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도와 헌신의 40일 2권 제 2 부 하나님을 기다리는 백성 Day 11 우리 믿음의 참다운 표현
 하나님을 앙망하는 같은 원칙이 유혹과 죄와의 우리의 투쟁에도 적용된다. 우리는 우리 생애의 이 부분들의 성취를 위하여 예수께 100% 의존해야 한다. 하나님을 앙망하(바라)는 일은 우리가 사탄에게 승리하는 주요 요인이다. (24.1)
 예수님은 성령의 침례를 통하여 그리스도인 안에 거하신다. 그러므로 우리는 예수께서 우리 안에 계시기 때문에 예수님의 모든 미덕 곧 그분의 사랑과 기쁨과 화평과 믿음과 인내와 정결한 생각들, 등등을 우리 안에 소유한다. 그러므로 우리가 유혹 받을 때, 우리는 유혹으로부터의 구원을 위하여 단순히 예수님만을 바라보아야 한다. (24.2)
 “모든 무거운 것과 얽매이기 쉬운 죄를 벗어 버리고 인내로써 우리 앞에 당한 경주를 경주하며 믿음의 주요 또 온전케 하시는 이인 예수를 바라보자”(히 12:1-2) (24.3)
 지난 세대의 잘 알려진 그리스도인 저자 앤드류 머리는 그리스도인 생애에서 실망을 맛보는 사람들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썼다. “사랑하는 영혼이여! 그리스도 안에 거하는 것은 연약한 사람을 위하여 필요한 것이며 그들의 연약함 때문에 그것은 그들에게 적합한 것이다. 첫째 우리가 매우 거룩하고 헌신한 생애를 산다는 것은 어떤 큰일을 행하는 것도, 요구하는 것도 아니다. 아니다, 그것은 단순히 그 자체를 지켜주시도록 전능자에게 맡기는 것이며 불성실한 사람이, 참되시고 신뢰할 수 있는 분께 자신을 맡겨버리는 것이다. 그분 안에 산다는 것은 그분의 구원을 즐기기 위한 조건으로서 우리가 해야 하는 어떤 일이 아니라 우리를 위하여, 우리 안에서, 그리고 우리를 통하여 그분께서 모든 것을 하시도록 동의하는 것이다. 그것은 우리를 위하여 그분께서 모든 것을 해 주시는 사역이며 그분의 구속하는 사랑의 열매와 능력이다. 우리의 역할은 단순히 그분께서 하시는 이 일에 굴복하고 신뢰하며 앙망하는 것이다.” (그리스도 안에 거함 p. 23) (24.4)
 성경적으로 하나님을 앙망함은 하나님 안에 있는 믿음의 단 하나의 참 표현이다. 그것은 하나님과의 우리의 관계의 참 발로이다. 만일 우리가 진정으로 하나님을 앙망한다면 우리는 어떤 것에 대하여서도 결코 근심하거나 조급해하지 않을 것이며 결코 성급한 결정을 내리지 않고 우리는 우리 마음에서부터 조용한 의뢰의 태도가 있을 것이며 우리는 유혹에 대한 승리를 위하여 계속적으로 예수님을 앙망하고 있을 것이다. (24.5)
 이것이 어떻게 우리의 경험이 될 수 있을까? 우리는 우리를 위하여 모든 것을 항상 예비하시겠다는 하나님의 약속을 신뢰해야 하며 그분은 결코 우리를 실망시키지 않으시리라는 것을 믿어야 한다. (24.6)
 “나의 영혼아 잠잠히 하나님만 바라라 대저 나의 소망이 저로 좇아 나는도다 오직 저만 나의 반석이시요 나의 구원이시요 나의 산성이시니 내가 요동치 아니하리로다 나의 구원과 영광이 하나님께 있음이여 내 힘의 반석과 피난처도 하나님께 있도다”(시 62:5-7) (24.7)
 예수님을 만나려고 준비하는 사람들은 하나님을 앙망하(바라)는 방법을 배울 것이다. 나는 주님께서 이 헌신의 공부를 마지막 세대를 준비시키는데 사용하시기를 기도하며, 그 “앙망함(기다림, 바람)”은 그리스도의 재림을 위하여 준비되는데 요구될 것이니 이는 재림 직전 하나님의 백성은 그들이 지금까지 직면하였던 곤란들 중에 가장 어려운 때, 곧 환란 혹은 시련의 때로 들어갈 것이기 때문이다. 지상의 역사 중 그 때에 그들은 매일의 필요와 보호를 위하여 오직 하나님만 바라볼 것이다. 만일 그들이 하나님을 앙망하는 법을 배웠다면, 그들은 이 도전의 시간을 위하여 준비될 것이다. (24.8)
 물론 우리의 승리는 확실하다. 그리스도께서 돌아오실 때, “사망을 영원히 멸하실 것이라 주 여호와께서 모든 얼굴에서 눈물을 씻기시며 그 백성의 수치를 온 천하에서 제하시리라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셨느니라”(사 25:8) (24.9)
 개인적인 숙고와 토의
 1. 예수께서 우리 안에 거하신다면 그분의 속성들 중에서 우리는 무엇을 소유하게 되는가? (24.10)
 2. “하나님을 앙망함”(기다림)의 원칙은 유혹과 죄를 극복하는데 어떻게 적용되는가? (24.11)
 3. 하나님을 앙망함 곧 하나님을 믿는 우리의 믿음의 표현은 어떠한가? (24.12)
 4. 하나님을 앙망함은 어떻게 우리의 매일의 경험이 될 수 있는가? (24.13)
 5. 지상 역사의 마지막 때에 다가가면서 하나님을 앙망함이 왜 중요한가? 당신은 개인적으로 환란의 때를 위하여 준비되었는가? (24.14)
 기도 활동
 ● 기도 파트너를 불러 기도력을 공부하라 (24.15)
 ● 기도파트너와 함께 기도하라 (24.16)
 1. 하나님의 성령의 침례 베푸시도록 (24.17)
 2. 당신과 그분의 교회를 부흥시켜 주시도록 (2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