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1. 풀무는 실제로 “평일보다 7배나 더 뜨거웠”는가?
 일부 비평가들은 당시 바벨론 인의 기술로는 풀무불을 평일보다 7 배로 더 뜨겁게 할 수가 없었고 따라서 이 이야기는 믿을 만한 것이 못 된다고 말한다. 그러나, 성경은 그 풀무가 실제로 7 배나 더 뜨거웠다고 말하고 있지 않고 단지 그렇게 하라고 명령한 사실만을 전하고 있다. 당시 상황이 그렇던 만큼, 그는 그렇듯 비합리적인 명령을 능히 할 수도 있었다. 따라서, 이 귀절은 당시 그 풀무불이 몇 도이었든지 간에 온도가 꼭 7 배로 올라갔다는 뜻을 의미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20~30 도의 차이가 나도, 추운 아침이 더운 오후로 바뀌어지는 것이다. (57.1)
 2. 다니엘은 어디 있었는가?
 어째서 다니엘은 풀무불 사건에 언급되지 않았는가? 아무도 모른다. 병상에 누워 있었는지, 혹 왕명으로 출장 중에 있었는지, 또는 왕과 다니엘 모두가 난처한 입장에 있지 않기 위하여 왕으로부터 봉헌식에 참석치 않아도 좋다는 허락이 있었는지도 모를 일이다. (57.2)
 다니엘은 하여 간 다니엘 6장에서 보는 바와같이 매우 늙은 시절에도 하나님께 대한 절대적 충성을 잃지 않았다. (57.3)
 3. 다니엘 3장에 언급된 악기(樂器)들은 어떤 것인가?
 뿔나팔은 짐승의 뿔이나 금속으로 만든 나팔이며, 피리는 속이 빈 대나무로 만들었을 풀루트이었으며, 수금은 당시 소리판이 달린 정사각형에 가까운 몸통에 여러 개의 줄이 매어져 있는 흔한 현악기였고, 삼현금은 소리판이 달린 삼각 몸통에다가 4 개의 줄이 매어져 있는 현악기였다. 수금과 삼현금은 크기가 현대의 기타와 비슷했으며, 소리는 기타보다 다소 높았다. 양금(하프)은 현대 하프를 닮았으나 줄은 11, 12 개로 좀 작았고, 음 높이도 낮았다. 생황은 희랍에서 시작된 악기로서 스코틀랜드의 풍적과 모양이 비슷한데, 그 몸통은 개가죽으로 만들었던 것 같다. 비평가들은 다니엘에 생황이 언급된 것을 가지고 풀무불의 이야기를 가상적인 이야기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현재는 기원전 6세기에 이미 희랍 사람들이 바벨론에서 무역 업자나 용병 또는 건설 업자로 활동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이들이 사용하는 신기스럽게 생긴 악기가 느부갓네살의 관심을 끌었을 것이 분명하다.5 (57.4)
 


왼쪽으로부터 금속으로 만든 트럼게, 플루트, 거닐면서도 연주할 수 있는 하프, 수금
(57.5)
 1. See Wiseman, Chronicles, p. 73.

 2. 풀무불 사건의 정확한 연대는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그 때가 유다 왕 시드기야 제 4년에 해당하는 기원전 594/593일 가능성이 높다. 예레미야 51장 59절에 의하면, 시드기야가 재위 4년에 바벨론을 방문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그의 바벨론 방문 목적이 금신상 헌당식 참가일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이다. 만약 그렇다면, 그는 자신이 유다왕이며 또 십계명을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금신상에 절했음이 분명하다.. 그의 이름은 예레미야서에 자주 나타나며 의지가 약한 왕으로 소개되었다.

 3. Contenau, Everyday Life, pp. 246~248, 258.

 4. Arthur Whitefield Spalding, Origin and History of the Seventh-day Adventists, 4 vols. (Washington, D.C.: Review and Herald Publishing Association, 1961, 1962), 4:301; see Booton Herndon, Unlikeliest Hero (Mountain View, Calif.: Pacific Press Publishing Assciation, 1967).

 5. 희랍 악기에 대해서는 T.C. Mitchell and R. Joyce, “The Musical Instruments in Nebuchadnezzar's Orchestra,” in D. J. Wiseman, et al., Notes on Some Problems in the Book of Daniel (London: Tyndale Press, 1965), pp. 19~27을, 다니엘 시대의 바벨론에 희랍인이 존재했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E. Yamauchi, Greece and Babylon (Grand Rapids, Mich.: Baker Book House, 1967)을 보라.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