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별 천연치료 질병별 천연치료 인후염(Sore Throat)
 I. 설명
 상태가 좋지 않은 인후염은 삶을 비참하게 만들 수 있다. 다행스러운 것은 대부분의 인후염이 해가 없으며 정형적(self-limited)이다. 환언하면 인후염은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과정을 밟는다. 목 뒤쪽에 얼얼하고 근질거리는 감각은 삼키는 일을 매우 불편하게 만든다. 심한 경우에는 말하는 것과 숨 쉬는 것까지도 방해를 받는다. (403.1)
 인후염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소리 지르고 악쓰고 또 다른 형태의 목소리 남용이다. 가장 일반적인 인후염은 고초열(hay fever, 계절적 변화가 있는 알레르기성 비염)과 같은 감기나 알레르기 질환이다. 아주 드물게는 인후염은 다른 심한 질병의 증상일 수도 있다. (403.2)
 II. 원인
 1. 호흡기계 알레르기(allergies): 여러 가지 호흡기계 알레르기 특히 고초 열(hay fever)의 경우는 지속적인 코의 분비물을 나오게 하며 인후와 입천장에 긁적거리는 감각을 일으킨다. (404.1)
 2. 감기(colds): 콧물과 함께 인후염이 생기면 이것은 일반 감기 증상이다. 감기는 바이러스에 의하여 나타나기 때문에 치료될 수가 없고 적어도 1주일 이상 견뎌내야 한다. (404.2)
 3. 유행성 감기(flu): 인후염이 열, 두통, 기침, 그리고 몸살 증상과 함께 나타나면 이것은 유행성 감기일 것이다. 유행성 감기는 바이러스 감염이므로 치료는 아스피린이나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을 복용하면서 열을 내리고 좀 편안하게 해주는 것뿐이다. (404.3)
 4. 후두염(laryngitis): 인후염이 쉰 목소리나 음성 상실과 함께 나타나면 이는 성대와 후두에 염증이 생기는 후두염이다. 후두염은 감기의 영향으로 콧물이 흘러내리면서 나타난다. 때때로 지속적이면서 심한 기침이 기관지염에 의하여 발생하며 흡연이 후두염을 촉발시킨다. 음성을 무리하게 사용하는 것도 또 다른 원인이다. (404.4)
 5. 후두암(larynx cancer): 인후염이나 쉰 목소리가 1주일 이상 계속되거나 이런 증상이 재발하면 인후암을 의심해 볼 수 있다. 흡연과 같은 환경적인 요인들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404.5)
 6. 연쇄상 구균 인후염(strep throat): 연쇄상 구균 박테리아는 인후와 특별한 친화력이 있으며 이 사람 저 사람에게로 쉽게 퍼진다. 감염된 목은 아주 붉고 아프며, 감염된 편도선은 노랗고 하얀 고름을 발산시키기도 한다. (404.6)
 7. 인후 과민 또는 염증(throat irritation or inflammation): 인후염 외에 다른 아무런 증상이 없다면 생활 여건을 살펴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흡연을 하고 술을 많이 마시고 담배 연기가 자욱한 분위기에 살고 있다면 문제는 인두염(pharyngitis)으로 알려진 단순한 과민 또는 염증 상태이다. 원인이 환경 문제가 아니라면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404.7)
 8. 백반창(thrush): 진균류인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의한 구강 감염으로 입 속에 노랗고 부풀린 상처가 생기며 때로는 목까지 퍼진다. 백반창은 건강한 사람에게는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만일 감염이 생기면 원인이 되는 다른 질병이 있지 않나 면밀하게 신체검사를 할 필요가 있다. (405.1)
 9. 상부 호흡기 감염(upper-respiratory infections): 감기 이외에 여러 가지 상부 호흡기 감염은 인후염을 일으킬 수 있다. 만일 목안에 부어오른 선이 있다면 바이러스 감염 상태인 볼거리(유행성 이하선염)를 앓고 있는 것이다. 더 심한 감염이 인후염을 일으킬 수 있다. 십대나 젊은 성년들에게 엡스타인-바르 바이러스(Epstein-Barr virus)에 의하여 발생하는 단핵 세포증(mononucleosis)이 생기는데 수두나 수포진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와 관련되어 있으며 인후염, 열, 몸살, 그리고 두통 등이 나타난다. 임질을 일으키는 박테리아가 오랄 섹스에 의하여 전염이 될 수 있으며 다른 증상들이 나타나기 전에 인후염이 생긴다. 생식기 수포진을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오랄 섹스를 통하여 목으로 옮겨가게 된다. 어린이에게는 성홍열이 인후염을 일으키고 홍조와 고열을 수반한다. 또 다른 어린이 질병인 디프테리아가 인후염을 일으키고 열이 오르게 하고 목안에 있는 선을 부어오르게 한다. (405.2)
 III. 예방 및 치료
 1. 온수 소금물로 자주 목 거심을 한다. (405.3)
 2. 기침이 나올 때마다 꿀과 유칼립터스유를 탄 따끈한 물을 조금씩 마신다. (405.4)
 3. 인후염을 악화시키는 술, 커피, 진한 양념, 흡연, 그리고 다른 자극제들을 피한다. (405.5)
 4. 소리를 지르거나 지나치게 말을 많이 하는 편이라면 복부 발성 연습을 하여 성대를 보호하고 불필요한 말이나 소리를 하지 않도록 생활양식을 조절한다. (405.6)
 5. 인후염이 2-3일 이상 계속되면 의학적인 조치를 취한다. (405.7)
 6. 체질개선을 강화하기 위하여 NEWSTART 천연치료를 적절하게 적용한다(뉴스타트(NEWSTART) 천연치료 기본적용 참조). (4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