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신성 홍반성 낭창증은 루푸스 병이라고도 하는데 자가 면역질환이며 만성 감염질병으로 피부, 혈관, 장막(체강의 내막), 관절, 근육, 중추신경계 그리고 신장 등을 침해한다. 가장 일반적인 증상은 코와 볼 위에 나타나는 나비 모양의 발진이다. 이 발진은 햇볕에 노출되면 더 악화된다고 하는데 햇볕을 잘 활용하면 오히려 도움을 받는다. 이 병은 악화되는 과정 사이에 상태가 호전되기도 한다. 이것은 매우 복합적이며 다루기가 아주 까다롭다. 의학적 치료나 외과적 수술 방법도 아무것도 없다. 그래서 가장 좋은 치료는 천연치료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우선 단순한 치료제들을 활용하여 증상들을 줄이고 병의 원인을 찾아서 제거하는 것이 상책이다.
(433.1)
전신성 홍반성 낭창증은 400명중의 1명 정도로 발생하며 여성이 남성보다 5-10배 더 많이 발병한다. 그리고 백인보다 흑인에게 더 많으며 발병의 평균 연령은 30세 전후이다. (433.2)
이 병의 원인은 알려진 것이 없다. 감염, 페니실린과 같은 약물 사용, 스트레스, 그리고 외과적 수술과 같은 것들이 증상을 더 악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그 외의 다른 일반적인 증상들은 관절통이나 관절염, 피로, 열, 체중상실, 그리고 림프선 확대 등이 있으며, 좀 더 광범위하게는 피부, 신장, 호흡기계, 위와 장, 혈액순환, 그리고 중추 신경계에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상태들까지도 관련된다. (433.3)
II. 예방 및 치료
1. 지난 여러 세월 동안 전신성 홍반성 낭창증 환자에게 햇볕을 피하도록 강조되었다. 그러나 프라이(James Fries)는 그의 저서 전신성 홍반성 낭창증: 임상적 분석에서 말하기를 이런 조치는 필요하지 않다고 하였다. 그는 햇볕에 대한 과민반응은 아주 소수의 환자들에게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심지어 햇볕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들도 발병기간 내내 그런 것이 아니라는 것은 보았다. 그는 이런 과민반응 환자에게 점진적인 일광욕을 권하였다. 처음에 2-3분으로 시작하여 조금씩 늘려가는 것이며 때로는 나무 그늘에서 10분 정도로 시작하여 점점 늘려가는 것이 좋다. 햇볕은 아침 9시 전이나 오후 4시 이후에는 강도가 비교적 약하다. (434.1)
2. 매일 30분 이상 걷기와 같은 규칙적인 운동은 필수적이다. 운동부족은 근육 쇠약, 골다공증, 폐의 혈전증, 근 위축, 그리고 자기연민 등으로 나타난다. 근육 위축이나 변형은 즉시 물리치료를 받아야 한다. 이 병에 걸리면 우울증과 피로가 일반적으로 나타나며 이 두 증상을 위한 가장 좋은 해법 중의 하나는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것이다. (434.2)
3. 약품 사용을 중지한다. 수많은 약품 부작용의 경우에 실제적으로 나창증과 같은 증상을 일으킨다. 일부 피임약이 특히 부작용이 심하다. 페니실린이나 설파제(sulfanilamide)는 과민반응을 일으키는 약이다. 시메티딘(cimetidine, 위궤양이나 소화성 궤양의 특효약)은 전신성 홍반성 낭창증 환자에게 피부 질환을 악화시킨다. 콜티코 스테로이드제(cortico- steroids)도 자주 부작용을 일으키며 낭창성 질병 치료에 대한 확실한 실증이 없다. 이 약을 복용한 후 처음 며칠 동안에는 격통과 수면 장애 그리고 정서적 변화가 일어나기도 한다. 이 약을 복용한 후 시간이 좀 지나면서 근육 쇠약, 신체의 중심에 나타나는 지방 축적, 감염에 대한 저항력 부족, 위장간 내의 출혈, 골다공증, 그리고 정신적 증상 등은 소수의 실례에 불과하다. (434.3)
4. 머리 염색약, 헤어스프레이, 그리고 일부 화장품은 햇볕에 대한 피부 과민반응을 일으키며 탈모의 원인이 되므로 제거하도록 한다. 로숀이나 샴푸와 같은 것들도 필요한 경우에는 아주 약한 어린이용을 사용하도록 한다. (434.4)
5. 이 병은 여성에게 많고 출산 후에 악화되기도 하므로 내분비 요인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 전신성 홍반성 낭창증 환자에게는 에스트로겐 호르몬이 비정상적으로 많이 발견된다. 이런 이유로 에스트로겐 수준을 높이는데 영향을 주는 우유나 계란 그리고 육류 음식을 피하여야 한다. (434.5)
6. 관절염 증상을 가진 자들 중 많은 사람들(종종 낭창증 환자에게 많음)은 야행성 식품(감자, 토마토, 고추, 가지, 그리고 담배)에 과민성을 나타낸다. 이런 식품이나 제품을 엄격하게 제거하도록 한다. (434.6)
7. 꿀이나 설탕, 그리고 정제 지방(튀긴 음식, 식용유, 마가린, 마요네즈, 그리고 샐러드드레싱)을 제거하면 도움을 받는다. (435.1)
8. 천연적인 식물성 스테롤(sterols, ergosterol, phyto- sterol, sitosterol 등)을 많이 함유한 식품을 사용하면 도움을 받는다. 식물성 스테롤이 많이 들어있는 식품은 다음과 같다: (4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