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별 천연치료 질병별 천연치료 중이염(Otitis Media, Earche)
 I. 설명
 

 귀의 고막 안의 공간을 중이(중간 귀)라고 하고 이곳이 감염되어 염증이 발생한 것을 말한다. 대부분의 경우 감기의 후유증으로 발생하며 유 소아에 나타나는 감염 질환 중 가장 흔한 질병이다. (462.1)
 * 원인
 중이염의 원인은 상기도 감염, 즉 다시 말해 감기이다. 귀 안에 공기를 환기시켜 주는 이관이라는 관을 따라 목이나 코의 염증이 귀로 번져서 발생한다. 어느 연령에서나 급성 중이염이 발생할 수 있지만 유 소아에서 매우 흔하다. 그 이유는 유소아의 이관이 염증이 잘 번지는 구조적인 특징이 있는데다가 감기가 어른보다 자주 걸리기 때문이다. 알레르기 비염 등의 알레르기 질환이 있는 경우, 보육 시설에 다니는 경우, 젖병을 물고자는 경우, 간접흡연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경우 등에서 더 흔히 발생한다. (462.2)
 * 증상과 진단
 가장 흔하고 두드러지는 증상은 귀의 통증이다. 감기가 걸린 상태에서 귀의 통증이 생겼다면 급성 중이염의 가능성을 생각해야 한다. 의사 표현을 하지 못하는 아주 어린 아이의 경우는 통증이 있는지 직접 알 수가 없으므로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다. 귀 주변을 만지는 전에 없던 행동을 하거나 평소와 다르게 심하게 보채면서 먹지 않으려 하거나 잠을 자지 않은 증상이 있는 경우 반드시 의심해봐야 한다. 염증이 심하면 열이 나기도 하고 고막이 터지면서 귀 밖으로 노란 고름이나 피고름이 흐르기도 한다. 수면장애가 오고 설사, 두통, 청력 저하, 귀 울림, 귀 먹먹함이 동반될 수 있다. (462.3)
 중이염은 의사에 의한 진찰을 통해 진단한다. 귀 안을 볼 수 있는 이경이나 귀 내시경으로 고막과 주변의 모습을 관찰하고 특징적인 염증 소견을 발견함으로써 진단할 수 있다. 귀지 때문에 고막을 관찰할 수 없다면 의사는 귀지를 충분히 제거하고 고막을 관찰한다. 필요한 경우 진단을 위해 추가적으로 몇 가지 청력검사를 받기도 한다. (462.4)
 II. 예방 및 치료
 * 예방조치
 1. 재발성 중이염을 가진 아이들은 호흡기 질환이 있는 동안 코를 세게 푸는 것을 조심해야 한다. 코를 푸는 압력에 의하여 감염분비물이 중이 속으로 들어갈 수 있다. (463.1)
 2. 영아는 우유 대신에 모유를 먹도록 한다. (463.2)
 3. 일반적으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우유, 계란, 초콜릿, 콜라 등을 제거한다. 감귤류(오렌지)는 어린이들에게 또 다른 흔한 알레르기원이다. (463.3)
 4. 깨끗한 물을 식간에 하루 8-10컵을 충분하게 마시는 것은 목과 귀의 분비물들을 빨리 제거하도록 돕는다. (463.4)
 5. 어떤 형태의 충혈방지제든 약품을 피하도록 한다. 그것들은 탈수와 혈관수축에 영향을 준다. (463.5)
 6. 밤에 머리를 좀 높게 하면 분비물 배설이 더 잘 될 것이다. (463.6)
 7. 환자는 담배를 멀리하고 함께 사는 사람들도 금연하도록 한다. (463.7)
 * 천연치료
 1. 어떤 형태의 자연치료든지 목표는 우리 몸에 있는 자생력을 강화하여 우리 몸 스스로 병을 이기도록 하는 것이다. 조건을 갖추면 이렇게 저절로 낫는 것이 자연치료이다. (463.8)
 2. 숯가루를 넣은 면주머니를 증기로 가열하여 귀와 귀주위에 숯 찜질을 20-30분 정도 적용한다. 일반 타월로 온(3분)랭(30초) 교차찜질을 4-6회 반복하는 치료를 할 수도 있다. (463.9)
 3. 온찜질 대신에 환자의 취향에 따라 냉 습포를 귀와 귀주위에 적용할 수 있다. 분비물이 귀에서 잘 나오지 않으면 얼음물을 몇 방울 귀에 떨어뜨릴 수 있다. 통증완화에도 도움이 된다. (46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