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확대경 - 야고보서 제IV부 긴장 (4:1-5:6) 9. 경제적 긴장 (4:13-5:6)
 시장 경제에서 군림하는 대지주의 지배력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확증되었다. 그 첫 번째 예로, 그는 그의 소작인인 가난한 그의 경쟁자보다 팔 물건을 훨씬 더 많이 생산했다. 이들 소작인들에게 그는 토지의 매우 열등한 부분을 빌려주었을 것이므로, 그의 생산물이 훨씬 더 질이 좋을 것은 당연하였다. 그리고 소작인들의 생산물 중 가장 좋은 것들은 임대료로 받았기 때문에, 그들은 매우 좋지 못한 물건들을 가지고 시장에 팔러 나가게 되었다. 나는 내 학위 논문에서 “영세 농민들은 일반적으로 돌이 많고 볼모의 언덕배기 적은 땅덩이에서 나오는 것으로 근근히 생계를 연명한 반면, 부유한 지주들은 비옥한 저지대를 관할하였다. Ben Sira는 가난한 농부에 대하여 언급할 때 그런 비참한 상황을 인식하였다: ‘산꼭대기에 그의 포도원이 있으며, 그의 포도원 땅은 다른 사람의 포도원 속으로 쓸려간다’(Maynard-Reid, “Poor and Rich,” 241, 242)고 기술했다. (210.1)
 위와 같은 상황에서, 영세하고 가난한 농부들은 필연적으로 그의 농장을 포기하게 되고, 부유한 지주들의 일용직 고용자로 되어버린다. 그리고 많은 경우에, 이 빚더미에 시달리는 노동자들은 자신과 그 가족들이 노예로 팔리게 되어버렸다. 이들이 야고보가 부자들의 들판에서 일한다고 말하는 노동자들이요 일꾼들이다. 그들에게 임하는 압제는 그들의 고용주로부터 이르러오기 때문에 그는 분명 그들의 곤경에 대해 동정적이다. (210.2)
 그의 분노 속에 야고보는 살인자적인 그 부자들을 고소하면서 기록한다: “너희가 옳은 자를 정죄하였도다 또 죽였도다”(6절). 이 구절의 살인자는 문자적인 것이 아니요, 그것보다는, 부자들에 의해 가난한 자들을 경제적으로 압제하는 것에 대한 비유라고 말하려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야고보는 단순한 경제적인 횡포뿐만 아니라 물리적인 폭력도 그 심중에 가지고 있었음이 분명해 보인다. 경제적인 압제가 가난한 자를 죽음으로 이끈다. 사람들이 그들의 삶을 착취당하고 기본적인 삶의 필요들을 채우지 못한 채 남겨 질 때, 죽음만이 뒤따르게 된다. 그것이 살인이다(왕상 21장; 눅 16:19-31을 보라). (210.3)
 살인자적인 압제자들을 고소한 후에, 야고보는 최후의 일성을 발한다. NIV 역자는 그 구절을 “너희에게 대항하지 아니한 자”라고 번역한다. 바꿔 말하면, 살인자적인 지주들은 그들의 노동자들을 죽이고 있었으며, 후자들은 아무 저항도 하지 못한 채 피동적으로 죽어갔다. 하지만, 헬라어는 또 다른 번역의 가능성도 내포하고 있다. 동사의 주어를 고통받는 노동자로 보는 대신에, 주어가 하나님이시라는 것이다. 이런 방식으로 보면, 이 구절은 질문처럼 번역되어진다: “하나님께서 너를 물리치지 않았느나?” 이것을 4:6에서 시작된 수미쌍관법(inclusio)의 마지막 부분으로 인식한다면, 우리는 야고보의 요점을 분명히 들을 수 있다:

 (1) 하나님께서 교만한 자를 물리치신다.

 (2) 너는 거만하게 행동한다.

 (3) 그분께서 너를 물리치지 않으시겠는가(4:6-5:6)?

 논쟁의 이런 배열은 부자들을 향한 야고보의 마지막 통렬한 비난의 성격과 잘 어울린다. 초점은 고통받는 가난한 자들의 무저항에 있는 것이 아니요 그들의 행동에 대한 하나님의 사회적 공의의 행동에 있다. (211.1)
 ■ 말씀을 적용함
 1. 내가 나의 생애를 평가해 볼 때, 다음의 한 가지나 그 이상의 것으로 얽매여져 있는 나 자신을 발견하는가: 시간(“오늘이나 내일”, “한 해 동안”), 목적(“우리는 갈 것이다”), 장소(“이 도시나 저 도시로”), 목표(“장사를 하여”), 보상(“이를 보리라”). 빠르게 움직이는 우리 사회에서 그것들의 강박관념에 사로잡히지 않고 그것들을 균형 있게 바라보려면 나는 어떻게 해야 할까? (211.2)
 2. 내 스스로 “하나님의 뜻”이라는 표현을 경박하게 사용함을 발견하는가, 혹은 내가 그 표현을 사용할 때 그 의미를 사려 깊게 생각하는가?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단지 “하나님의 뜻”이라고 말하면서 “그저 해결하기 쉬운 방법”을 취하는 대신에 (그것이 하나님의 뜻이라면) 상식을 사용하기를 기대하시는 때도 있는가? 설명하라. (211.3)
 3. 내 스스로에게 “삶이 무엇인가?”라고 질문할 때 나는 주로 부정적인 반응(약 4:14의 사람처럼)을 보이는가? 삶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적당한 때도 있는가? 그런 때는 언제인가? (212.1)
 4. 나에게 10억 원이 유산으로 상속된다면, 나는 그것을 어떻게 사용할까? 일반적인 목적과 특별한 지출들을 기록해 보라. (212.2)
 5. 고용주로서(그것이 다국적 거대 회사이건 작은 땅의 소유주이건), 나는 내가 고용인의 입장으로 받고 싶은 만큼 나의 고용인들에게 임금을 주고 있는가? 만일 야고보가 오늘의 나에게 글을 쓴다면, 내가 나를 위해 봉사한 어떤 사람에게 지불한 마지막 급료에 대해—얼마나 많은지, 언제 지불했는지에 대해 무엇이라 말했을까? 당신의 생각을 개인 일기장에 기록해 보라. (212.3)
 ■ 말씀을 연찬함
 1. 성구사전을 사용하여, 부자에 대한 신약 성경의 용례를 조사하라. 부자에 대한 신약 성경의 관점을 한두 문장으로 요약 설명하라. 당신이 조사한 것과 성경 사전의 “부자”라는 항목의 설명과 비교해 보라. 당신의 결론을 야고보의 기술과 비교 대조하면 어떠한가? (212.4)
 2. 울라와 통곡하라는 단어를 성구 사전에서 조사하라. 심판과 연관되어 사용된 부분을 대여섯 구절 확인하라. 당신의 노트에 그 문맥의 간단한 설명과 함께 간단히 기록하고 그것들이 야고보서와 병행되는 부분들을 진술하라. (213.1)
 3. 의복이나 옷이라는 단어를 성경사전에서 찾아보라. 어떤 개인이나 단체가 옷 입는 것이 전락한 때를 당신이 확인할 수 있는가? 그것들을 찾아 기록하라. 금과 은도 마찬가지로 조사하라. (213.2)
 ■ 말씀의 추가 연구
 1. 1세기의 예루살렘의 무역과 상업에 대한 상세한 이해를 위해서는, J. Jeremias, Jerusalem in the Time of Jesus, 27-57을 보라.

 2. 이 구절들에 대한 더욱더 상세한 주석과 사회․역사적 기사를 위해서는 P. Maynard-Ried, Poverty and Wealthy in James, 특히 제5장(“The Merchant Class and the Poor”)과 제6장(“The Rich Agriculturalists and the Poor”), 68-98을 보라.

 3. 야고보서 5:1-6의 주석뿐 아니라, 특별한 현대 사회인 남아프리카에서 일어나는 성경 구절에 대한 광범위한 적용의 예를 위해서는 P. J. Hartin의 “Come Now, You Rich, Weep and Wail”이라는 기사를 보라.

 4. 부자들에게 그들의 재산을 가난한 자들과 나누라는 요청에 대한 성서적 연구를 위해서는 P. Maynard-Reid, “Called to Share”를 보라. (2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