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셀은 부버와 로젠쯔바이크가 그에 앞서 시작했던 동일한 방향으로 유대교 신학을 발전시켰다. 안식일에 대한 그의 글은 종교적인 경험에 대한 그의 평생에 걸친 관심의 한 부분이다. 그는 유대적인 종교 경험의 특징적인 요소로서 정서적인 면을 주목하였다. 그는 물론
“하나님을 이해하고 예배하기 위해서 이성을 활용하는 일은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리고 그는 의지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미츠보”(Mitzvoh: 율법), 또는 율법에서 요구된 행동의 중요성을 지적한 것이었다. 그리하여 그는 말하기를
“행동의 도약”을 요구하는 것이야 말로 유대교의 특징이라 하였다 이 그러나 헤셀은 앞서 그의 스승들이나 동료들이 애쓴 것 이상으로 유대교를 이성이나 율법에 대한 논쟁의 차원을 넘어 열정에 대한 평가 쪽으로 끌고 갔다. 사람이
“말로 표현 할 수 없는” 대상을 향하여 자신의 다른 기능들과 함께 놀람과 황홀과 두려움으로 반응하는 차원의 유대교를 강조하였다.
35 (25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