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심호흡은 흉곽에서 음압을 증가시켜 대정맥을 청소하는 작용을 한다. 배를 전후로 움직이는 복식호흡을 하고 들이키는 시간이 내쉬는 시간의 2배가되게 한다. 경쾌하게 노래를 부르는 것도 비슷한 작용을 한다. (444.1)
2. 다리를 매달리지 않도록 한다. 오금의 혈관들이 압박되어 혈류를 방해할 수 있다. (444.2)
3. 다리를 꼬는 것도 혈관에 압박을 줄 수 있다. (444.3)
4. 식이섬유를 넉넉하게 먹도록 하여 배변을 수월하게하면 다리의 정맥이 받는 압력을 줄일 수 있다. (444.4)
5. 집에서 쉬는 시간에 발과 다리를 심장보다 더 높게 하면 중력에 의하여 심장으로 피를 잘 보낼 수 있다. 혈류증가는 울혈을 막고 새로운 혈전형성을 방지한다. 다리를 올리면 정맥압이 내려가고 부종이 줄고 통증이 완화된다. 발을 심장보다 15cm 이상 올리는 것이 가장 좋다. 베개를 다리 밑에 놓으면 무릎이 발보다 높게 되어 혈류를 방해한다. (444.5)
6. 양말과 허리띠 그리고 다른 의상이 너무 조이면 혈류에 방해가 된다. (444.6)
7. 금식은 혈전을 줄인다. 1주일에 1-2일 금식은 큰 유익이 된다. 금식하는 날에는 깨끗한 물을 12컵 이상 조금씩 자주 마신다. (444.7)
8. 규칙적인 운동은 혈류를 증가시켜 혈전을 풀어준다. (444.8)
9. 고단백질 음식은 혈전요인을 증가시킨다. (444.9)
10. 여행이나 TV 시청 등 앉아있는 시간이 길면 정맥울혈 위험이 증가한다. 매 시간마다 일어나 몇 분 동안 힘차게 걷는다. (444.10)
11. 물속에서 걷거나 수영을 하는 것은 큰 도움이 되는 운동으로 물속에서는 중력이 줄고 수압의 영향으로 정맥혈류를 촉진한다. (444.11)
12. 매시간 마다 2분 정도의 자전거를 타면서 15번 힘차게 호흡을 하면 혈전방지에 아주 좋다. (444.12)
13. 저지방 식사를 하고 충분하게 물을 마시면 피의 점도를 감소시킨다. 적혈구 용적이 45% 이상 되는 40세 이상의 환자는 수술 후에 심부정맥 혈전이 생길 위험이 73%나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444.13)
14. 원적외선 온열매트에서 50-70℃에 온도를 맞추고 예열되는 동안 20분 정도 온수각탕을 하고 30분 또는 1시간동안 전신 찜질을 하도록 한다. 찜질 후에 찬물 수건으로 몸을 닦아준 다음 타월로 몸을 덮고 30분 이상 누운 채로 휴식을 취한다. (444.14)
15. 만성, 재발성, 거동이 불편한 정맥혈전 환자의 경우 음식알레르기와 환경 알레르기를 철저하게 관리하면 도움이 된다. (444.15)
16. 상기 조처는 주로 표재정맥 혈전에 관한 유의사항이었다. 심부정맥 혈전이 의심되면 이것은 매우 위험한 병변이므로 입원치료가 필요하며 의사의 도움을 받아 수술이나 혈액응고 방지제나 헤파린을 투여해야 할 것이다. (445.1)
17. 항상 편안하고 즐겁고 가벼운 마음가짐이 치료에 매우 중요하다. (445.2)
18. 일반적인 강장작용을 강화하기 위하여 스피룰리나(2개/day)와 청국장 가루(1-2T와 물 1/2컵/매 끼니)를 먹는다. (445.3)
19. 정상적인 건강유지를 위하여 모든 면에서 뉴스타트(NEWSTART) 생활을 균형 있게 꾸준하게 적용하도록 한다(뉴스타트(NEWSTART) 천연치료 기본적용 참조). (4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