예수님이 탄생하셨다. 하나님이 말씀하신 시기가 되어 이삭이 태어난 것처럼(창 21:2. 참조, 창 18:14) 선지자 다니엘을 통해 예언한 시기에 예수께서 이 땅에 출현하셨다(단 9:24-25). (143.4)
 ‘아브라함에게 아들을 낳으니.’(창 21:2). 이삭이 아브라함의 후손인 것처럼 예수님은 신약성경 맨 처음에 ‘아브라함과 다윗의 자손 예수 그리스도의 계보’로 소개 되신다(마 1:1). 이삭이 난지 팔일 만에 할례를 받았던 것처럼 예수님도 팔일 만에 할례를 받으셨다(창 21:4; 눅 2:21). 아들이 태어나자 사라가 기쁨을 표현했던 것처럼 메시아의 잉태 때에 메시아의 선구자인 침례 요한의 어머니 엘리사벳과 마리아가 기뻐하며 찬송하였다(창 21:6-7; 눅 1:41-45, 46-55). (144.1)
 ‘듣는 자가 다 나와 함께 웃으리로다.’(창 21:6). 사라는 이삭의 출생이 공공연하게 선포되기를 원했다. 주님의 탄생도 온 땅에 선포될 것이었다. 베들레헴의 목자들에게 천사들은 외쳤다. ‘지극히 높은 곳에서는 하나님께 영광이요 땅에서는 하나님이 기뻐하신 사람들 중에 평화로다.’(눅 2:14).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은 한 가문의 경사가 아니라 온 우주가 크게 기뻐해야 할 복음 중의 복음이다. (144.2)
 기적 중의 기적
또 이르되 사라가 자식들을 젖먹이겠다고 누가 아브라함에게 말하였으리요마는 아브라함의 노경에 내가 아들을 낳았도다 하니라(창세기 21:7).
(144.3)
 육체적, 생리적으로 불가능한 중에 아브라함과 사라에게 아들이 태어났다. 이것은 태의 죽은 것 같은 데서 태어났기에 부활의 열매와 같다. 기독교 신앙은 기적 없이는 존재할 수 없다. 무에서 유의 창조가 기적이며, 창세기 부조들의 역사가 그러하듯 불임 부부에게 자손이 태어나는 것도 창조주께서 행하시는 기적이다. 이스라엘 민족의 생성 초기에 기적이 존재했다. 출애굽은 또 하나의 기적으로 홍해를 건넘으로 그들은 죽음에서 부활하는 하나님의 은총을 옷 입었다. 예수님의 동정녀 탄생이 기적임과 같이 죄와 사망의 권세 아래 사는 이 땅의 백성이 성령으로 거듭나는 것도 마찬가지로 기적이요 하나님의 전적인 은혜이다. 예수님은 문둥병자를 고치시고, 죽은 자를 살리셨다. (144.4)
 하늘나라는 기적의 나라이다. 기적 중의 최고의 기적은 우리의 옛 사람이 날마다 죽고 날마다 새 사람이 되어 궁극적으로 하나님의 영광의 왕국에서 왕과 제사장으로 하나님과 어린 양을 섬기는 것이다. (145.1)
 이삭과 이스마엘, 믿음의 의와 행함의 의
사라가 본즉 아브라함의 아들 애굽 여인 하갈의 아들이 이삭을 놀리는지라. 그가 아브라함에게 이르되 이 여종과 그 아들을 내쫓으라. 이 종의 아들은 내 아들 이삭과 함께 기업을 얻지 못하리라 하므로(창세기 21:9-10).
(145.2)
 이삭과 이스마엘의 운명은 창세기 21장 뿐 아니라 신약에서도 대조를 이룬다(갈 4:22-31). (145.3)
 아브라함의 씨 중에 이삭은 약속을 따라 태어났고(롬 9:7). 성령을 따라 하늘 예루살렘 시민으로 태어난 은혜로 구원 받은 그리스도인과 방불하다(갈 4:26, 29). 여종의 아들인 이스마엘은 육체를 따라 태어난 자로(갈 4:29-30) 진정한 아브라함의 씨라고 볼 수 없으며(롬 9:7) 천국을 유업으로 얻을 수 없는 율법주의자와 같다(갈 4:24, 30). (145.4)
 이삭과 이스마엘은 종교의 두 형태,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와 행함으로 말미암는 의를 대표한다. 종의 아들이 자유자의 아들을 희롱했던 것처럼창 21:9 예수님의 공로를 전적으로 신뢰하는 사람들이 자신의 공로를 높이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희롱을 당하는 일이 끊임없이 발생한다. (145.5)
 참고 문헌
 1. Gerhard F. Hasel, The Remnant: The History and Theology of the Remnant Idea from Genesis to Isaiah, Andrews University Monographs: Studies in Religion (Berrien Springs, MI: Andrews University, 1980), 731쪽. (146.1)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