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별 천연치료 질병별 천연치료 결막염(Conjunctivitis)
  • 1
 I. 설명
 결막염은 안구 결막에 생기는 염증을 말한다. 결막은 눈까풀 안쪽 표면에 깔려있는 점막으로 안구 표면을 덮고 있다. 염증은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또는 물리적 및 화학적 상해로 생길 수 있다. 급성 박테리아성 결막염은 때때로 유행성 결막염 (pinkeye or sore eyes)이라고도 한다. 전염성이 아주 강하여 종종 일련의 학생들에게 무더기로 발생하기도 한다. 서반구에서는 가장 일반적인 안구 질환이다. (75.1)
 증상은 점막 출혈, 부종, 눈물과 불안, 그리고 눈곱이 끼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은 가늘고 물 같은 분비물이 나오고 알레르기에 의한 것은 끈끈한 분비물이 나오며 그리고 박테리아에 의한 것은 분비물에 고름이 섞여 나온다. 결막은 비교적 통증 섬유가 적어서 불편하고 긁적거리고 타는 듯한 감각이 특징이다. 알레르기에 의한 감염은 특히 가렵고 견디기가 쉽다. (75.2)
 II. 예방 및 치료
 1. 숯가루 습포를 안구 위에 밤새 놓아두고 아침에는 습포를 제거하고 폐기시킨다. (76.1)
 2. 낮에는 숯가루 물 세척제를 만들어 2시간 간격으로 4-5방울씩 감염된 눈에 떨어뜨린다. 세척 용액은 증류수 1컵에 1/4t 소금과 1t 숯가루를 넣어서 끓인 다음 고운 천에 여과시켜서 만든다. (76.2)
 3. 결막염의 급성 상태에서는 냉동시킨 숯 습포를 환부에 놓고 2-3간격으로 바꾸어주면서 30분 동안 계속한다. 30-60분 동안 쉬다가 다시 30분 동안 냉 숯 습포를 적용한다. (76.3)
 4. 눈에 사용할 만큼 적당한 크기로 만든 숯가루 주머니를 약탕기 위에 놓아 뜨겁게 한 숯 습포와 얼음 위에 놓아 차갑게 한 숯 습포를 가지고 온 습포 3분 냉 습포 30초로 적용하고 4-6회 반복한다. 2시간 간격으로 몇 차례 반복한다. (76.4)
 5. 설탕을 제거하고 저지방 음식을 사용한다. (76.5)
 6. 조금 어두운 곳이 좋으므로 빛을 차단하기 위해 숯 안대를 사용하거나 색안경을 사용한다. (76.6)
 7. 손을 자주 씻고 치료 용기나 습포는 소독을 철저하게 한다. 감염되지 않은 눈은 특히 관리를 잘 하고 손으로 비비거나 만지지 않도록 한다. (76.7)
 8. 스테로이드제(corticosteroids)는 눈의 저항력을 떨어뜨리므로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76.8)
 9. 눈은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에 대하여 피부보다 훨씬 더 민감하며 그래서 알레르기성 결막염이 흔하다. 나무 꽃가루, 풀, 잡초, 곰팡이, 집 먼지, 동물 비듬, 화학 물질이나 약품, 그리고 화장품 등은 알레르기를 일으키므로 과민성이 있는 자들은 이것들을 피해야 한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보통 계절을 타며 심하게 가렵고 눈물이 나고 부어오르기도 한다. 냉 습포는 완화에 도움이 된다. (76.9)
 10. 봄에 일어나는 결막염은 여러 해 동안 반복된다. 보통 사춘기 직전의 시기에 시작되며 또 봄에 시작하여 가을까지 계속된다. 알레르기의 역할이 크다. 온열치료가 유익하며 원적외선 온열매트를 70°C에 맞추고 구강 체온이 38.3°C까지 올라갈 때까지 40-60분 정도 적용한다. 구강 체온이 38°C 이상으로 올라가면 목과 얼굴과 이마에 냉 습포를 적용하고 자주 갈아준다. (76.10)
 11. 소금물로 눈에서 나오는 분비물을 씻어낼 수 있다. 증류수 5컵에 2t 소금을 타서 생리 식염수를 만든다. (77.1)
 12. NEWSTART 천연치료를 적절하게 적용한다(뉴스타트(NEWSTART) 천연치료 기본적용 참조). (77.2)
 13. 매일 30분-1시간 정도의 일광욕을 하고, 실내에서는 플 스펙트럼라이트를 사용하여 광선 치료를 적용한다. (77.3)
 14. 신속한 영양 균형을 위하여 스피룰리나(2개/day)와 청국장 가루(1T와 물 1/2컵/매 끼니)를 복용한다. (77.4)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