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설명
 통풍이란 우리 몸 안에 요산이라고 하는 물질이 몸 밖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고 과도하게 축적되어 발생하는 병이다. 다른 사람이 지나가면서 일으킨 바람에 의해서도 많이 아프고 온몸에서 열이 난다고 하여 통풍이라고 한다. (523.1)
 
 * 질병의 원인
 우리가 흔히 먹는 고기나 술에는 푸린이란 물질이 많이 들어 있다. 요산이란 우리가 먹는 여러 음식이 소화되어 최종적으로 대사된 후 나오는 물질로서 보통 혈액 내에 녹아 있다가 소변으로 배출된다. 통풍 환자에서는 혈액 내 요산이 지나치게 많아서 이것이 결정체로 변하고, 이 요산 결정체가 관절 내에 침착하여 염증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대개의 통풍 환자들은 혈액 내에 요산이 정상치 이상으로 높은, 소위 고 요산혈증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아무 증상 없이 고 요산혈증을 가진 사람들이 훨씬 더 많기 때문에 요산이 높다고 모두 통풍 환자가 되는 것은 절대 아니다. 통풍 관절염은 고 요산혈증이 심할수록, 또 기간이 오래될수록 발병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통풍 환자는 거의 남자이고 대개 첫 발작적 관절염을 40~50세에서 경험한다. 한때 통풍은 좋은 음식을 먹고 술 마시는 부유층의 병으로 간주되기도 했지만 요즘은 식생활이 윤택해지면서 사회계층에 관계없이 발생한다. 물론 식생활 습관이나 음주가 통풍 발병에 중요한 것은 아직도 사실이다. (524.1)
 * 증상과 진단
 통풍을 치료하지 않으면 발작성 관절염의 빈도가 점점 잦아지고 침범하는 관절 수도 많아지며 회복하는 시간도 점점 길어진다. 관절염이 반복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점차 관절을 상하게 하며 만성으로 발전하게 된다. 통풍성 결절이라 불리는 덩어리가 관절 주위나 피하조직에 나타나기도 하며, 이런 통풍성 결절은 바로 요산 결정체의 덩어리로서 신체의 어느 부분이라도 생길 수 있는데, 특히 팔꿈치, 귀, 손가락, 발가락, 발목 등에 생기고 요로 결석을 형성하기도 한다. 더욱이 통풍환자들은 고혈압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면서도 모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요로 결석과 함께 콩팥을 상하게 하는 요인이 된다. 드물게는 관절염보다 선행하여 요로 결석 증으로 증상이 나오는 환자들도 있습니다. 통풍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525.1)
 1. 주로 엄지발가락, 발목, 무릎 등 한군데 관절이 갑자기 빨갛게 부어오르고 손을 댈 수 없을 정도로 심한 통증이 있다. (525.2)
 2. 통풍이 심하면 발열과 오한을 동반한다. (525.3)
 3. 처음 발생하는 경우에는 대개 수일 지나면 저절로 소실되어 완전히 회복하고 모든 것이 정상처럼 보이지만 상당 기간 발병하지 않다가 결국 다시 비슷한 관절염이 발생한다. (525.4)
 4. 가장 특징적으로는 엄지발가락 관절에 잘 발생하며 무릎, 발, 발목, 손목, 팔꿈치 등에 관절염이 발생하기도 한다. (525.5)
 5. 얇은 이불이 스쳐도 아파서 대개 환자들은 양말도 신지 못하고 걸음을 제대로 걷지 못한다. (525.6)
 통풍은 의사가 진찰한 후에 피검사나 관절 액을 뽑아서 현미경으로 검사하거나 보조적으로 X-ray 촬영을 통해 쉽게 진단할 수 있다. (525.7)
 II. 예방 및 치료
 1. 통풍은 식습관과 비만 때문에 생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식생활 개선이 필요하다. 고단백, 고 칼로리 식사는 통풍성관절염의 원인이 되는 요산을 발생시키는 푸린이 많이 들어 있으므로 개선해야 하고 음주, 비만, 고 콜레스테롤 혈증, 당뇨, 고혈압 등이 있는지 확인하고 이에 대한 치료가 같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저 푸린식이와 금연을 해야 한다. (525.8)
 2. 만성적인 통풍은 지속적인 관리가 중요하다. (525.9)
 3. 체중조절이 지극히 중요하다. 통풍환자는 정상체중보다 10-15% 더 줄이는 것이 좋다. (525.10)
 4. 급성 상태에서는 깨끗한 물을 하루에 12컵 이상 마신다. 요산을 빨리 배설하고 신장을 보호하는데 필요하다. 신장결석은 통풍환자에게 흔하다. 요산의 2/3는 신장에서 배설하고 나머지는 장에서 해결한다. (526.1)
 5. 통곡류에서 얻는 탄수화물을 넉넉하게 먹고 단백질과 지방을 적게 먹는다. 탄수화물 식품은 요산배설을 촉진하고 고지방 식품은 요산배설을 억제한다. 동물성 단백질은 특히 해롭다. 통풍은 육식만 끊어도 큰 도움을 받는다. (526.2)
 6. 요산은 푸린대사의 부산물이다. 푸린이 적게 포함된 식품은 통풍치료에 사용하는 전통식품이다. 푸린이 미미하게 포함된 식품은 야채, 과일, 통곡류 등등이다. (5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