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별 천연치료 질병별 천연치료 검은 피부(Darkened Skin, Hyperpigmentation)
 I. 설명
 검은 피부는 대부분 해가 없으나 어떤 경우는 심각한 질병의 증상이 될 수 있다. 피부색과 관련된 세포를 멜라닌 세포 또는 흑색 세포라고 하며 피부의 외면인 표피에서 발견된다. 멜라닌 세포는 검은 색을 띠는 멜라닌이라고 하는 단백질 색소를 만들어내며 햇볕의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사람의 피부색은 멜라닌 세포가 생성하는 단백질 색소의 양에 따라 달라진다. 멜라닌이 너무 많이 만들어지면 검은 피부가 된다. 검은 부위는 생성 상태에 따라 전신에 퍼질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70.1)
 II. 원인
 1. 아디슨 병(Addison's disease): 부신에서 스테로이드 호르몬이 생성되지 않아서 생기는 질병이다. 원인은 결핵, 암, 뇌하수체 질병, 그리고 콜티손과 같은 스테로이드 약의 지속적인 사용 등으로 오는 합병증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특징은 햇볕에 그을린 듯한 갈색 피부와 흰 반점이며 기미와 상흔과 유두를 검게 한다. 그리고 허약과 피로, 머리털 소실, 언제나 오한을 느끼는 증상이 있고 현기증을 가져오는 저혈압, 그리고 오심, 구토, 설사, 위통, 식욕이나 체중 상실과 같은 위와 대장의 장애가 나타난다. 때로는 기분과 태도가 급격하게 바뀌면서 정신병으로 오진되기도 한다. (71.1)
 2. 색소 침착과다(hyperpigmentation): 검은 피부는 표피에 너무 많은 멜라닌이 축적되거나 피부에서 멜라닌 세포가 너무 많이 생성되기 때문에 나타난다. 때로는 체내에 철분이 너무 많이 침착되어 나타나는 혈색소증(hemochromatosis)일 수도 있다. 혈색이 구리 색으로 보일 수도 있고 간 경화, 당뇨병, 심장병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으로 생길 수도 있다. (71.2)
 3. 낭창(lupus): 자가 면역 병으로 전신성 홍반성 낭창증(systemic lupus erythematosus)이라고 한다. 전신의 모든 기관에 나타나며 가장 일반적인 현상은 관절에 생기고 얼굴 피부가 검게 호랑나비 모양으로 나타난다. (71.3)
 4. 먹는 피임약(oral contraceptives): 피임약을 복용하는 여성이나 임신한 여성의 얼굴에 호랑나비 모양으로 검은 피부가 생기는데 갈색반(chloasma) 또는 흑피증(melasma)이라고도 한다. 햇볕에 노출되면 검은 색이 더 선명해지기도 하며 피임약을 끊으면 점차 사라진다. (72.1)
 5. 빨간 코(주사비, rosacea): 주로 얼굴에 영향을 주는 만성 감염을 말한다. 특징으로는 여드름, 피부에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홍조, 부종, 주먹코 등이며 드물게는 몸통과 팔 다리에도 피부 변색이 나타난다. (72.2)
 6. 햇볕 노출: 햇볕에 지나치게 많이 노출하는 것은 피부 변색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이다. 이런 경우 피부에 멜라닌 갈색소가 많이 생성되기 때문이다. 이런 멜라닌 생성은 햇볕의 자외선 영향을 조절하여 해를 받지 않도록 하는 일종의 방어 기전이다. 다시 말하지만 체내에 지방이 많은 사람들은 햇볕의 산화 작용에 의하여 피부암에 노출되기 쉬우나 근육질로 이루어진 사람들은 햇볕의 유익을 마음껏 즐기게 된다. (72.3)
 III. 예방 및 치료
 1. 수많은 일반 약품 곧 여드름 약, 항생제, 그리고 혈압 약 등은 햇볕에 대한 피부 과민성을 증가시킨다. (72.4)
 2. 종양에서 생기는 검은 색이나 다른 변화는 피부암에 대한 일반적인 증상이다. (72.5)
 3. 지방층이 많은 체형을 가진 사람들은 햇볕에 오래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아침이나 늦은 오후에 5분 정도 일광욕을 하고 매일 1-2분씩 늘려간다. 누운 자세에서 5분, 엎드린 자세에서 5분을 적용하고 30분 정도까지 늘려간다. 정오의 직사광선을 피한다. (72.6)
 4. 근육질로 된 체형을 가진 자는 처음 10분 정도 일광욕을 하고 매일 5분씩 늘려 45분 정도를 적용한다. 5분씩 앞뒤로 적용한다. 정오의 직사광선을 피한다. (72.7)
 5. 실내에서 풀 스펙트럼라이트를 이용하여 일광욕을 보충한다. (72.8)
 6. 채식 위주의 식사를 하되 저지방, 저 단백질, 고섬유질 음식을 먹도록 한다. 육식과 낙농 식품을 모두 제거한다. (72.9)
 7. 간식, 과식, 급식, 불규칙 식사 등을 피하고 오래 씹고 음식의 맛을 음미하면서 식사시간을 즐기도록 한다. (72.10)
 8. 매일 최소한 30분 계속 걷기 운동으로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운동량을 늘려간다. 정상 체중을 회복할 때까지 끈기 있는 노력을 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생활화하도록 한다. (72.11)
 9. 항산화 식품(비타민 A, C, E, 셀레늄이 많은 음식)을 언제나 많이 섭취한다. (72.12)
 10. 신속한 영양 균형을 위하여 스피룰리나(2개/day)와 청국장 가루(1T와 물 1/2컵/매 끼니)를 복용한다. (7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