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확대경 - 출애굽기 제 IV 부 하나님께서 당신의 백성 중에 거하심 (출애굽기 25-40) 제 10 장 하나님께서 성소와 제사장을 세우심 (출애굽기 25-31장)
 우리는 본 장에서 출애굽기의 제4부이자 최종적 사건들을 연구하게 된다. 제1부에서 우리는 하나님께서 종살이에 학대받는 이스라엘 백성의 절망적 상황을 하나님께서 긍휼히 여기심을 보았다. 제2부에서는 하나님께서 그분의 능력과 권세로 이스라엘을 구원하신다. 제3부에서는 하나님께서 언약의 약속으로 책임과 애정을 바탕으로 한 결속의 관계인 언약을 제정하시어 체결하신다. 제4부에서 우리는 하나님께서 당신의 백성을 위하여 예배 제도를 세우시는 모습을 보게된다. 이 제도에는 예배드리는 장소인 성막과 예배를 수행하는 제사장들을 포함하고있다. (255.1)
 출애굽기에는 예배의 두 가지 중요한 기능이 있다. 그 첫번째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위하여 역사하신 모든 것에 대한 반응으로 그분께서 역사하시는 은혜가 백성으로 하여금 경배를 드리게끔 만들었다. 그들이 드리는 예물과 제물과 찬양과 경배 등을 통하여 이스라엘 백성은 그분의 자비의 은혜를 깨닫는다. 그들의 경배는 구속과 언약이라는 신학적 논리의 순리를 따르는 것이었다. (255.2)
 둘째로, 예배는 하나님의 존재가 그분의 백성 가운데 좌정하심을 내포했다. “내가 그들과 함께 거하리라”고 여호와 하나님께서 말씀하신 까닭에 성소는 건축되어야 했다. 하나님께서는 출애굽기에 여러 방법으로 여러 곳에서 당신을 드러내셨다. 그분의 임재는 늘 장엄했다.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백성과 언약을 체결한 이후에, 어떻게 그분의 임재를 백성과 함께할 수 있었을까? 하는 질문이 일어난다. 하나님의 대답은 당신이 좌정하시어 이스라엘 백성을 만날 수 있는 성소를 건축하라는 것이었다. (255.3)
 ■말씀에 들어감
 출애굽기 25장에서 27장까지 주의 깊게 두 번 정독하라. 읽어 나가며 다음의 질문들에 답해 보라. (256.1)
 1. 출애굽기 25:1-9은 출애굽기의 나머지 부분을 소개하고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께 드릴 것은 무엇이었나? 누가 그것들을 드렸는가? 어떤 예물을 바쳐야 했는가? 그 예물들은 어떻게 사용되었는가? 성소의 목적은 무엇인가? 그 양식은 어디서 왔는가? 이와 같은 양식을 따르는 이유는 왜 중요한가? 이러한 명령을 위하여 어떤 동기부여를 이스라엘에게 허락하셨는가? (256.2)
 2. 한 규빗을 18인치라고 할 때, 법궤 또는 언약궤의 크기는 얼마인가? 법궤에는 무엇을 두었는가? 성경사전을 사용하여 “증거판”(25:16, 21)과 “속죄소 또는 시온소”(25:17)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찾아보라. 어떤 의미심장한 일이 속죄소 위에서 벌어졌는가(25:22)? 이러한 모든 내용은 법궤의 중요성에 대하여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혹 그룹들을 우상으로 생각할 사람이 있을 것으로 생각해 봤는가? 어떤 면에서 그들은 우상과 다른가? (256.3)
 3. 성소 안에 법궤와 함께 다른 기구들, 즉 진설병 상(25:23-30)과 등대(25:31-40)와 번제단(27:1-8)이 묘사되어 있다. 이들의 치수를 기술하여 보라. 이 기구들과 관련된 물품들을 나열해 보라. 이 기구들은 무엇으로 만들었는가? 이 기구들은 어디에 놓였는가(26:34, 35)? 이들에 관한 내용 중 무엇이 가장 인상적인가? 하나님께서는 매우 세세(細細)하시며 외견을 중히 여기시는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256.4)
 4. 성막은 무엇으로 만들었는가? 무슨 재료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는가? 어떤 색을 사용했는가? 성막의 안과 밖은 어떤 모습이라고 생각하는가? 성막의 치수는 얼마나 되는가? 당신이 살고 있는 집과 비교하여 치수는 어떤가? 성막에 관한 내용 중 어떤 것이 가장 인상적인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257.1)
 5. 성막 안 뜰의 치수는 얼마나 되는가? 성막 둘레는 무엇으로 만들었는가? 문은 몇 개인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문은 어느 쪽으로 나 있는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뜰 안의 규격은 예배를 고양시키는가? 어떻게 그것이 가능했나? (257.2)
 6. 이제는 성막과 뜰 안의 모형을 그려보거나, 날씨가 허락한다면 야외에서 모형을 재어보고 스스로 예배자가 되어 보라. 제물을 들고 성막 안으로 들어가라. 이러한 경험은 어떤 느낌을 주는가? 이스라엘 백성이 되어 봄으로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257.3)
 ■말씀을 탐구함
 성소의 존재 이유
 성소 건축에 대한 명령은 예물을 요구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25:1, 2).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에게 즐겨 내는 자의 예물을 받을 것을 요구하신다. 하나님께서 요구하신 예물은 이스라엘 백성이 지닌 가장 귀한 것들로 금과 은과 동과 청색, 자색 등 그들이 소유한 가장 값진 것들이었다. 오늘날 전문가들은 1.4온스의 청색 물감을 얻는 데 12,000개의 뿔 고둥이 필요하다고 한다(Durham의 Exodus, 354 참조). 이 물감으로 채색된 천은 얼마나 귀한 것이겠는가! 하나님께서는 최고급의 가죽과 목재와 향품과 보석을 요구하셨다. (257.4)
 이 모든 재료들이 문자그대로 성소를 건축하는데 사용되었다. 이 성소의 건축 목적은 하나님께서 백성 가운데 좌정하시기 위함이었다. 하나님께서 거하실 성소와 실내장식은 하나님께서 명하시는 양식을 따라 정확히 만들어야 했다(9절). (258.1)
 상기에 기술한 모든 것들은 성소 건축의 기본이자 바탕이 되는 것들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사항들이었다. 이것들은 성소가 건축되어진 이유를 제공하고 있다. 출애굽기의 거의 ⅓가량 되는 13장이 성소를 다루고 있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이와 같은 성소의 구조는 출애굽기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임에 틀림없다. 하나님께 속한 한 민족을 창조하는 데 있어 예배는 매우 중요한 문제였다. (258.2)
 이러한 모든 사실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무엇을 원하고 있는지를 말해주고 있다. 하나님께서는 자발적인 응답을 원하셨다. 이스라엘 백성은 과거에 노예 신분으로 바로를 위한 강제노역에 동원되었다. 그들은 이제 자원하는 마음으로 하나님께서 거하실 성소를 건축하게 되었다.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백성이 애정과 사랑으로 자원하는 마음에서 성소를 건축하기를 원하셨다. (258.3)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요구하셨던 것은 최상품의 예물이었다. 쓰고 남은 것 또는 차선품은 하나님께서 원하시지 않으셨다. 인간적인 계획이나 고안은 끼어 들 여지가 없었다. 하나님께서는 성소를 세우시기 위하여 인간을 사용하시었고, 제사장으로 하여금 성소에서 봉사하게 하시었지만, 그들은 모두 하나님의 명령과 지시에 따라 움직여야 했다. 하나님은 진정한 예배의 근본이 되시었다. (258.4)
 성소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과 함께 거하실 수 있는 수단이었다. 이것은 중요한 변화였다. 출애굽기 19장과 그 이하에서 하나님의 임재는 시내 산에 있었다. 모세는 산에 올라 하나님과 함께 있었지만, 이스라엘 백성은 산에 오르는 것이 금지되었다. 산은 고대 근동에서 신들이 거주하는 전형적인 장소였으나 여호와 하나님은 달랐다. 그분께서도 산에서 시작하셨지만, 당신의 백성과 언약을 체결하신 이후에 그들 가운데 좌정하시기 위하여 그들 가운데로 내려오셨다. 더 이상 모세와 이스라엘 백성은 하나님께서 내려오셨기 때문에 산에 올라갈 필요가 없었다. (2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