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rdon Poteat은 그의 야고보서 강해 주석에서 정직과 성실함에 대한 성서적 강조점이 우리 사회에서 되찾아져야만 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했다. 그는 “정직의 반대는 속임과 기만이다. 미국의 범죄학자들은 기만이 우리나라에서 하층 사회 뿐만 아니라 존경받는 사회 계층에까지 가장 널리 퍼진 범죄적 습관이라고 진술한다. 출판업자, 광고주, 변호사, 경찰관, 혹은 설교자들까지라도 그들의 신뢰성에 대한 우리들 사이에 널리 퍼진 냉소가 있지 않은가?”(69)라고 기록한다. 야고보의 요청은 사회에서뿐만 아니라 교회 안에 있는 우리 모두에게 하는 것이다. 그 요청은 진실하며 정직하며 총체적인 것이다. 야고보에게 있어서는 고난을 포함한 그 어떠한 것도 그 같은 기본적 미덕의 실천을 감소시키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225.3)
 ■ 말씀에 적용함
 1. 나의 고통이 너무 심할 때, 나는 포기하는가 아니면 끝까지 견디며 주의 해결책을 기다리는가? 내가 절망의 벼랑 끝에 도달했지만 결코 넘어가지 않았던 때가 있었다고 생각하는가? 무엇이 내 뒤를 잡아주었는가? (226.1)
 2. 이 같은 “즉석” 시대에, 나는 어떻게 인내를 계발시킬 수 있는가? 현재의 내 삶 속에서 인내와 견딤에 대한 야고보의 교훈을 적용할 수 있는 특정한 환경들은 무엇인가? (226.2)
 3. 나는 원망하기를 잘하는 사람인가 아니면 기쁨과 감사를 돌릴 어떤 것을 발견하는 사람인가? 만일 내가 첫 번째 범주에 속한다면, 내가 두 번째로 옮겨질 수 있는 단계는 어떤 것이 있는가? (226.3)
 ■ 말씀을 연찬함
 1. 성구사전을 사용하여 야고보서 이외의 책에서 “비”(이른 비와 늦은 비)에 대한 관련 구절들을 찾아보라. 각 구절들을 그 문맥(앞뒤 구절들)에서 연구하라. 각 구절의 배경을 기록하라. 당신의 발견과 성경 사전의 내용을 비교하라. (227.1)
 2. 성구 사전을 사용하여 맹세와 서약이라는 단어를 찾아보라. 그것이 명해진 때와 그렇지 않은 때를 노트에 기록하라. 그들이 비참하게 된 때를 두세 가지 정도 확인하라. 당신의 발견과 성경사전이나 백과 사전에서의 이 제목의 기사와 비교하라. 이 비교로 당신의 이해의 폭이 넓어진 점은 무엇인가? (227.2)
 ■ 말씀의 추가 연구
 1. 구약 성경의 “여호와의 날”과 관련하여, 5:7, 8“주의 강림”에 대한 해석을 위해서는, P. Maynard-Reid, Poverty and Wealth in James, 95-98을 보라.

 2. 야고보서를 안내하는 오래되었지만 가치 있는 지리적 연구를 위해서는, D. Y. Hadidian, “Palestinian Pictures in the Epistle of James”를 보라.

 3. 맹세에 관한 야고보의 교훈과 같은 문제에 대한 다른 성경의 교훈들의 관련성에 대한 사려 깊은 연구를 위해서는 P. Davids, Commentary on James, 188-191을 보라. (2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