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별 천연치료 질병별 천연치료 게실염(Diverticulitis)
  • 1
 I. 설명 (73.1)
결장의 게실에 생기는 염증을 게실염이라고 한다. 게실은 식도에서 항문까지 소화관 어디에도 나타날 수 있다. 여기서는 주로 결장에 생기는 게실을 다루는데 섬유질이 없는 음식을 먹는 사람들이 변비로 배변 시 힘을 많이 주게 될 때 하행 결장 벽에 신주머니와 같은 팽창 부분이 생기게 된다. 또한 체중이 많아지면 장안에 압력이 증가하며 지방이 몰려있는 부분에 밀려나가게 된다. 다음과 같은 상태에서도 게실이 생기게 된다. 자세가 나쁜 경우, 나이나 지방 축적으로 결장 근육이 약하게 된 경우, 결장에 압력을 증가시키는 식습관, 장을 자극하고 장자극 증후군을 일으키는 요인들은 게실을 만든다. (73.2)
 게실에 염증이 생기기 전에는 아무런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게실염의 진단은 보통 40세가 지난 다음에 하복부 통증이 있거나 변비나 설사가 있을 때 하게 된다. 다른 증상들은 가스, 변에 섞여 나오는 점액질, 배변할 때 느끼는 통증, 열, 그리고 혈변 등이다. 게실은 X선 사진으로 확인이 되며 게실이 있을 때 결장이 과민 반응을 나타낸다. 바르게 치료를 하면 1-2주안에 증상들이 사라진다. 증상이 여전히 남아있으면 염증이 완전히 제거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신속하게 이런 증상들을 해결하면 대장의 용종(polyps)이나 암과 같은 더 심각한 질병과 구별할 수 있게 한다. 식이섬유는 게실염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다. 식이섬유는 몇 가지 종류가 있는데 셀률로즈(cellulose), 반 섬유소(hemicellulose) A와 B, 펙틴(pectins), 목질소(lignin), 그리고 페닐 프로페인(phenyl-propane)으로 구성된 비 탄수화물성, 비 소화성 물질도 있다. (74.1)
 II. 예방 및 치료
 1. 우유, 계란, 치즈, 육류 등을 줄이거나 삼간다. 이런 식품은 섬유질이 없으므로 게실염을 악화시킨다. 그리고 대장에서 혐기성(anaerobic) 박테리아를 자라게 하여 장을 자극시키는 경향이 있다. (74.2)
 2. 흰 설탕이나 흰 밀가루와 같은 정제 식품과 마요네즈, 마가린, 튀긴 음식, 그리고 요리용 지방 등과 같은 칼로리 공백 식품을 사용하지 않는다. (74.3)
 3. 식초나 자극이 심한 조미료는 대장에 불을 붙인다. 이러 요소들을 사용하지 않을수록 음식의 고유의 맛이 더 좋아진다. (74.4)
 4. 음식을 잘 씹어서 천천히 먹는다. (74.5)
 5. 매일 활기찬 걷기 운동을 30분 1주에 5회 이상 쉬지 않고 규칙적으로 실행한다. 지방이 줄고 근육이 강해지면 예방과 치료에 매우 유익하다. (74.6)
 6. 식사 30분전과 식사 후 2시간이 지난 다음의 식간에 매일 8컵 이상의 증류수를 조금씩 자주 마신다. (74.7)
 7. 과일과 야채를 각각 다른 끼니에 충분하게 먹는다. (74.8)
 8. 섬유질이 많은 상태의 통 곡류를 주식으로 사용한다. 섬유질이 적은 음식을 주식으로 하는 미국인들은 아프리카 사람들보다 대장염, 대장 용종, 그리고 탈장 등이 100배나 더 많다. 섬유질이 적은 음식은 배변량은 1/4밖에 되지 않고(107g vs 470g) 변이 장에 머무는 시간은 2배나 더 길게 된다(78.8 시간 vs 35.7 시간). (74.9)
 9. 복식 호흡으로 심호흡을 하되 1회에 30-50번씩 매일 2-3회 실행한다. (75.1)
 10. 복부에 시계방향으로 마사지를 적용한다. (75.2)
 11. 변비 방지와 영양 균형을 위하여 스피룰리나(2개/day)와 청국장 가루(1T와 물 1/2컵/매 끼니)를 복용한다. (75.3)
 12.옥외에서는 매일 30-50분 정도의 일광욕을 하고 실내에서는 풀 스펙트럼라이트를 사용하여 광선치료를 적용한다. (75.4)
 13. 체질 개선과 저항력 강화를 위하여 원적외선 온열매트 70°C에서 40-60분 정도 전신 열 치료를 적용한다. 땀이 나기 시작하면 머리와 목과 얼굴에 냉 습포를 적용하고 치료 후에는 치료한 시간만큼 누운 채로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이동하도록 한다. (75.5)
 14. NEWSTART 천연치료를 적절하게 적용한다(뉴스타트(NEWSTART) 천연치료 기본적용 참조). (75.6)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