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속의 예수 그리스도 제 1 부 창세기 속의 예수 그리스도 창세기 11장 그분은 오순절 성령으로 바벨의 역사를 바꾸셨습니다
  • 1
  (90.1)
 창세기 11장에서 노아의 후손들은 온 땅으로 흩어져 살라고 하신 하나님의 명령을 거역하고 바벨탑을 건설하여 세계의 중심으로 삼고자 하였다. 그곳은 고대세계에 우상숭배의 중심지가 될 것이었다. (90.2)
 하늘에 닿게 하자, 여호와께서 내려오셨다
자, 성읍과 탑을 건설하여 그 탑 꼭대기를 하늘에 닿게 하여(창세기 11:4).
(90.3)
 바벨탑 기사의 문학적 구조인 교차대구법(chiasm)의 중심은 ‘여호와께서 내려오셨다’이다.1(창 11:5). 인간이 아무리 하늘까지 쌓아 올렸다고 하지만 하나님이 내려오셔야 할 정도로 미미한 것이다. (90.4)
 ‘우리 이름을 내고.’(창 11:4). 바벨의 정신은 자기 스스로 자기 이름을 높이는 교만이었으나 겸손하신 주님은 십자가를 지기까지 스스로를 비우셨다. 하나님은 주님을 부활시키셔 모든 이름 위에 뛰어난 이름을 주셨다(빌 2:5-11). (90.5)
 바벨탑의 혼란, 오순절 성령으로 하나 되게 하신 예수
자, 우리가 내려가서 거기서 그들의 언어를 혼잡하게 하여 그들이 서로 알아듣지 못하게 하자 하시고 여호와께서 거기서 그들을 온 지면에 흩으셨으므로 그들이 그 도시를 건설하기를 그쳤더라. 그러므로 그 이름을 바벨이라 하니 이는 여호와께서 거기서 온 땅의 언어를 혼잡하게 하셨음이니라. 여호와께서 거기서 그들을 온 지면에 흩으셨더라(창세기 11:7-9).
(91.1)
 바벨탑 사건으로 인류의 언어가 혼잡하게 되어 소통이 어렵게 되었다. 승천하신 주님이 하늘에서 왕과 제사장으로 취임하신 것을 기념하여 성령을 보내신 오순절 사건은 각기 다른 언어로 말할지라도 복음을 알아듣게 만들었고, 하나님 없이 뿔뿔이 세상으로 흩어진 사람들에게 천국복음을 증거하는 능력을 부여하였다(행 2:5-13, 33, 36). 바벨탑의 반대편에 오순절이 있으며, 오순절은 바벨탑 때 잃어버린 것을 회복하였다. 바벨탑은 우리 이름을 내자고 했지만, 오순절은 오직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를 높였다(창 11:4). ‘우리가 다 우리의 각 언어로 하나님의 큰 일을 말함을 듣는도다.’(행 2:11). ‘하나님이 오른손으로 예수를 높이시매 그가 약속하신 성령을 아버지께 받아서 너희가 보고 듣는 이것을 부어 주셨느니라,’(행 2:33). ‘너희가 십자가에 못 박은 예수를 하나님이 주와 그리스도가 되게 하셨느니라.’(행 2:36). (91.2)
 바벨론으로부터 새 예루살렘으로 초청하시는 예수
 바벨론과 예루살렘은 서로 반대되는 두 정신을 대표한다. 성경에서 바벨론은 하나님을 대항하는 세력이다. 바벨론은 교만(단 4:30), 우상숭배(렘 50:38; 단 3:18), 주술(사 47:9, 12-13; 단 2:1-2), 신성모독(단 5:1-3), 악을 의지함(사 47:10) 등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 예루살렘과 성전을 약탈하고 불태웠다(왕하 25:9-17; 대하 36:18-19). 신약시대에 바벨론은 멸망하고 존재하지 않았지만 베드로는 하나님께 적대적이었던 로마를 바벨론으로 불렀고(벧전 5:13), 요한계시록은 적 그리스도의 세력을 바벨론이라고 한다(계 16:19; 17:5). 이 세력은 강성하게 보이지만 고대 벨사살의 바벨론처럼 한 순간에 멸망을 당하고 만다(계 18:19). 주님은 하나님의 영원한 복음을 전하는 천사를 통해서 영적 바벨론의 멸망을 경고하며 하나님의 백성이 그곳에서 속히 나오기를 촉구하신다(계 14:8; 18:1-4). (91.3)
 역사적인 바벨론이 멸망을 당하고 예루살렘이 중건되었던 것처럼 종말론적 바벨론이 무너질 때 예수님은 그분의 신부를 새 예루살렘으로 맞아들이신다. 그곳에서 성도들은 하나님의 영광과 어린양의 빛 가운데 영생의 복을 누리게 될 것이다(계 21:2-4, 9, 22-24). (92.1)
 데라의 후손이신 예수
데라의 족보는 이러하니라. 데라는 아브람과 나홀과 하란을 낳고 하란은 롯을 낳았으며(창세기 11:27).
(92.2)
 불신과 우상숭배로 영적 암흑 세상이 도래했을 때 하나님은 인류의 희망이 될 메시아 가문인 셈과 데라와 아브라함의 족보를 제시하신다. 아브라함은 데라의 톨레도트에족보 속한 인물이다(창 11:27- 25:11). 데라의 톨레도트는족보 메시아의 족보에 기재된 셈의 후손들 속에 들어있다(창 11:10-16). ‘그 위는 야곱이요 그 위는 이삭이요 그 위는 아브라함이요 그 위는 데라요 그 위는 나홀이요 그 위는 스룩이요 그 위는 르우요 그 위는 벨렉이요 그 위는 헤버요 그 위는 살라요 그 위는 가이난이요 그 위는 아박삿이요 그 위는 셈이요 그 위는 노아요.’(눅 3:34-36). (92.3)
 영적인 흑암에도 불구하고 여자의 후손께서 오실 길이 예비되고 있다. 톨레도트는족보 앞 세대와 뒤 세대를 역사적으로 잇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아브라함의 후손인 이스라엘 민족은 아브라함을 통해서 그들의 근원을 창조까지 연결시킨다. (92.4)
 참고 문헌
 1. 바벨탑 기사는 다음과 같은 교차대구법(chiasm)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중심은 3장면이다. 서론(1절), 1장면: 인류의 여행(2절), 2장면: 도시와 탑을 쌓으려는 사람의 계획들(3-4절), 3장면: 조사를 위한 하나님의 방문(5절), 4장면: 인류를 좌절시키려는 하나님의 계획(6-7절), 5장면: 인류가 흩어지고 건축이 중단됨(8절), 결론: 바벨의 의미(9절). Wenham, Genesis 1-15, WBC, 235. (93.1)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