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별 천연치료 질병별 천연치료 침침한 눈(Blurred Vision)
 I. 설명
 

 침침한 눈은 몇 가지 구별되는 모양의 시력장애 상태를 종합적으로 말하는 것이다. 어떤 때는 모든 것이 희미하게 보이기도 하고 또는 사물의 한 구석이 침침하게 나타나며 다른 경우는 섬광이 나타났다가 흑점이 보이는 때도 있다. 침침한 눈의 시력 장애를 가져오는 가장 일반적인 문제는 근시와 원시 문제이다. 이것은 여러 달 또는 여러 해 동안 점진적으로 생기며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로 교정될 수 있다. 그 외의 대다수의 시력 장애는 안과 질병과 관계가 있는데 신속한 치료를 하지 않으면 시력을 잃을 수도 있다. 일부 정신성 질병도 시력 장애를 가져오는데 주로 중추신경계와 관련되어 나타난다. (505.1)
 II. 원인
 1. 만곡형 눈(bulging eyes): 만곡형 시력이 통증은 없고 다만 만곡형 눈과 관련하여 나타난다면 그것은 눈 뒤의 조직에 염증이 생기는 안구 돌출증(exophthalmos)의 증상이 될 수 있다. 이런 상태는 갑상선 기능 항진, 안구 종양, 또는 안와 봉소염(orbital cellulitis)으로 알려진 안와 감염 등과 함께 나타나기도 하고 또는 독립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506.1)
 2. 백내장(cataracts): 나이가 50이 넘은 사람이 몇 주일이나 몇 달이 지나는 동안 서서히 눈이 침침하게 되면 아마도 백내장이 발생한 것인데, 이는 눈의 렌즈에 불투명체가 생긴 것이다. 백내장은 흔한 질병이며 수술로 쉽게 치료된다. (506.2)
 3. 원시 또는 근시(far- or nearsightedness): 근시(myopia)는 사람이 나면서 가지고 나오는 만성 상태이다. 보통 어린 시절에 확인되며 안경으로 교정된다. 원시의 경우 어린 시절에 나타나는 원시(hyperopia)는 안경으로 교정되며 중년에 이르러 점진적으로 나타나는 노안(presbyopia)은 남은 생애 동안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를 시력에 따라 조절해 가면서 시력을 유지하게 된다. (506.3)
 4. 녹내장(glaucoma): 급성 녹내장은 안구에 체액 압력이 갑자기 발생하면서 나타나는데 신속하게 치료하지 않으면 영구적으로 시력을 잃게 된다. 증상은 한 쪽 눈이 침침해지고 불빛의 후광이 나타나며 그리고 눈의 통증이 생긴다. (506.4)
 5. 홍채염(iritis): 홍채의 염증으로서 일반적으로 통증, 모양(毛樣)충혈, 수명(羞明), 동공수축, 그리고 홍채탈색 등이 나타난다. (506.5)
 6. 퇴행성 반점(macular degeneration): 나이가 50이 넘은 사람에게 눈의 주변이 아니고 중심부가 침침하게 되면 퇴행성 반점이라고 하는 만성상태가 발생한다. (506.6)
 7. 편두통(migraines): 심한 두통이 일어나기 직전에 빛이 번쩍거리거나 초점이 흐려지고 또 침침하게 되면서 때로는 오심과 구토를 수반하면 편두통이라고 하는 혈관성 두통이 발생한 것이다. (506.7)
 8. 미니 뇌졸중(mini-strokes): 한 쪽 눈이 침침하고 두통, 현기증, 그리고 몸 한편에 무감각이나 쑤시는 증상이 생기면 일과성 허혈성 발작(transient ischemic attack) 또는 미니 뇌졸중이 발생한 것이다. 이것은 뇌졸중의 전조이기도 한다. (506.8)
 9. 망막 박리(網膜剝離, retinal detachment): 이것은 망막 내층의 신경성 망막이 색소 상피(色素上皮)에서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신속한 의학적 조치가 필요하다. (506.9)
 10. 망막증(retinopathy): 망막의 비염증성 질환 전반을 말한다. 당뇨병이나 고혈당을 빨리 다스리지 않으면 망막의 혈관을 손상시키는데 이것을 당뇨 망막증이라고 한다. 때때로 이런 합병증은 성인 당뇨병의 첫 번째 증상이 되기도 한다. (506.10)
 III. 예방 및 치료
 1. 나이가 40이상이거나 교정된 렌즈를 착용하는 사람이 점진적으로 시력 장애가 온다면 렌즈의 도수를 조정하면 된다. (507.1)
 2. 만일 시력 장애가 편두통을 수반한다면 예방 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507.2)
 3. 깨끗한 물을 충분히 마시고 조용하고 서늘하고 어두운 방에서 숙면을 취하고 나면 편두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 (507.3)
 4. 전체적인 건강증진을 위하여 NEWSTART 천연치료를 적절하게 적용한다(가슴앓이 참조). (507.4)
 5. 정혈작용과 혈액순환 촉진을 위하여 원적외선 온열매트 70°C에서 40-60분 정도의 전신 열 치료를 적용한다. 땀이 나기 시작하면 머리와 목과 얼굴에 냉 습포를 적용한다. 치료 후에는 30분 정도 누운 자세로 편안하게 휴식을 취한 다음 이동하도록 한다. (507.5)
 6. 매일 30분-1시간 정도의 일광욕을 하고, 실내에서는 풀 스펙트럼라이트를 사용하여 광선치료를 한다. (50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