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별 천연치료 질병별 천연치료 천명(喘鳴, 씨근거리는 숨, Wheezing)
  • 1
 I. 설명
 

 천명은 호흡에 의하여 나오는 피피하는 소리로서 기관지 협착이나 그 밖의 병변이 있을 때 나타난다. 특징은 빨리 들이키고 내쉴 때는 힘들어하면서 씨근거리는 소리를 낸다. 천식이나 만성 기관지염 또는 폐기종과 같은 만성 호흡기 질병을 가진 자들은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천명을 나타낸다. 그러나 천명이 갑자기 나타나거나 평소의 천명이 갑자기 악화되면 생명의 위협을 나타내는 증상이 되기도 한다. 보조 치아나 핀, 동전, 그리고 땅콩 조각 같은 음식 덩어리가 기도에 들어가면 호기 시에 천명을 일으키게 된다. 이런 경우는 즉시 의료적인 조치를 취하여 응급 사태를 해결하도록 한다. (473.1)
 II. 원인
 1. 알레르기(allergies):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문제가 되지 않는 알러겐(allergen)에 비정상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allergens)은 대표적인 예를 들면 화분, 먼지, 그리고 동물의 비듬 등이며 상부 호흡기계에 영향을 주는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킨다. 증상은 콧물, 재채기, 그리고 눈물 등이다. 그러나 일부 알레르기는 하부 호흡기 기관에 영향을 주면서 천명을 일으키기도 한다. (473.2)
 2. 천식(asthma): 만성 호흡기 질병으로 어린이에게 가장 자주 나타나며 이따금 천명과 호흡곤란을 일으킨다. 화학 물질이나 먼지와 같은 직업적인 자극물에 노출되는 사람들은 또한 천식을 일으키기도 한다. 천식 병력을 가진 사람이 힘든 일을 한 후에 천명이 나타나면 아마도 가벼운 천식일 수 있다. 호흡 곤란이 심하여 질식될 것 같은 느낌이면 심각한 상태이므로 신속하게 의학적 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473.3)
 3. 기관지염(bronchitis): 하루나 그 이상 천명이 생기면서 37.8°C 이상 열이 오르면 바이러스 감염으로 오는 급성 기관지염이다. 약간의 차도가 있으면서 천천히 발생하는 가벼운 천명이 기침을 수반하고 회색 또는 녹황색 담을 분출시키면 만성 기관지염이다. 4. 폐기종(emphysema):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교환하는 작은 폐포들이 손상을 받는 질병이며 천명과 함께 가쁜 호흡과 자주 재발하는 기관지염을 일으키는 증상을 수반한다. 증상은 천천히 악화되면서 여러 해를 지나면서 점진적으로 나타난다. (474.1)
 5. 심부전(heart failure): 심박동 정지(cardiac arrest)와는 달리 심부전은 오래된 고혈압이나 심장 판막 질병 또는 일부 다른 문제로 심장의 혈액 펌프 작용이 부적절하게 나타나는 상태를 말한다. 결과적으로 혈액이 정맥으로 거슬러 역류하게 된다. 어떤 경우에는 이런 혈액역류가 폐의 부종과 충혈상태를 일으킨다. 폐부종은 충혈성 심부전이 일으키는 급성 또는 생명의 위험을 주는 증상이다. 갑자기 천명이 발생하고 기침과 함께 거품과 분홍 및 흰색의 담을 분출시키면 폐부종의 증상으로 예상된다. (474.2)
 6. 폐의 직업병(occupational lung disorders): 일터에서 화학물질, 먼지, 그리고 다른 물질들을 오랫동안 접촉하게 되면 여러 가지 호흡기 질병을 일으키게 된다. 실제적으로 하부 호흡기계에 영향을 주는 질병들은 천명이나 기관지염 그리고 유사한 증상들을 촉발시킬 수 있다. (474.3)
 III. 예방 및 치료
 1. 천명이 계속 사라지지 않으면 원인이 무엇인가를 알기 위하여 진단을 받는다. (474.4)
 2. 천명을 일으키는 만성질환에 대하여 스스로 돌볼 수 있는 방법을 익히도록 한다. (474.5)
 3. 갑작스럽고 심한 천명이 생기면서 분비물이 기침에 섞여 나오면 신속하게 의학적인 조치를 취한다. (474.6)
 4. 응급사태가 지나간 후에 필요에 따라 NEWSTART 천연 치료를 적용한다(뉴스타트(NEWSTART) 천연치료 기본적용 참조). (474.7)
 5. 체력을 확인하면서 원적외선 온열치료를 알맞게 적용한다. 온열매트 44-56°C에서 30-40분 정도의 온열치료는 정신적 안정과 혈액 순환 촉진에 매우 유익한 치료이다. 머리와 얼굴은 시원하게 냉 습포를 적용한다. 발한을 위해서는 온열매트 70°C이서 1시간 정도 전신 열 치료를 적용하고 땀이 나기 시작하면 머리와 목과 얼굴에 냉 습포를 적용한다. 치료 후에는 치료한 시간만큼 누운 자세로 편안하게 휴식을 취한 다음에 이동하도록 한다. (474.8)
 6. 실내에서는 풀 스펙트럼라이트를 사용하여 광선치료를 한다. (475.1)
 7. 균형 잡힌 영양을 신속하게 회복하기 위하여 스피룰리나를 아침과 점심 식후에 2개씩 먹는다. (475.2)
 8. 유칼립터스유를 가미한 증기를 20-30분 정도 흡입을 하고 필요에 따라 매일 2-3회 증기 흡입을 적용한다. (475.3)
 9. 목과 가슴에 열 습포를 적용한다. 찬물에 면으로 된 천을 적셔서 물기를 짠 다음 감고 모직이나 다른 천으로 둘러주는 방법으로 해열작용과 진정작용이 뛰어나다. (475.4)
 10. 일반적인 강장작용을 강화하기 위하여 스피룰리나(2개/day)와 청국장 가루(1-2T와 물 1/2컵/매 끼니)를 먹는다. (475.5)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