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류 |
궤양성 장염 |
크론병 |
|||||||
---|---|---|---|---|---|---|---|---|---|
범위 |
대장과 직장에 한정 |
G-I tract(위-직장) 전부 |
|||||||
영향 |
장의 내부: 장 융모막은 침범하지 않음 |
장의 전층(transmural)과 외부: 장은 물론 눈, 피부, 관절, 간, 신장 등까지 |
|||||||
염증 |
염증성=직장에서 대장으로 |
염증성 |
|||||||
특성 |
바이러스성 질환 |
자가 면역질환 |
|||||||
증상 |
심한 설사, 혈변(90% 이상), 잔변감 |
심한 복통, 설사, 체중감소 |
|||||||
대장암-위험률
|
10년-0.7% |
전반적 위험도-2.5배 소장 크론병-1배 소장과 대장 크론병-3.2배 대장 크론병-5.6배 대장협착+크론병-6배 *근위부 누공과 휘어진 장관에서 자주 발생 |
|||||||
비고 |
급성 장염 |
궤양성 대장염 |
|||||||
---|---|---|---|---|---|---|---|---|---|
기간 |
1주일 이내 |
1개월 이상 지속 |
|||||||
증상 |
설사, 복통, 구토, 발열 |
혈변, 하루성사 10회 |
|||||||
호발연령 |
전 연령대 |
청년기 발병 후 지속 |
|||||||
비고 |
과민성 대장 증후군 |
궤양성 대장염 |
|||||||
---|---|---|---|---|---|---|---|---|---|
증상 |
설사 |
설사+혈변 |
|||||||
대변양상 |
단순 점액질 |
곱이 많이 낌 |
|||||||
야간배변 |
없음 |
수차례 야간 배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