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씀을 적용함
 1. 진실. 내 생애 속에 선의의 거짓말로 순진한 사람들을 상하지 않게 할 수 있었던 경우들이 있었는가? 나는 어떤 길을 택하였는가? 왜 그랬는가? 나는 다시 그렇게 할 것인가? 나는 그런 논리로 꽤 이기적인 목적을 정당화하였는가? 남을 상하게 하는 식으로 진실이나 거짓을 사용하지 못하게 나를 보호할 것은 무엇인가? (157.3)
 2. 악한 주인. 나는 양심적으로 “여호와의 보내신 악신”의 영향 아래 있는 사람을 위하여 일할 수 있는가? 할 수 있다면, 왜 할 수 있으며, 없다면 왜 할 수 없는가? 교회의 지도자가 “악한 영”의 영향 때문에 하나님의 이상에 미치지 못하는 것을 알아차리게 될 때 나의 책임은 무엇인가? 맞설 것인가? 협력할 것인가? 치료할 것인가? (157.4)
 3. 만유 안에 만유이신 하나님. 내가 구약의 사단관을 받아들이고, 일상 생활에서 역사하는 그의 존재를 무시하고서 오로지 전적으로 하나님께만 주의를 기울인다면 어떤 유익을 경험할 수 있을까? 그러한 관점으로부터 어떤 부정적인 결과가 나올 수 있을까? (158.1)
 4. 부드러운 폭력. 다윗과 골리앗의 이야기는 폭력에 대항하여 싸울 때에 폭력적인 수단의 사용을 주장하도록 하는가? 그렇다면, 어느 정도까지인가? 예수를 안다는 것은 폭력을 영원히 배제하는 더 좋은 길을 뜻하는가? 그대의 대답을 한 문단으로 설명하라. (158.2)
 ■ 말씀을 연찬함
 1. 사무엘. 사무엘이 그의 생애를 하나님의 이상을 따라 꼴지으려고 했는지를 이해하기 위하여 사무엘의 생애의 경험을 연구하라. 두 개의 목록을 만들되, 하나는 성경이 분명히 선지자를 꾸짖거나 권면하는 사건과 성경절을 나열하고(예컨대, “네가 그를 위하여 언제까지 슬퍼하겠느냐? ...”[16:1]; “나의 보는 것은 사람과 같지 아니하니, ...”[16:7]), 다른 하나에는 책망이나 권면을 들어야 할 자리인데도 성경이 드러내놓고 말하지 않은 사건들과 구절들을 나열하라(예컨대, 사무엘의 부족한 자녀 교육[8:3]; 그가 길갈에 늦게 도착함[13:8]). 그대가 발견한 것에 기초하여 다음의 문제를 다루는 두 개의 요약문을 기록하라: (1) 선지자의 효용성을 떨어뜨리는 인간적 실수의 결과; (2) 예언적 기별자들을 영감받지 못한 신자들이 비판하는 것의 적합성. (158.3)
 2. 사단. 완벽한 성구 사전을 이용하여 구약에서 사단이라는 단어를 연구하라. 히브리어의 용례를 다 살펴보라(사탄[satan]혹은 관사가 붙은 핫사탄[hassatan]). 구약의 이 단어 사용을 요약하라. 어떤 구절이 전통 기독교적 하나님의 원수를 직접으로 혹은 간접으로 언급했는지 표하라. 그러고 나서 주석의 도움을 받아 그리스도인들이 사단에게 적용시켜 왔던 네 개의 주요한 구약의 구절을 연구하라: 창세기 3장(뱀); 레위기 16장(아사셀을 위한 염소); 이사야 14장(“루시벨”); 에스겔 28장(덮는 그룹). 가능하면 해석사의 어느 시점에서 사단에게 적용하는 일이 시작되었는지 발견하라. 그리고 이것을 구약의 구절들이 제시하는 증거와 연결시키라. 각 구절에 대한 그대의 결론을 요약하라. (159.1)
 ■ 말씀의 추가 연구
 1. 다윗의 지명과 골리앗과의 싸움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을 위해서는 엘렌 화잇, 부조와 선지자, 637-648을 보라.

 2. 제9 계명을 평이하게 풀어놓은 것으로는 A. Thompson, “When the Truth Is a Lie,” in Lyrics of Love: God's Top Ten, 79-86; reprint of “Thou shalt not hurt thy neighbor with lies or with the truth,” Signs of the Times (1998년 11월), 20-22를 보라.

 3. 구약에 있어서 사단의 “부재”(“absence”)에 대한 평이한 분석을 위해서는 A. Thompson, “Whatever Happened to Satan in the Old Testament?” in Who's Afraid?, 43-70을 보라. 이 책에 구약적 관점에서 본 “대쟁투” 주제가 “Behold! It Was Very Good-and Then All Turned Sour”라는 장(25-42쪽)에 제시되어 있다.

 4. 사무엘상의 헬라어 「바티칸(Vaticanus) 사본」과 히브리어 성경 본문과 다른 이문(異文)들에 관하여 가장 접근하기 쉬운 글을 보려면, Word Biblical Commentary 총서의 제10권, R. Klein, Samuel을 보라. (15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