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누수증후군은 장 점막의 투과성 증가나 장 점막의 손상으로 병원체, 항원, 부패물질이 장 점막내로 유입되어 혈액을 통해 전신으로 퍼져서 자가 중독증을 유발하는 신체현상을 말한다. 장 누수는 일반적으로 장벽을 통과할 수 있는 물질들이 아닌 독소나 미생물, 덜 소화된 음식물(이중 단백질), 쓰레기 등이 비정상적으로 우리 몸에 흡수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독소나 적합하지 않은 음식물, 기생충, 감염, 약품으로 인하여 장벽의 투과성이 증가하면서 발생한다. (418.1)
장누수증후군의 연구의 시작은 20여 가지의 만성 질환을 앓다가 사망한 시신을 해부하여 생전에 검사를 하지 못했던 소장점막을 약품 처리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미세한 바늘구멍 같은 것들이 수없이 많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바늘구멍 같은 것들은 소장점막 상피세포의 연결부위인 연접결합(tight junction)이 손상된 것임이 확인되었다. 이렇게 손상된 장 점막부위로 정상적으로 섭취한 음식물의 불완전한 소화물 즉 이중단백질 등이 침입하여 혈액을 통해 전신으로 퍼진 후에 이중단백질 또는 단백질 플라크(protein plaque)로 작용하여 각종 알레르기를 일으키고 자가 면역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419.1)
장누수증후군의 증상으로 나타나는 병변상태는 놀랄 정도로 아래와 같이 매우 다양하며 심지어 광우병의 원인인 감염성 프리온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지 않고 신체 내부로 흡수되기도 하고 소화된 후 배설이 잘 되지 않는 것도 원인이 된다. (4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