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별 천연치료 질병별 천연치료 혈압(Blood Pressure)
 I. 설명
 심장의 펌프 작용으로 혈액이 혈관 벽에 미치는 힘을 혈압이라고 한다. 이 힘에 대한 반응으로 일어나는 혈관확장과 뒤따라 일어나는 혈관수축은 혈액의 흐름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 사람의 경우 혈압은 보통 상완동맥(上腕動脈) 또는 대퇴동맥(大腿動脈) 위에서 간접적으로 측정된다. 최고(수축) 혈압은 정상인 경우 약 120㎜Hg(140~100㎜Hg)로 심실수축 시에 발생하며, 최저(이완) 혈압은 보통 약 80㎜Hg(100~60㎜Hg)로 심실이 이완되는 동안에 생긴다. 모세혈관에서의 혈압은 약 30~20㎜Hg이며 정맥의 혈압은 대기압보다 낮은 음압이 되기도 한다. 동맥의 혈압은 개인마다, 그리고 한 개인에서도 시간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혈압은 성인보다 어린이가 낮으며 나이가 들수록 점차 증가한다. 비대한 사람이 혈압이 높은 경향이 있으며 수면 중에는 혈압이 약간 감소하고 운동을 하거나 감정이 흥분되었을 때는 증가한다. (572.1)
 
 혈압의 정상범위는 140/90㎜Hg에서 90/60㎜Hg 사이이다. 그 이상은 고혈압이며 그 이하는 저혈압이다. 혈압의 위의 숫자인 심장 수축기 압은 심장의 건강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아래 숫자인 심장 이완기 압은 혈관의 건강상태를 보여준다. (573.1)
 현재 동양인의 혈압은 표준치가 최대 혈압 140미만, 최저 혈압 90 미만으로 정하고 있다. 또한 세계보건기구에서는 최고 140-160, 최저 90-95일 때는 고혈압이라 단정하지 않고 “경계역고혈압”이라 정하고 주의가 필요한 수치로 규정 있다. 세계보건기구에서 정한 수치를 활용하기도 하고 위험수치는 아니지만 평소 다른 증상이 있을 때는 혈압이 급격하게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의사와 상의한 후 복용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혈압에는 개인차가 있고 계절에 따라, 하루 중 기후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혈압이라는 것은 심장에서 나가는 혈액의 압력차를 말하는 것인데 약의 오남용을 막기 위해 세계보건기구에서 정한 수치를 활용하게 된다. (573.2)
 * 세계보건기구가 정한 혈압의 수치
 1. 정상혈압: 최대 140mmHg 미만, 최저 90mmHg 미만 (573.3)
 2. 고혈압: 최대 160mmHg 이상, 최저 95mmHg 이상 (573.4)
 3. 저혈압: 최대 100mmHg이하, 최저60mmHg이하 (573.5)
 우리나라의 경우는 대부분 정상적인 혈압은 최대 120mmHg, 최저 80mmHg을 말하고 있고 그 이상은 고혈압으로 보는 경향이 많다. 또 저혈압은 최대 100mmHg 이하, 최저 65mmHg이하로 보고 있다. 그러나 의학적인 기준은 세계보건기가 정한 수치가 올바를 판단기준이라 하겠다. 다만 약의 사용여부는 의사의 판단에 맡기는 것이기 때문에 의사의 판단을 존중해야 할 것이다. (574.1)
 물론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정한 수치라면 굳이 약물복용이 필요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 의사들은 최대혈압이 140만 되어도 약물을 사용하고 있다. 물론 의사의 판단에 맡기는 게 상책이지만 문제는 맥압의 차이 때문에 처방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오늘 잰 최대혈압이 144, 최저혈압이 97이라면 맥압 차이는 47이 나며, 최대혈압과 최저혈압의 차이 때문에 의사의 판단에 따라 달라진다. (574.2)
 맥압 차이가 많이 날 때 좋지 못하다는 것은 보통 혈압을 측정하는 부위는 손목에서 이루어지지만 좌심실에서 뿜어내는 압력을 보는 것이며, 그곳에는 고혈압이 나오면 그 다음 멀리 떨어진 동맥의 혈압은 반드시 저혈압을 동반하기 때문에 함부로 고혈압 약을 복용하는 것은 위험한 것은 사실이다. 즉 고혈압이 있으면 반드시 저혈압도 상존하는 것이다. 그래서 의사의 판단을 존중하는 것이다. 맥압 차이가 많이 날수록 위험하기 때문에 의사가 처방했을 가능성도 있다. 의사의 판단을 존중하는 게 좋겠다. (574.3)
 II. 예방 및 치료
 1. 혈압은 정상상태에서도 좀 낮은 경우가 더 좋다. 지정된 수치를 참고할 것이나 개인차가 있으므로 시간을 두고 자기에게 가장 적합한 혈압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574.4)
 2. 장상혈압을 유지하려면 피가 항상 깨끗해야하고 혈관의 유연성이 유지되는 가운데 혈액순환이 원활해야 한다. (574.5)
 3. 피를 더럽히는 대표적인 3가지는 셋째 나쁜 음식이며 둘째 나쁜 공기이며 첫째 나쁜 생각이다. (574.6)
 4. 피를 더럽히는 대표적인 음식은 포화지방이다. 모든 형태의 동물성 음식을 제거한다. 그리고 식물성 식품이라도 식이섬유가 적거나 없는 정제 또는 가공식품은 혈당수치를 높여 체내에 지방축적을 증가시킨다. 통곡류와 야채와 과일을 기니별로는 단순하게 1주일 또는 그 이상으로는 다양하게 먹고 그리고 신선한 견과류를 소량으로 먹는다. (574.7)
 5. 오염된 공기는 삽시간에 피를 더럽힌다. 청정지역에 주거환경을 마련하고 숲에서 규칙적인 운동을 하면 정상혈압을 유지하는데 큰 도움을 받는다. (574.8)
 6. 스트레스는 체내에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고 혈압을 상승시킨다. 기쁘고 즐겁고 편안한 마음을 가지고 살도록 한다. (57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