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확대경 - 야고보서 제III부 참 지혜 (3:1-18) 6. 혀에 관한 잠언들 (3:1-12)
 야보고는 혀가 “쉬지 아니하는 악이요 죽이는 독이 가득한”것을 보았기 때문에 이러한 결론에 이르렀던 것이다. 새들, 벌레들, 해물(海物)과 같지 않게, 혀는 결코 완전한 통제하에 넣을 수 없다. “당시의 문맥에서 야고보는 갇힌 짐승이 이리저리 걸어다니며 도망갈 기회를 찾는 것에 관한 장면을 표현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아마도 그러한 도망을 막기 위해 짐승을 지키기 위한 것이었던 반면, 혀는 그렇지 않다”라고 Ralph Martin은 말한다(117). (154.3)
 혀가 “죽이는 독이 가득하다”(8절)고 말함으로, 야고보는 특별히 독사(毒蛇)와 혀를 비교했다. 여기에서 그는 시편 140:3에서 발견된 것과 같은 구약의 은유를 사용한다: “뱀같이 그 혀를 날카롭게 하니 그 입술 아래는 독사의 독이 있나이다.” 이러한 심상과 함께(우연히 창세기 3장에 있는 인류의 타락으로 거술러 올라가는), 야고보는 혀와 그것이 성취하는 것들에 관하여 그의 부정적인 주장에 있어서 거의 변명 없이 명백하다. 그에게 있어서, 혀는 죄악이다; 그것은 독살스러운 것이다. (155.1)
 찬양과 저주
 비유 대신에, 야고보는 다음으로 얼마나 혀가 불안정한 것으로 가득차 있는지를 보여주기 위한 특별한 보기를 사용했다. 그는 “이것으로 우리가 주 아버지를 찬송하고 또 이것으로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을 받은 사람을 저주하나니”(3:9)라고 말했다. D. Edmond Hiebert는 혀가 “실존하는 지킬 박사와 하이드”(227)라고 말했다. 그것은 John Bunyan의 “밖에서는 성인이고 집에서는 마귀”“수다쟁이”와 같은 것이다(Moo, 128). 혀의 불안정성과 이중성에 관한 이 묘사는 또한 구약성경과 다른 유대문학에서 흔한 것이다. 시인은: “입으로는 축복이요 속으로는 저주로다”(시 62:4)라고 기록하였고; Jesus ben Sirach은 후에 “만일 네가 불꽃을 내뿜으면, 그것은 빛날 것이요, 만일 네가 침을 뱉으면 그것은 꺼질 것이다”(Sir. 28:12)라고 기록했다. 야고보는 이러한 이중성을 비난했다. (155.2)
 물론 야고보는 혀의 찬양에 대한 능력을 비난하지는 않았다. 하나님을 찬양하는 것은 유대인의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부분이었다. “하나님의 이름이 언급될 때마다, 유대인은 반드시 대답해야한다: ‘그를 찬양합니다!’ 하루 세 번씩 독실한 유대인은 Shemoneh Esreh를 반복해야 했으며, Eulogies라 불리는 유명한 18기도문은 모두 ‘당신을 찬양합니다, 오 하나님’으로 시작된다”(Barclay, 89, 90). 그러나 말에 대해 가장 고귀하고, 가장 고상하고, 가장 순수한 형태를 만들어 내는 바로 그 입이 또한 저주를 불러오기도 한다. (155.3)
 성경은 저주에 대한 개념에 혼합된 견해를 주는 것처럼 보인다. 이것에 대한 Ralph Martin의 논고는 도움을 준다: “저주(신 30:19)에 대한 단어는, 비록 저주에 대해 어떤 비평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구약에서의 또 다른 일반적인 주제이다(창 9:25; 49:7; 삿 5:23; 9:20; 잠 11:26; 24:24; 26:2; 전 7:21; Sir. 4:5). 신약의 저자들은 저주(눅 6:28; 롬 12:14)에 반대하며 말했지만, 바울은 간혹 다른 사람을 거의 저주하였다(고전 5:5; 롬 3:8; 갈 5:12). 이것은 형식적인 저주(즉, 파문을 목적으로 교회에서 제외시키는 것)가 초기 공동체에서는 분명히 금지되지 않았음을 증명한다(고전 16:22; 비교 행 5:1-11; 8:20; 계 22:18-19)”(119). 그러나 야고보에게 있어서, 저주에 대해 긍정적인 것은 전혀 없다. 찬양처럼, 저주는 말 중에 가장 비천하고, 가장 저열하고, 가장 불순한 형태이다. 그는 우리가 우리를 저주하는 자들을 저주하기보다는 축복해 주어야 한다는 예수님과 바울의 권면에 동의할 것이다(눅 6:28; 롬 12:14을 보라). (156.1)
 야고보는 특별히 저주에 관한 혀의 능력에 분노를 느낀다. 왜냐하면 이 저주는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된 피조물들에게 부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아마도 여기서 창조의 이야기(특별히 창 1:27)가 아마도 야고보의 말의 배경에 놓여있었는지도 모른다. 하나님께서 그의 형상대로 창조하신 것들을 저주하는 것은 경멸받을 만하다. 어떤 점에서, 저자는 당신이 하나님의 형상(imago Dei)으로 만들어진 자를 저주할 때 당신은 분명히 하나님 자신을 모욕하고 저주하는 것임을 말하고 있다! 참으로 그렇게 하는 것은 죄악적이고 사악한 입이다. (156.2)
 비록 우리가 같은 입에서 나오는 저주와 축복이 이중적으로 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야고보는 그런 것을 시도하는 어떤 입이라도 실제로 오로지 저주하는 입인 것을 분명히 하고 있는 듯하다. 그는 헬라어 문법적 구조에 있어서 부정적인 대답을 요구하는 두 가지 문제를 물음으로 이것을 조명한다: “샘이 한 구멍으로 어찌 단 물과 쓴 물을 내겠느뇨 내 형제들아 어찌 무화과나무가 감람 열매를, 포도나무가 무화과를 맺겠느뇨?”(3:11, 12). 혹은 The Massage에서는, “사과나무가 딸기를 낼 수 있는가? 나무딸기 가지가 사과를 낼 수 있는가? 당신은 더러운 진흙 구덩이에 담겨져서 깨끗하고 시원한 물 한 컵을 얻을 수 있겠는가?”라고 설명한다. 혀는 오로지 한 종류의 열매와 한 종류의 물만을 만들 수 있다. 악한 것에 선한 것을 섞으려는 어떤 시도도 오직 악한 것만을 만들어낸다. (156.3)
 ■ 말씀을 적용함
 1. 만일 당신이 교사(교회나 지역사회에서)라면, 당신은 오래 전의 경우나, 혹은 최근의 기억 속에 당신이 교육적인 말 대신에 상처를 주고 당황하게 하는 말을 했던 때를 생각할 수 있는가? 당신은 그 상황을 어떻게 처리하였는가? 만일 당신이 그것을 처리하지 않았다면, 당신은 어떻게 야고보의 훈계를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시동걸기”로 사용할 수 있는가? 당신의 생각을 적어 보라. (157.1)
 2. 지난주에 내가 나의 입을 열어 무엇을 말하였을 때, 나는 나의 혀가 길들여지기를 원하였던 때가 있었는가? 어떻게 나는 “나의 입에 나의 발을 넣는” 조절을 할 수 있는가? (157.2)
 3. 내가 지역 사회에서 그들의 말과 행동으로 하나님을 모욕하고 모독하는 다른 사람들을 보았을 때 분노하는 나를 보았는가? 아직도 내가 싫어하는 자들에게 저주하고 나쁜 말을 할 때 그것에 대해 아무 생각도 하지 않는가? 이것이 사실이라면 그 경우를 적어 보라. (157.3)
 4. 만일 당신이 하나님을 향하여 열심인 사람으로, 아직도 어떤 사람이나 단체(그것이 민족적인 것이든 종교적인 차이든지)를 향하여 증오하는 감정을 가지고 있다면, 야고보가 당신에게 말하는 것을 당신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관해 당신의 노트에 한 문장으로 적어 보라. (158.1)
 ■ 말씀을 연찬함
 1. 성구사전을 사용하여, 선생(teacher), 가르침(teaching), 랍비(rabbi), 전문가(master)라는 단어를 포함하는 신약성경 본문을 살펴보라. 이 문구들을 추론하여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특성들을 적어 보라. (158.2)
 2. 3:6에서 야고보는 지옥 불에 대해 언급했다. 지옥에 대한 원래의 헬라어와 히브리어 단어의 차이를 구별하는 지옥이라는 단어를 성구 사전에서 살펴보라. 이 연구를 위하여 당신은 Strong, Young, Goodrich, Kohlenberger와 같은 헬라어와 히브리어에 도움을 주는 철저하고 포괄적인 성구 사전이 필요할 것이다. 성서적 본문에 기초하여, 각각의 개념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이제 성경 백과 사전이나 사전에서 그 단어를 살펴보라. 그 조사에서 발견된 어떤 추가적인 견해들을 뽑아 보라. (158.3)
 ■ 말씀의 추가 연구
 1. 1세기 유대 사회에서 선생이나 서기관에 대한 높은 존경심에 대한 예증을 보려면, J. Jeremias, Jerusalem in the Time of Jesus, 233-245를 보라.

 2. 교사에 관한 E. G. White의 기별의 가치있는 기사들은 부모와 교사에게 보내는 권면에서 발견된다; 특히 64-71과 229-271의 교사에 대한 부분을 보라. (15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