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별 천연치료 질병별 천연치료 간헐성 파행(Intermittent Calaudication)
 I. 설명
 

 간헐성 파행은 질병이라기보다는 하나의 증상이다. 근육 운동을 한 후에 주로 종아리에 경련성 통증이 나타나며 사지가 약해지고 긴장이 생긴다. 휴식을 취할 때는 통증이 없으며 증상이 나타날 때 즉시 휴식을 취하도록 한다. 동맥경화증, 혈전 혈관염(thromboangiitis), 버거병(Buerger's disease), 사지에서 일어나는 다른 폐색성 동맥 질병과 동반하여 나타난다. (51.1)
 1. 협착증으로 인한 파행의 경우, 내리막길을 걸을 때 다리의 통증이 더 심해지는 경향이 있고 혈관성 파행의 경우 오르막길에서 통증이 더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2. 협착증으로 인한 다리 통증은 보행 시 뿐만 아니라 가만히 오래 서 있을 때에도 발생할 수 있으며, 반면 혈관성 파행의 경우에는 다리에 힘이 들어가는 거의 모든 동작에서 통증이 발생한다. 3. 그래서 협착증 환자의 경우에는 자전거 타는 동작을 할 때 별 불편 감을 못 느끼는 경우가 많지만, 하지 혈관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자전거 타는 동작 시 통증을 크게 느낀다. 4. 협착증 환자의 경우에는 앉아있거나, 허리를 굽힐 때 다리의 통증이 완화되는 경향이 있는데, 반면 혈관성 파행이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서 있는 자세만 취해줘도 통증이 완화가 된다. (51.2)
 가만히 서 있을 때 통증이 심해지는 협착증의 경우와 반대다. 그리고 협착증으로 인한 파행의 경우에는 허리와 엉덩이의 통증을 동반한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기 때문에 등허리/엉덩이/다리의 통증이 있다면 척추관 협착증을 의심해볼 수 있겠다. (51.3)
 II. 예방과 치료
 * 금연 (52.1)
 1. 매일 15개비 이상 흡연을 하는 자는 비 흡연자보다 9배나 더 파행 위험이 많으며 15개비 이하로 흡연하는 자는 6배의 파행 위험이 있다. (52.2)
 * 규칙적인 운동 프로그램 (52.3)
 1. 단단한 바닥에 등으로 누워서 발목 회전 운동을 한다. (52.4)
 2. 오른편 다리 근육을 긴장시키고 다리를 위로 세우고 셋을 센 다음 다리를 내린다. 다음 왼편 다리를 같은 방법으로 적용한다. 여러 차례 반복한다. (52.5)
 3. 누운 자세에서 양다리를 교대로 빠른 동작으로 굽혔다 폈다 한다. (52.6)
 4. 등받이가 견고하고 똑바른 의자에 앉아서 양팔을 가슴에 겹쳐서 붙잡은 다음 섰다 앉았다 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52.7)
 5. 의자 뒤에 서서 등받이를 손으로 잡고 발꿈치를 들고 일어서며 천천히 발꿈치가 닿도록 앉았다가 다시 일어선다. 몇 차례 반복한다. (52.8)
 * 옥외 운동 (52.9)
 1. 매일 힘차게 걷는 운동을 한다. (52.10)
 2. 일련의 환자에게 매일 아침과 저녁으로 1시간씩 걷는 운동을 하게 하였다. 통증이 있을 때까지 빨리 걷게 하고 그 다음 통증이 가실 때까지 앉아서 쉬게 하였다. 이렇게 한 시간씩 하루에 두 번 적용하였다. 6개월 후에 50%의 환자들이 그들이 걸을 수 있을 때까지 걸어도 통증이 나타나지 않았다. (52.11)
 * 수 치료와 온열 치료 (52.12)
 1. 40°C의 따끈한 물에 전신을 담그고 열상을 입지 않을 정도로 수온을 높인다. 구강 체온이 39°C이상 되도록 20-30분 계속 유지한 다음 구강 체온만큼 수온을 낮추고 1시간을 그대로 머물러 있도록 한다. 매일 1회 2주 동안 반복한다. (52.13)
 2. 원적외선을 이용한 온열매트를 70°C에 맞추고 온열 치료를 적용한다. 땀이 나기 시작하면 머리와 목과 얼굴에 냉 습포를 적용하고 치료 후에는 치료한 시간만큼 누운 체로 휴식을 취하고 이동하도록 한다. (52.14)
 3. 온열 치료를 하는 동안 땀이 나기 시작하면 얼굴과 머리와 목 부분에 찬물이나 얼음 습포를 적용하고 습포를 자주 갈아준다. (5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