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대 근동지방에서 부부 사이에 아들이 없을 경우에 대를 잇기 위해서
(1) 양자를 들이는 것,
(2) 남편이 둘째 부인과 결혼하거나
(3) 첩을 통해서 아들을 얻거나
(4) 아내가 여종을 남편에게 주었다.
3, 500개의 설형문자로 된 문서가 발견된 누지(Nuzi)에서는 자식이 없을 경우에 사라처럼 룰루(Lullu, 여종)를 남편에게 주되 룰루와 룰루의 자녀는 여주인 아래에 속하도록 했다. J. A. Thompson,
The Bible and Archaeology, 3rd ed. (Grand Rapids, MI: W.B. Eerdmans, 1982), 34쪽. 중기 청동기시대의 한 결혼서판은 다음과 같은 계약사항을 기술한다:
‘만일 길림니누(Gilimninu, 신부)가 자녀들을 임신하지 못하면, 길림니누는 쉔니마(Shennima, 신랑)을 위해 N/Lullu-땅(우량 노예들의 근원)의 한 여성을 아내로 구해주어야 한다.’ William Baur,
‘Ishmael,’ ISBE, 2:905쪽. 후기 청동기시대의 아라라크(Alalakh)의 제4층(Level IV)에서 나온 문서는 불임한 경우에 아내의 조카딸을 남편에게 주도록 했다. Richard S. Hess,
‘Marriage Customs (at 92) (3.101b),’ COS, 3:252쪽.
2. Gordon J. Wenham,
Genesis 16-50, WBC, 9쪽.
3. Kenneth A. Mathews,
Genesis 11:27-50:26, NAC, 188-189쪽.
4. Robert Alter,
Genesis: Translation and Commentary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1996), 69쪽.
5. A. Cohen, 앞의 책, 76쪽.
6.
‘예수가 모세보다는 여러 점에서 위대한 예언자이지만 무함마드의 선구자로 활약했던 예언자 한 사람에 불과하다고 주장하는 무렵에는, 예언자라는 칭호는 8세기의 다마스커스의 요한과 같은 반 이슬람교적 기독교 변증가에 의해 불충분하고 부정확한 표현이라 낙인찍히고 말았다.’ 야로슬라프 펠리칸,
예수의 역사 2000년: 문화사 속의 그리스도의 위치, 김승철 옮김 (서울: 도서출판 동연, 1999), 52쪽.
7. Judson Cornwall, Stelman Smith,
The Exhaustive Dictionary of Bible Names (North Brunswick, NJ: Bridge-Logos, 1998), 113쪽.
8. Warren W. Wiersbe,
‘Galatians 4:24-29,’ The Bible Exposition Commentary: New Testament (Wheaton, Ill.: Victor Books, 1989).
(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