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죄와 하나님의 구속적(救贖的) 대비(對備)의 경이(驚異)에 관한 나의 이해가 히브리서의 이 부분을 연구하는 동안 증가되었는가? (211.7)
 7. 이 구절의 위대한 사상들을 명상할 때에 어떤 찬미가나 복음 성가가 떠오르는가? (211.8)
 8. 그리스도의 희생이 어떻게 나를 “영원히 온전케”(10:14) 하는가? 어떤 의미에서 내가 완전하다고 확신 있게 주장할 수 있는가? 하나님께서 나를 거룩하게 하시는 그 같은 시간에 어떻게 완전해 질 수 있는가? (211.9)
 ■ 말씀을 연찬함
 1. 레위기 16장의 대속죄일에 대하여 연구하라. 그리고 히브리서 전체를 읽고 그것에 관한 모든 구절들을 목록으로 만들라. 그 날의 의미와 목적에 대하여 레위기는 무엇을 말하는가? 레위기의 설명 외에 무엇을 더 히브리서는 이야기하고 있는가? (212.1)
 2. 성구 사전의 도움을 받아, 히브리서를 제외한 신약에서 완전한(perfect, 온전한) 또는 완전(perfection, 온전)에 관한 구절들을 찾아보라. 그리스도인의 완전을 강조하고 있는 본문들의 목록을 만들라. 히브리서에서 완전에 관한 구절들의 목록을 따로 만들라. 신약의 어딘가에 있는 본문들이 히브리서가 말하는 완전에 대한 그대의 이해에 어떻게 보탬이 되는가? 그리고 히브리서가 신약의 다른 부분들이 말하는 것에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가? (212.2)
 ■ 말씀의 추가 연구
 1. 히브리서의 대속죄일에 관한 연구를 더 하기 위해서는 W. G. Johnsson, “Day of Atonement Allusions,” in Issues in the Book of Hebrews, 105-120을 보라.

 2. 히브리서 9:23에 관한 토론을 위해서는 William G. Johnsson, “Defilement/Purification and Hebrews 9:23,” in Issues in the Book of Hebrews, 79-104를 보라.

 3. 핵심 구절들에 대하여는 H. Kiesler, “An Exegesis of Selected Passages,” in Issues in the Book of Hebrews, 53-78을 보라.

 4. 특별히 성소에 관한 신학적 고려 사항들을 위해서는 A. P. Salom, “Sanctuary Theology,” in Issues in the Book of Hebrews, 199-218을 보라. (2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