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서적 언약신학 제 9 장 옛 언약에 대한 바울의 변증
 루터도 비슷한 이해를 하였다. 그는 이스라엘이 모세에게 그의 얼굴의 광채를 수건으로 가려달라고 한 것은 하나님의 거룩의 위엄이 그들의 죄악을 드러낼 것이고, 그들은 멸망당할 것이 두려워 고백하기를 원치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결과는 하나님의 율법은 더 이상 거룩한 영광을 드러낼 수 없는 것이었다. 수건으로 가리어진 율법은 그에게 배당된 자기의 의를 내려놓는 일을 더 이상 하지 못한다. 인간이 하나님의 율법의 계명을 조정할 수 있고 글자 그대로 그 모든 것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은 환상이다.21 (162.1)
 신학적으로 말하면, 가리어진 율법은 그 영광스러운 시여자로부터 분리된 율법이라는 것이 핵심이다. 바울은 복음이 하나님의 영광을 가리지 않고 신자에게서 그 변화시키는 영광을 계속 증가시키기 때문에 그의 복음의 영광이 시내 언약의 영광보다 우월하다고 주장한다. 기독교 신자는 하나님의 임재 앞으로 곧 바로 나아간다. “주는 영이시니 주의 영이 계신 곳에는 자유함이 있느니라 우리가 다 수건을 벗은 얼굴로 거울을 보는 것 같이 주의 영광을 보매 저와 같은 형상으로 화하여 영광으로 영광에 이르니 곧 주의 영으로 말미암음이니라”(고후 3:17-18). (162.2)
 바울에 따르면 복음을 믿는 자들은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영광을 매일 바라봄으로 영광에서 영광으로 변화된다. 이 변화 속에서 그리스도인들은 모세의 사라지는 영광을 능가하게 된다. 그리스도 인들은 점점 더 그리스도를 닮으라는 요청을 받는다. (162.3)
 결국 칭의의 목표는 성화이다. 갈라디아인들을 위한 바울의 사역은 “너희 속에 그리스도의 형상이 이루기까지”(갈 4:19) 봉사하는 것이었다. 성화에 관해 우리는 “구원은 그 목표가 그리스도와 일치하는 과정(롬 8:29)”22임을 확신한다. (162.4)
 화잇은 “새로운 표준을 따라 영혼이 ”소리 없이 변화를 받은 성장하는 성화의 과정을 아름답게 설명하였다. “본성적 성향은 부드러워지고 정복되었다. 새로운 사상, 새로운 느낌, 새로운 동기가 심어졌다. 그리고 그리스도의 삶이 새로운 표준이 세워졌다.”23 (163.1)
 참고문헌
 1 J. Louis Martyn, Galatians, AB 33A (1997), 42.

 2 R. B. Hays, in NIB 11(2000), 184.

 3 Ibid., 186.

 4 R. N. Longenecker, Paul: Apostle of Liberty (Grand Rapids, MI: Baker, 1976), 214.

 5 J. L. Martyn, “A Law-Observant Mission to Gentiles: The Background of Galatians,” SJT 38(1985): 316.

 6 R. N. Longenecker, Galatians, WBC, vol. 41 (Dallas: Word Books, 1990), xcviii.

 7 Edward Heppenstall, “The Law and the Covenant at Sinai,” AUSS 2(1964): 20-21.

 8 Calvin, Inst., II, 7, 2.

 9 Cranfield, Romans, ICC, 2:859.

 10 J. L. Martyn, in SJT 38(1985): 307-24.

 11 Martyn, Galatians, 441.

 12 창 21:9에 대한 유대인들의 전통에 대해서는 다음을 참조하라. Martyn, Galatians, 444, 각주, 155.

 13 Herman Ridderbos, The Epistle of Paul to the Churches in Galatia, NICNT (Grand Rapids, MI: Eerdmans, 1957), 179.

 14 E. G. White(MS 16, 1900); quoted in SDABC, 6:1,109.

 15 In SDABC, 6:823.

 16 Calvin, Inst., I, 9, 3.

 17 Ibid.

 18 Ibid.

 19 G. C. Berkouwer, Holy Scripture (Grand Rapids, M: Eerdmans, 1975), 제2장.

 20 White, Patriarchs and Prophets, 330.

 21 LaRondelle이 직접 정리한 독일어 루터 저작 요약집, WA[Weimarer Ausgabe] 40/1, 501, 17.

 22 Jerome Murphy-O’Connor, in The New Jerome Biblical Commentary(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90), 820.

 23 Ellen G. White, Christ’s Object Lessons(Washington, D.C.: Review and Herald, 1941), 98-99, 강조 첨가. (16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