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확대경 - 출애굽기 제 III 부 하나님께서 언약을 세우심 (출애굽기 19-24장) 제 8 장 하나님께서 언약을 세우심 (출애굽기 19, 20장)
 다듬은 돌을 금하는 것은 다소 그 의미가 확실치 않다. 이것은 아마도 다듬은 돌을 사용하여 제단을 만드는 가나안이나 다른 이방 풍습을 언급하고 있는 것 같다. 이스라엘의 제단은 차별화 되어야 했다. 많은 다른 민족의 제단들은 층계가 있었으며 제사장들은 속옷을 입지 않았다. 이스라엘의 제사장들은 그들의 제단에 봉사할 때 그들의 하체를 이와 같이 노출해서는 안 되었다. (223.5)
 하나님께서는 제단을 토단으로 쌓을 것과 제물을 육축으로 드릴 것을 원하셨다. 더욱 중요한 것은 하나님께서 제단의 위치를 선택하셨다는 것이다(24절). 하나님께서 어느 곳을 선택하시든지 그곳으로 나오는 자들은 하나님을 만났으며 그분으로부터 축복을 받았다. (224.1)
 하나님께서는 제단의 상세한 내용을 돌아보셨다. 이스라엘은 주변 국가들처럼 제사를 드릴 수 없었다. 이스라엘은 하나님께서 선택하신 장소와 택하신 방법으로 제사를 드려야 했다. 이스라엘이 그와 같은 방법으로 제단을 쌓을 때 하나님께서는 그곳에 임재 하셨으며 이스라엘을 축복하셨다. (224.2)
 하나님의 임재와 음성을 듣는 강력한 경험은 끝났다. 하나님과의 언약 속에 이스라엘이 이행해야 할 의무가 이제 상세히 전달되었다. 세부적인 사항들은 다음 장들에서 자세히 다루기로 하자. (224.3)
 ■ 말씀을 적용함
 1. 지금 당신이 시내 산에서 벌어지고 있는 현상을 이스라엘과 함께 목격하고 있다고 하자. 어떤 생각과 감정이 일어나는가? 가장 인상적인 장면은 무엇인가? 흥미로운 것은 무엇이며 그렇지 않은 것은 또 무엇인가? 만약 하나님께서 오늘날 당신을 믿는 백성들에게 말씀하신다면 똑같은 방법으로 말씀하시겠는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224.4)
 2. 하나님께서는 당신을 독수리의 날개로 품으시며 제사장으로 삼고 계신가? 그렇지 않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만약 그렇다면 왜 그렇게 생각하는가? 하나님께서는 오늘날도 역시 당신의 백성들이 구별되기를 원하시는가? 하나님의 보배로운 소유물이 되는 것에는 위험이 따르는가? 어떤 위험들이 있는가? 어떻게 그 위험들을 피할 수 있는가? (224.5)
 3. 오늘날 당신에게도 너무나 거룩하여 손댈 수도 없고 오를 수도 없는 “거룩한 산”과 같은 존재가 있는가? 또는 너무나 거룩하기 때문에 조심해서 다루어야만 하는 무엇이 있는가?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무엇이 당신으로 하여금 존경과 경배가 생기도록 하는가? (225.1)
 4. 십계명을 잘 살펴본 후에 당신의 생활에 적용해 보라. 어떤 신을 섬기고 싶은 유혹을 받은 적은 없는가? 당신을 유혹하는 우상은 있는가? 하나님의 성호를 망령되게 한 적은 있는가? 십계명을 이해함으로 당신의 실생활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를 생각해 보라. (225.2)
 5. 십계명은 하나님의 선물인가? 성가신 규제인가? 어떻게 십계명을 이해하고 있는가? 십계명을 구원의 조건으로 이해하는가? 아니면 하나님의 구속적 역사의 문맥 안에서 이해하고 있는가? 십계명의 어떤 부분이 당신의 이론과 맞아떨어지는가? 당신의 이론 중 십계명에 순종하도록 하는 것을 어렵게 하거나 용이하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또 그 이유는 무엇인가? (225.3)
 6. 오늘날 하나님께서 어떤 부분에서 당신의 이름이 함부로 사용되지 않기를 원하시는가? 어떤 방법으로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이름이 거룩하게 사용되기를 원하시는가? 오늘날 당신은 어떤 규례를 정하여 예배를 드리고 있는가? 예배 중 어떤 부분이 이방의 다른 신들의 예배 방법을 좇는 그릇된 예배가 될 수 있는가? (225.4)
 ■ 말씀을 연찬함
 1. 용어 색인을 사용하여 시내 광야와 언약이라는 단어를 찾아보고 구약과 신약에 시내 산 언약으로 언급된 다른 여러 곳을 찾아보라. 갈라디아서 4:21-31과 히브리어 12:18-24을 반드시 찾아보라. 언약은 어떻게 묘사되어 있는가? 왜 두 성경이 시내 산의 사건을 이야기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두 성경은 시내 산의 사건을 공정하게 다루고 있는가? 지금까지 배운 것을 기초로 할 때 시내 산 언약은 당신에게 무엇을 신뢰하도록 하는가? 또 시내 산 언약은 하나님과 이스라엘을 어떠한 태도로 바라보게 하는가? (226.1)
 2. 용어색인을 사용하여 신약(또는 특별히 마태복음이나 로마서)에 나타난 율법(law)이라는 단어를 모두 찾아보라. 율법이라는 단어는 각각의 경우에 있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확실히 이해할 수 있도록 문맥을 충분히 읽어 보라. 십계명 외에 신약에서 율법이라는 단어를 어떤 의미로 사용하고 있는가? 십계명과 동일한 의미의 성경절들을 찾아보라. 십자가 사건 이후에 십계명은 그리스도인의 삶에 어떤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가? 십계명에 관한 모든 성경절들은 모두 의미에서 동일하고 분명한가? 당신은 어떤 문제들을 발견했는가? 또 그 문제들을 어떻게 설명하겠는가? (226.2)
 ■ 말씀의 추가 연구
 1. 엘렌 G. 화잇의 부조와 선지자, 303-310을 잃어 보라.

 2. 언약이라는 단어가 성경에 어떻게 쓰이고 있는가에 대한 더욱 심층적 연구를 위하여 Gerhard Hasel의 “Covenant in Blood” 7-9장을 특별히 잘 읽어 보라.

 3. 시내 산 언약의 독특함에 관하여 Nahum M. Sarna의 “Exploring Exodus” 140-144쪽을 읽어 보라.

 4. 십계명을 심층 있게 다룬 John I. Durham의 “Exodus” 284-299쪽을 읽어 보라. (2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