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확대경 - 출애굽기 제 IV 부 하나님께서 당신의 백성 중에 거하심 (출애굽기 25-40) 제 10 장 하나님께서 성소와 제사장을 세우심 (출애굽기 25-31장)
 성경 본문에 나타난 안식일에 관한 흥미로운 사실을 언급할 수 있다. 이스라엘의 예배 제도에 대한 성경 장들은(25-31장) 안식일에 관한 것으로 끝을 맺고 있다. 창세기 2:1-3에 창조는 7일 동안 진행되었는데 안식일로 결론을 맺고있다. 출애굽기에 나타난 이스라엘 예배 제도의 창조는 우주를 7단계로 창조하신 것과 같은 하나님의 특별한 7단계의 역사이다(Fretheim, 270 참조). (276.3)
 안식일을 언급하는 것으로 본 장의 결론을 내린 출애굽기는 이제 금송아지, 언약을 새롭게 하는 사건에 이어 성막 건물을 실질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안식일은 새로운 장에서 처음부터 언급되어진다(35:1-3). 이러한 까닭에 안식일은 예배의 시작이자 끝이다. (276.4)
 결 론
 잊지 말아야 할 것은, 본 장(25-31장)에 언급된 모든 것들은 시내 산에서 하나님과 모세간의 개인적인 대화였다는 사실이다. 그 대화가 이제 끝이 났다. 하나님께서는 이제 그분의 손가락으로 쓰신 십계명의 두 돌비를 모세에게 주신다. 모세는 이제 산을 내려와 이스라엘에게 하나님께서 주신 명령을 전달한다. 모세가 발견하게 되는 사실은 그를 심히 고통스럽게 만드는데 우리는 다음 장에서 그러한 주제를 다루게 될 것이다. (277.1)
 ■말씀을 적용함
 1. 하나님의 임재는 나에게 중요한가? 하나님께서는 나를 위해 지금 어디 계신가? 나의 “법궤”“그룹”은 어디에 있는가? 만약 내가 하나님 만나기를 원한다면 어디로 가야 하는가? 무엇을 해야 하는가? 이스라엘의 성막은 나로 하여금 하나님을 경험하는데 어떤 도움을 주는가? (277.2)
 2. 우리의 예배는 어떻게 준비되어져야 하는가? 우리는 고가품의 화려한 것들을 하나님과 그분의 예배를 위하여 사용해야 하는가? 아니면 가난한 사람들 또는 선교사업을 위하여 사용해야 하는가?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하나님의 성막에서 발견되어지는 아름답고 값비싼 것들은 우리에게 무엇을 가르치고 있는가? (277.3)
 3. 우리의 예배는 얼마나 우리의 감각에 호소하는가? 이스라엘의 성막은 훌륭한 색상과 값비싼 귀금속, 쾌적한 소리와 향 등을 가지고 있었다. 우리의 예배도 우리의 눈과 귀 그리고 코에 호소해야 하는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예술적으로 아름답게 꾸며야 하는가? 우리의 예배는 교양 있는 사람들에게 호소력 있어야 하는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277.4)
 4. 우리는 하나님께 봉사하도록 구별된 특별한 사람들이 있는가? 목사들은 제사장들인가? 성막과 제사장 위임식은 우리로 하여금 사람과 장소 등을 어떻게 안수하도록 가르치고 있는가? 출애굽기의 규례들을 부정할 수 있는 신약의 근거를 생각해 본적이 있는가? 동일한 원칙들이 오늘날에도 적용되는가? (278.1)
 5. 나는 오늘날의 아론과 브사렐이 될 수 있는가? 하나님께서는 나를 종교적인 책임에 특별히 안수하셨는가? 아니면 하나님께서 특별한 재능을 허락하셨는가? 어느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오늘날 하나님께서 가장 필요로 하는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 (278.2)
 6. 안식일은 나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가? 율법인가, 표징인가, 규례인가, 특권인가, 아니면 또 다른 무엇인가? 출애굽기 31:12-17은 나에게 어떤 안식일이 되어야 하는가? 나에게 안식일은 축제의 날인가 아니면 이스라엘을 위한 날인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는 어떻게 안식일을 진정한 안식일로 만들 수 있는가? (278.3)
 ■말씀을 연찬함
 1. 출애굽기 29:1-37레위기 8:1-36은 제사장의 위임을 기술하고 있다. 두 성경 본문을 주의 깊게 비교하여 보라. 같은 점과 상이한 점을 나열해 보라. 또 본문의 문맥을 각각 주의 깊게 살펴보라. 본문의 문맥은 그 차이를 설명하는 데 어떤 도움을 주는가? 두 성경절이 존재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두 성경절로 인한 유익은 무엇인가? 이 성경절들은 제사장 위임식에 관하여 우리에게 무엇을 가르치고 있는가? 오늘날 성직자 안수에 관하여 무엇을 가르치고 있는가? (278.4)
 2. 성전은 제사장들에게 있어 “작업현장” 이었다. 성경사전을 사용하여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그리고 신명기에 제사장 또는 제사장들이라고 나타나 있는 성경절들을 찾아보라. 다음에 제사장의 직분들을 나열해 보라. 제사장들이 어떻게 백성들로 하여금 죄 사함을 받도록 조력했는가를 상고해 보라. 이 땅의 제사장들과 그리스도의 하늘 성소 봉사의 유사점은 무엇인가? 이 질문에 대한 답으로 신약의 히브리서를 특별히 참조해 보라. (279.1)
 ■말씀의 추가 연구
 1. 성소재료에 관한 일반적 이해를 돕기 위하여 엘렌 G. 화잇의 부조와 선지자 343-358을 참조해 보라.

 2. 성막에 대한 현대 유대인들의 해석을 위하여 Nahum M. Sarna의 Exploring Exodus 190-215을 참조하라.

 3. 안식일에 관한 심층적 연구를 위하여 Niels-Erik Andreason의 The Old Testament Sabbath을 읽어 보라.

 4. 재림교인의 성소론에 관한 심층적 연구는 Frank B. Holbook의 The Sanctuary and the Atonement 가운데 “The Israelite Sanctuary” 1-26을 참조하라. (27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