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챤의 결혼 언약 제 4 장 결혼 생활의 불화를 다루는 법 1. 결혼 생활의 불화의 원인들
 심리적 요인들
 성관계의 불화는 종종 태도, 긴장, 그리고 기분 전체의 관계에 영향을 끼친다. 어떤 부부는 그들의 부적합한 성관계가 전체 관계의 불일치로 이끌 때, 그들의 결혼 생활의 파산 요인을 빈약한 성적 조절의 탓으로 돌린다. 낮에 금전이나 자녀의 교육, 시가(또는 처가) 문제, 혹은 휴가나 여행 등으로 논쟁을 한 부부가 밤에 성 관계를 하는 분위기를 만든다는 것은 어렵다. 이것은 아내들에게 특별히 그럴 것이다. (133.1)
 쟈운씨(James Jauncey)는 주목을 끈다. “남편이 아내의 성적 욕구가 심리적인 요인에 매우 밀접히 관계되어 있다는 것을 아는 것은 중요하다. 만약 그가 어떤 경우에든지 비평하거나 불쾌하게 하면 그녀는 얼음같이 차가워진다. 일반적으로 그녀가 그의 팔짱을 끼기 전에 그는 우선 이 문제를 바로잡아 놓아야 한다.”2 성관계로 문제를 경험한 부부는 다른 분야의 차이점들이 그들의 성생활에 영향을 끼쳤는지를 살피기 위하여 그들 결혼 관계의 전체를 점검하여야 한다. (133.2)
 피곤
 다른 여러 요인들이 성관계에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한쪽 혹은 양편의 피곤은 그 원인들 중 하나이다. 스몰(Dwight H. Small)은 바르게 지적한다. “많은 그리스도인 부부들은 사랑을 나눌 시간 없이 생계에 몰두함으로 죄를 짓는다.”3 온종일 어린 자녀를 돌보느라고 지친 젊은 엄마는 성교를 위한 정력이나 욕망도 없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그들의 학업을 마치기 위해 열심히 일하며 공부하는 젊은 배우자들도 그럴 것이다. 학업과 일의 긴장은 성 기능에 불리한 영향을 끼칠 것이다. 만약 부부가 성적으로 원활함 없이 불안해할 경우 더욱 긴장하게 될 것이다. 그런 경우 사려 깊은 배우자는 성적 요구 없이도 긴장된 배우자에게 친밀하고 정이 두터운 친교를 베풀어야 할 필요가 있다. (134.1)
 남녀의 성적 욕구의 차이
 일반적으로 성관계의 다툼은 여자와 남자의 성적 욕구 간에 차이를 이해하지 못한 데서 그 원인이 있다. 간단히 말해서 남자가 육욕적인 면에 더욱 자극을 받는 반면, 여자는 성관계의 감정적이고 낭만적인 면에 의해 더욱 흥분을 느끼는 경향이 있다. 낭만적인 부드러움이 없는 것이 남자에게는 문제가 안 되나, 여자에게는 성적 욕구를 방해할 수 있다. 이것은 남편이 아내의 감정을 준비하지 않고 성을 요구할 때 부인은 사랑받는 것보다 “이용되는 것”으로 여겨서 불쾌하게 생각한다. (134.2)
 여자는 또한 남자들의 성욕보다 주기적인 경향이 있다. 성관계 후 여자는 며칠 동안 다시 관계를 하고자 하는 욕망을 가지지 않는다. 대신에 남자의 정욕은 계속적이다. 라헤이(Tim LaHaye)는 그의 저서 『결혼 행위』에서 남자의 정욕은 그의 능력과 관련되어 있음을 설명한다. “그의 가족의 진취적인 자, 부양자, 그리고 지도자가 되기 위함이다. 남편이 그의 진취적인 지도를 즐기고 있는 반면, 남편의 성적 욕구를 불쾌히 여기는 여자는 성적인 것은 물론 다른 것도 가질 수 없다는 사실을 직면해야만 한다.”4 (134.3)
 여자는 성교 전과, 그 동안, 그리고 후에 부드러움을 즐기는 반면 남자는 성교하는 동안 직접적인 오르가즘을 경험한다. 이 차이 점을 이해하는 것은 부부로 하여금 성관계의 불화와 불쾌히 여기는 것을 피하도록 도울 것이다. 무엇보다도 부부가 서로 사랑의 태도, 돌봄, 그리고 관심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는 자가 받는 자보다 복되다”(행 20:35)는 성서의 원칙은 성생활을 포함하여 결혼 생활의 모든 면에도 적용된다. (135.1)
 신뢰의 부족
 성관계의 충돌은 또한 신뢰의 부족의 결과이다. 부부가 서로 온전히 신뢰하지 않는 한 그들은 신체적 친밀함을 경험하기가 어렵다. 그 이유는 간단한데 육체적 친교가 감정적, 심리적 요인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호 신뢰가 부족할 때 감정적인 교제가 망가지며 육체적 사귐도 어렵게 되기도 한다. (135.2)
 지배하려는 싸움은 또한 성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부부가 서로를 다스리려 할 때 그들은 서로의 힘의 경쟁에서 성을 무기로 사용하려 할 것이다. 이것은 한쪽이 다른 편에게 성교에 응하기를 거절하거나, 의견 차이에서 오는 양보를 구하는 데 성을 사용할 때 발생한다. (135.3)
 빈약한 대화
 성관계의 많은 불화의 근원은 대화의 실패에 있다. 한쪽이 다른 편의 이야기를 들어보지도 않고 무엇을 기뻐하는지, 싫어하는지 알 수가 없다. 만약 부부가 만족한 성생활을 갖기를 원한다면 서로 그들의 필요와 소원을 공개적으로 이야기해야 한다. 남편으로 서는, 플란넬 잠옷차림과 헝클어진 머리가 아닌 매력적인 드레스 잠옷을 입은 아내와 함께 잠자리에 들기를 원할 것이다. 아내로서는, 면도하고 목욕도 한 남편과 잠자리를 함께 하길 원할 것이다. 그와 같은 기대에 대한 적절한 대화 없이 한쪽 혹은 양편 배우자가 성적 반응을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135.4)
 결혼 생활의 성은 좌절과 다툼 혹은 만족과 친교의 근원이 될 수 있다. 하나님께서 의도하시는 대로 그들의 성생활을 영위하길 원하는 부부는 결혼 언약에 대한 하나님의 원칙에 일치하여 살아야 한다. 신실함, 돌봄, 그리고 솔직하고 정직한 대화를 유지함이다. (136.1)
 9) 금전의 사용
 결혼 상담자들은 그리스도인과 비그리스도인 가정에 있어서 모두 충돌의 주 요인이 금전의 사용에 있다고 보고한다.5 색스톤(Lloyd Saxton)은 최근 연구를 요약한다. “모든 최근 연구는 결혼 한 부부가 다른 어떤 것보다도 금전 때문에 다투는 것을 언급하는 데 경제적 요인은 결혼의 안정과 결혼 생활의 조절에 중요하고 경제적 긴장은 결혼 실패의 주요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6 (136.2)
 보통 가정의 경우 부부가 원하는 것들을 구입하고자 지출하고 나면 충분한 돈이 결코 남지 않을 것이다. 그 결과로 많은 부부는 재정문제로 다투며 피곤한 밤을 지새게 될 것이다. (136.3)
 권세로서의 돈
 돈에 대한 논쟁은 종종 돈 자체보다는 지출을 통제하는 자에게 달려 있다. 어떤 부부가 지출 문제로 다룰 때, 돈 때문에 걱정해서가 아니라, 사실은 어느 한편의 사전 승인이 없이 돈을 지출했기 때문이다. 그 사실을 앙갚음하기 위하여 아내가 재봉틀이나 그것에 상당하는 금액의 어떤 것을 샀다면 남편은 아내와 상의하지 않고 전기톱을 산다. (1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