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자하신 성령님 제 2장 구약에 나타난 성령 IV. 성령 이해의 패러다임
  • 1
 맥스 터너(Max Turner)는 구약과 유대교에서 발견되는 성령 이해의 패러다임을 3가지로 범주화 하였다. 그것은 ‘예언의 영’, ‘새 언약의 영’, 그리고 ‘창조의 영’이다.8) (63.1)
 1. 예언의 영
 예언의 영은 활동 성격에 따라 다음 5가지 범주로 나누어진다. (63.2)
 1) 은사적인 계시9)
 예언의 영은 개인에게 은사적인 계시를 주어 그를 인도하는 역할을 하는 분으로 묘사된다. 중간사 시대의 유대교에서 이러한 은사적 계시는 보통 환상, 꿈, 또는 말씀을 듣는 일을 통해 주어지곤 하였다.10) (63.3)
 2) 은사적인 지혜11)
 랍비 유대교 문헌에서 예언의 영은 은사적 지혜를 제공하는 신적원천으로 묘사된다. 브사렐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볼지어다 여호와께서 유다 지파 홀의 손자요 우리의 아들인 브사렐을 지명하여 부르시고 하나님의 신을 그에게 충만케 하여 지혜와 총명과 지식으로 여러 가지 일을 하게 하시되”(출 35:30~31). 이사야는 메시아에 대한 예언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이새의 줄기에서 한 싹이 나며 그 뿌리에서 한 가지가 나서 결실할 것이요 여호와의 신 곧 지혜와 총명의 신이요 모략과 재능의 신이요 지식과 여호와를 경외하는 신이 그 위에 강림하시리니”(사 11:1~5). (64.1)
 3) 갑작스런 예언의 말씀12)
 예언적 말씀에는 갑작스럽게 영감을 받아 선포하는 예언의 말씀도 있고, 전에 주어진 은사적 계시의 내용을 후에 어떤 청중에게 보고하는 형태의 예언의 말씀도 있을 수 있다. “때에 성신[ruah, the Spirit]이 삼십 인의 두목 아마새에게 감동하시니”(대상 12:18). “여호와의 신이 나를 빙자하여 말씀하심이여 그 말씀이 내 혀에 있도다”(삼하 23:2). (64.2)
 4) 갑작스런 은사적 찬양13)
 가장 전형적인 실례는 사무엘상 19:20~23에서 발견된다. 사울과 그의 사자들은 이 구절에서 성령의 감동에 압도되어 예언을 하게 되었다. (64.3)
 은사적 계시, 은사적 지혜, 갑작스런 예언의 말씀, 갑작스런 은사적 찬양 등은 탈굼 전승이 예언의 영에 귀속시킨 네 가지 전형적인 선물들이다.14) (65.1)
 5) 설교와 예언의 영15)
 설교는 보통 ‘은사적 주해 설교’의 한 특정한 형태로써, 말씀을 선포하는 설교자나 그것을 듣는 청중, 또는 이들 모두에 의해 성령의 능력이 지각된다. 은사적 주해 설교의 가장 두드러진 실례를 들리면 능력있는 설교나 영적인 교훈에서 발견된다.16) (65.2)
 2. 새 언약의 영
 신약의 기자들 가운데 성령을 새 언약의 패러다임에 따라 이해한 대표적인 사람은 바울이다. 바울은 고린도후서 3장에서 예레미야 31:31-34에스겔 36:26~28과 같은 새 언약 구절들에 호소하여 새 언약의 성령이 수행하는 특징적 활동들에 대해 묘사한다. 이 문제는 뒤에서 자세히 살피고자 한다. (65.3)
 3. 창조의 영
 성령이 창조에 직접 관여한 것으로 나타나는 곳은 창세기 초반부이다(창 1:2). 성령의 사역은 여기서 혼돈과 공허에 놓여 있던 땅과 깊은 흑암에 놓여 있던 세계에 신적인 질서를 제공하는 창조의 영으로 묘사되고 있다. 창세기 1장의 문맥에서 보면, 무에서 유를 만들어 내는 일 뿐만 아니라 흑암을 비추는 빛을 창조하고(3a), 혼돈한 세계와 생명 세계에 창조 질서를 부여하고(3b),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되 그들을 하나님의 형상을 닮은 존재로 창조하신다(26절). (65.4)
 구약과 유대교에서 창조의 영의 사역은 한층 더 발전된다. 구약에서 이미 새 마음과 영을 주는 일이 창조의 행위로 간주되었다. “하나님이여 내 속에 정한 마음을 창조하시고 내 안에 정직한 영[ruah]을 새롭게 하소서”(시 51:10). 여기서 창조/ 새 창조의 언어는 새 마음, 새 영을 주시는 일에 적용되는데, 이런 표현들은 개인이 하나님께 회복되어 새롭게 되는 일을 지칭하는 은유들이다.17) (66.1)
 이상의 성령 이해 패러다임 가운데 구약의 후기 예언자들과 유대교가 고대하던 것은 예언의 영의 회복이었다. 예언의 영이 오시면 그는 은사적인 계시와 지식, 지혜 등을 선포하여 이스라엘의 죄를 회개케 하고 그들을 정결케 하실 것이다(렘 31:34; 겔 36:25). 선포되는 계시와 지식, 그리고 지혜의 말씀 등은 성령의 감동을 받은 것이기때문에 결국 그것들을 듣는 사람들의 책임 있는 반응을 자극하여 하나님 앞에서 서 있는 그들의 죄악된 실존과 삶을 깨닫게 만들고 그들을 회복하고 새롭게 변화시키는 능력이 있다. 이런 의미에서 유대교가 이해한 예언의 영은 계시적일 뿐만 아니라 구원론적이고 윤리적인 성격을 될 수밖에 없다.18) (66.2)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