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확대경 - 출애굽기 제 III 부 하나님께서 언약을 세우심 (출애굽기 19-24장) 제 8 장 하나님께서 언약을 세우심 (출애굽기 19, 20장)
 이스라엘은 이제 애굽으로부터 해방되었다. 이제 그들의 헌신이 필요한 때가 왔다. 이스라엘의 구원은 결혼 구애와 비교된다.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자비하신 권세를 이해하게 되었다. 이제 “결혼”할 때의 언약과 헌신이 필요한 때가 왔다. (193.1)
 인상적인 혼인은 결혼 관계를 더욱 견고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 결혼 예식은 당사자들에게 어떤 유익이 있다. 시내 산에서의 여호와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결혼은 구름과 불, 천둥과 번개, 나팔과 연기 등이 어우러진 멋진 예식이었다. 주 하나님께서 직접 당신의 신부를 맞고자 하강하셨다. 엄숙한 서약이 교환되었으며, 십계명이 선포되었다. 이 예식은 너무나 인상적인 것으로 오래 기억될 것이다. (193.2)
 우리는 이제 결혼을 공부하는 학생들이 될 것이며 이 결혼에 관한 모든 것을 자세히 공부할 것이다. 이 결혼식은 과거에 있었던 일들에 관하여 가르치고 있지만, 오늘날 벌어질 일들을 또한 가르치고 있다. 하나님과의 “결혼”은 어떤 결과를 수반하게 되는가? 또 어떻게 우리들은 이와 같은 결혼을 올바르게 치를 수 있을 것인가? 이와 같은 교훈은 우리의 헌신과 서약을 보다 의미 있게 만들며 “이혼”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193.3)
 ■ 말씀에 들어감
 출애굽기 19장을 두 번 정독한 후에, 준비한 출애굽 노트를 사용하여 아래의 문제들에 대한 답을 달아 보라. (194.1)
 1. 본문에 나타난 사건들의 지리적인 배경은 어떠한가? 3:1219:1-3을 비교해 보라. 이들 장소들이 지닌 의미는 무엇인가? 이 사건들의 시간적 배경은 또 어떠한가? 19:112:2, 3, 17, 18을 비교해 보라. 이스라엘이 애굽을 떠나온 지 얼마나 되었나? 시간이 언급된 이유는 무엇인가? (194.2)
 2. 출애굽기 19:3-6은 언약에 관한 기본적 조건을 제시하고 있다.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지시하신 언약에 관한 구체적인 요건들을 나열해 보라.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에게 요구하신 구체적인 것들은 무엇인가? 만약에 이스라엘이 언약을 받아들일 경우 이스라엘은 무엇이 되는가? 이스라엘 외에 다른 민족들도 하나님의 긍휼하심에 포함되어 있는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이스라엘은 이 언약의 조건들에 어떻게 반응하였는가? (194.3)
 3. 이스라엘이 하나님과 대면할 때 특별한 규례들이 요구되었다. 그 규례들을 일일이 나열해 보라. 그러한 규례들이 주어진 이유는 무엇인가? 하나님께서 그러한 규례들을 주신 이유는 무엇인가? (194.4)
 4. 하나님께서 시내 산 정상에 임재하실 때 여러 가지 방법으로 나타나셨다. 시내 산에 나타나신 하나님의 임재의 방법들을 나열해 보라. 왜 그토록 많은 자연적 현상들이 나타났는가? 성서사전과 주석을 사용하여 이러한 자연적 현상들이 지닌 의미를 찾아보라. 또 이러한 자연적 현상들이 이스라엘에게 끼친 영향은 무엇인가(20:18, 19)? (194.5)
 5. 모세가 시내 산을 몇 번 왕복하였는가? 시내 산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가? 누가 모세와 동행할 수 있었는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이들의 시내 산 여정의 의미는 무엇인가? (194.6)
 ■ 말씀을 탐구함
 언약의 배경
 실로 중요한 사건들이 벌어지려 하기 때문에 시간적 공간적 배경을 이해하는 것은 참으로 중요하다. 이스라엘 백성은 르비딤을 떠나 시내 광야에 이르게 되었다. 그들은 “시내 산 앞에” 장막을 쳤다(19:2). 앞서 언급했듯이 이 산의 위치를 어렴풋이 추측할 뿐 정확한 위치는 알 수가 없다. (195.1)
 더욱 중요한 사실은 이스라엘 백성이 이 지점에 이르게 되어 출애굽기 3:12에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이르신 말씀을 성취하셨다는 사실이다. 하나님의 언약이 진실되다는 증거는 하나님께서 타는 떨기나무로 모세에게 나타나셨던 바로 그 장소에서 다시 이스라엘 백성 앞에 나타나셨다는 사실이다. 이 장소는 앞으로 펼쳐질 출애굽기 사건의 무대이며 민수기까지 더 이상 이스라엘의 이동은 없을 것이다. (195.2)
 19:1에 이스라엘은 애굽으로부터 나와 제 삼 월에 시내 광야에 도착했다. 그 날이 몇 일인지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그 이유는 아마도 이 사실이 단순히 시간적 개념의 틀을 제공하기보다는 칠칠절 또는 오순절과 관련이 있기 때문인 것 같다. 이스라엘이 애굽을 떠나온 지가 7주 또는 50일 가량 되었다. 유대 종교력과 토라 그리고 율법서에는 유월절 7주 후에 오순절, 칠칠절을 기념하였다(Williams, 82 참조)라고 적혀 있다. 따라서 이스라엘 백성이 애굽에서 나와 시내 광야에 도착한 시기는 이스라엘의 축제 절기와 맞아떨어진다. 출애굽 사건과 축제 절기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195.3)
 이스라엘은 하나님께서 주시는 특별한 은혜를 모두 경험하게 되었다. 이제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의 은혜와 구원에 대하여 어떤 의무를 지니게 되는지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자. (195.4)
 대부분의 성경 번역은 “바로 그때(날)”를 이스라엘이 시내 광야에 도착한 제 삼 월로 연결시키고 있다. 한 가지 문제는 그때(날)를 말해 주는 숫자가 없다는 사실이다. (196.1)
 어떤 이들은 그때(날)를 19:3에 모세가 시내 산에 올랐던 그날과 연결시키기도 한다. 만약에 이것이 사실이라면 2절은 이스라엘의 여정과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삽입구가 되는 것이다(Durham의 Exodus, 256, 257 참조). 1절에서 3절까지의 의도는 시내 산을 몹시 오르고 싶어하는 모세의 심정을 보여준다. 그는 하나님을 하시라도 빨리 뵙고자 했다. 이스라엘이 시내 광야에 도착한 “그때(날)”에 모세는 시내 산을 올랐다. 이런 식의 이해는 가능하다. (196.2)
 모세가 시내 산에 오르자 하나님께서는 무슨 말씀을 하셨는가? 19:3-6까지의 간략한 요약은 하나님과 인간 관계의 참된 본질을 보여 주고 있다. 구약의 나머지 부분과 신약도 사실 이 관계의 연장이며 이 관계를 기초로 하고 있다. 우리가 세 부분으로 나누어 고찰할 때 주의 깊게 관찰해 볼 필요가 있다. (1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