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별 천연치료 질병별 천연치료 폐기종(Emphysema)
 11. 지나치게 뜨겁거나 차가운 음식은 기침을 유발한다. (543.7)
 12. 씹기가 힘든 음식은 환자를 지치게 하고 가스를 만드는 음식은 복부팽만으로 횡격막을 압박하게 된다. 과식을 하지 말고 짠 음식을 삼간다. (543.8)
 13. 정서적으로 우울하거나 화가 치밀어오를 때는 식사를 하지 않는다. (543.9)
 14. 잠자리에서 발을 10cm 정도 높게 하고 자면 폐의 하부에 점액질이 차는 것을 막아준다. (543.10)
 15. 저칼로리 식사를 하여 체중을 잘 유지하면서 산소와 영양공급이 잘 되고 노폐물과 탄산가스가 잘 배출되도록 해야 한다. 비만과 변비는 저항력을 떨어뜨려 호흡기 감염에 약하게 만든다. (543.11)
 16. 다음 호흡법을 활용하면 빠른 회복에 도움을 받는다. (543.12)
 * 횡격막 호흡
 횡격막 호흡은 만성 폐쇄성 호흡기 질환, 천식, 폐 수술 등과 같이 폐 자체의 기능이 떨어진 경우 도움이 된다. 폐 기능에 이상이 있으면 흉곽을 많이 움직이는 얕고 비효율적인 호흡을 하기 때문에 횡격막 호흡을 익혀 두면 일상생활에서 숨이 덜 찰 수 있다. 한 손은 명치부에 놓고 다른 한 손은 흉골에 놓는다. 들숨과 날숨의 비율을 1:2 정도로 하는데, 어느 순간에도 흉골에 올려놓은 손은 움직이지 않고 명치부위에 올려놓은 손만 움직이도록 한다. 즉, 복식 호흡을 하는 것이다. 이와 아울러 중요한 것은 숨을 내쉴 때에는 입술을 오므려서 천천히 공기를 뱉어야 한다. 처음 요령을 익힐 때에는 조용한 곳에서 시작하지만 익숙해지면 걷거나 일생생활 동작 중에서도 횡격막 호흡을 하여 숨이 덜 차도록 한다. (543.13)
 * 체위배액
 체위배액이란 어떤 신체 자세를 취함으로서 객담이 저절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12가지 자세가 있으나 너무 복잡하여 따라 하기가 무척 어렵다. 그렇지만 베개 같은 것들을 깐 상태에서 엎드린 자세를 취하고 보호자가 등을 가볍게 두드려 주는 것만으로도 꽤 효과가 있다. 가래가 평소보다 많다고 생각되면 꼭 시행할 것을 권고하는 방법이다. 한 번 할 때 15-20분 정도씩 하루 2-3회 정도 시행하는데, 가래가 많은 경우 하루에 4-5회 정도까지 횟수를 늘릴 수 있다. (544.1)
 * 보조적 기침법
 기침을 충분히 세게 하지 못할 때에 사용하는 방법이다. 편하게 몸이 바르게 정렬된 자세로 눕힌 다음, 보호자는 양손을 명치 부위에 놓는다. 기침을 할 때 보호자는 자신의 손바닥 면을 이용하여 명치 부위에서 후 상방 방향으로 압력을 주어 기침을 도와준다. 이때 너무 과도한 힘은 늑골 골절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본인의 기침하는 순간과 보호자가 명치 부를 눌러주는 순간이 일치하여야 하므로 둘이서 연습을 하여 시간을 맞추어야 한다. 보조적 기침법은 앉은 자세에서도 같은 요령을 시행할 수 있다. 감기 기운이 있거나 가래가 평소보다 많을 때 꼭 시행해 보기를 권유하는 운동법이다. (544.2)
 * 흉곽 스트레칭
 호흡 기능이 떨어진 모든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지만 특히 도움이 되는 경우는 만성 폐쇄성 호흡기 질환, 천식, 폐 수술 등과 같이 폐 자체의 기능이 떨어진 경우이다. (544.3)
 1. 첫 번째 스트레칭 방법: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몸을 앞으로 충분히 숙이면서(양손을 모아서) 숨을 입으로 내쉰 다음, 몸을 위로 쭉 펴면서(양손을 만세 하듯 쭉 폄) 숨을 코로 들여 마신다. 이 운동은 빠르지 않게 천천히 하도록 한다. (544.4)
 2. 두 번째 스트레칭 방법: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양손을 머리 뒤로 깍지를 끼고 양손을 안쪽으로 모으고 머리를 숙이면서 숨을 입으로 내 쉰 다음, 양손을 벌리고 고개를 들면서 숨을 코로 들여 마신다. 빠르지 않게 천천히 수행한다. (544.5)
 3. 세 번째 스트레칭 방법: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손을 머리 위로 올리고 몸을 한쪽으로 기울여 반대쪽 흉곽을 스트레칭 한다. (544.6)
 * 알기 쉬운 종합처방: 정상적인 건강유지를 위하여 뉴스타트(NEWSTART) 생활을 균형 있게 꾸준하게 적용하도록 한다(뉴스타트(NEWSTART) 천연치료 기본적용 참조). (5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