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앗시리아 제국의 번영의 기초는 ① 강력한 군대 ② 도로, 역체 제도의 정비 ③ 능률적인 지방행정과 그 중앙 집권적인 장악 ④ 신종왕국과 속주로부터의 공납과 수세 ⑤ 제국내 활발한 상업활동에서 받아들일수 있는 공납과 통관세에 의한 재정의 안정 등에서 이룩되었다고 할수 있다. 그러나 헤로도투스의 전하는 바에 의하면 용장 아슈르 바니팔 치세의 말년에는 제국내의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스키타인의 침입, 약탈이 있어 앗시리아 제국의 군사 행정기구는 이미 그 본래의 기능을 상실해 가고 있었다.” 최림 편역, 상게서, 375.
2)
“바다의 나라”로 불리워진 곳은 아람(Syria)이다.
3) 아람(Syria)계통의 갈대아(Chaldea)부족의 족장이다.
4) Cf. 김봉모 발행, 도설세계문화사 대계 (서울: 대학당, 1979), 2:117.; 최림 편역, Ibid, 1:376.
5) 최림 편역, 상게서, 376.
6) 최림 편역, 상게서, 377.
7) 성서백과사전, 661. Cf. 신계훈, 다니엘연구, 33.
8) B.C. 556-339년의 신 바벨론(Neo-Babylon)의 왕이 됨.
9) 이집트 중 왕조 제26왕조(663-332 B.C.)의 창건자.
10)
대하 35:20-23.
11)
왕하 23:30, 33, 34; 대하 36:3, 4. Cf. 성경백과, 833, 834.
12) 대영 박물관에 소장된
“TEXT BM 21946”에:
“악갓 왕이 그의 땅에 정착한지 제 21년째에, 그의 맏아들이자 왕세자인 느부갓네살은 바빌로니아 군대를 소집했다. 그는 그 군대의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던 것이다. 그는 곧 유프라테스 강변에 위치한 칼케미쉬를 향하여 진군령을 내렸다. 그래서 칼케미쉬에 주둔하고 있는 이집트군을 대적하기 위해 그 강을 건넜다.... 그는 저들(Egypt)의 계획을 좌절시키는데 성공했다. 그리고 단 한명의 생존자도 남기지 않기까지(to non-existancd) 그는 저들을 쳐부셨다. 그 공격에서 벗어나 도망쳤던 패잔병들은 급히 철수하느라고 (우리가) 그들에게 미쳤을 때 비무장 상태였다. 하맛 지역에서 바빌로니아 군은 그곳을 점령하여 한 사람도 그들의 고국으로 도망치지 못하도록(not a single man escaped to his own country) 쳐부셔 버렸다. 마침내 느부갓네살은 하티(Hatti) 나라 전 지역을 정복했다. 나보폴라사르는 21년 동안 바빌로니아 왕으로 재임했다. 아부월 제 8일에 그는 승하하셨다. 울룰루(Ululu)월에 느부갓네살은 바벨론으로 귀환하여 울룰루월 제 1일에 바벨론 왕위에 즉위했다.” D. J. Wiseman,
Chronicles of Chaldean Kings (625-556 B.C.) in the British Museum, 1956. in Jack Finegan,
Light from the Ancient Past (New Jersey: Princeton Univ. Press, 1974), 1:220, 221.
13)
“방어 벽들에는 정해진 간격에 따라 성탑들이 250개나 있었으며, 성읍 안으로 들어가는 문은 8개가 있었다. 이 문들 중 가장 유명한 것은 이쉬타르 문(The Ishtar Gate)이었는데 행진할 수 있는 넓은 길로 뚫려 있었으며 길에는 채색된 에나멜과 금 잎사귀로 만들어 놓은 황소들과 용들이 줄지어 장식되어 있었다.” 문희석 편, 성서고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4), 177.
14) C. W. Ceram, Gods,
Graves and Scholars, Trans. from the German by E. B. Garside (New York: Alfred A. Knopt. Inc., 1952), 284.
15) W. H. Lane,
Babylonian Problems (London, 1923), 179. in J. A. Tompson,
The Bible and Archaeology (Grand Rapid, Michigan: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2), 191.
“위대하신 주 마르둑 신이 나를 그 땅의 국정을 감독하도록 하기 위해 적출자(Legitimate son)로 지명했을 때, 그의 위대한 도성 바벨론 ‧‧‧ 그의 거대한 성벽을 나는 준공했다.” 16) 김익달 편, 세계문화사 (서울: 학원사, 1964), 1:468-469.
17)
“8개의 성문은 신들의 이름으로 명명되었다. 즉 마르둑, 닌우르타, 우라쉬, 신, 아다드, 엔릴, 샤마쉬, 이쉬타르(Marduk, Ninurta, Urash, Sin, Adad, Enlil, Shamash, Ishtar)이다. 그 중 이쉬타르 성문이 가장 유명하다. 그것은 에나멜을 칠한 벽돌들과 청색 물감의 야청빛(Lapislazuli)의 타일 그리고 채색된 황소들(Bulls)과 용들로 장식되었다.” Keith N. Schoville,
Biblical Archaeology in Focus (Grand Rapid, Michigan: Baker Book House, 1978), 190.
18)
“그 문은 가공원(The Hanging gardens)과 느부갓네살의 왕궁과 이쉬타르 신전, 그리고 마르둑 대신전과 그리고 또한 닌우르타 신전에로 이어지는 대 행진로에 들어서도록 활짝 열려 있었다.” Schoville, ibid.
19) Ceram, 293.
20) Ceram, 293, 294.
21) Ibid., 294.
22) Ibid., 294.
23) 1878년에 바벨론 폐허에서 라삼(Hormuzd Rasam, 1826-1910)이 발굴한 원통으로 된 고레스의 비명에 기록된 그의 칙령에 다음과 같이 말한다:
“앗수르와 수사, 아가데, 에쉬눈나(Eshnunna), 성읍 Zamban, Me-turnu, 그리고 굳 사람들(Cutians)의 땅 Der와 티그리스강 건너편에 오랫동안 폐허로 방치되어 온 이들 성도(Sacred Cities)들에, 나는 그들이 (사용해왔던) 신상들(The images)을 주민들을 모아 그들과 함께 그들이 살던 곳으로 되돌려 보냈고 그들의 신들에게 영구적인 성소들을 세워 주었노라.... ”를 보아 알 수 있다. James B. Pritchard, ed.,
The Ancient Near East (Princeton, NJ: Princeton Univ. Press, 1958), 1:208.
24) Society of Biblical Archaeology,
Records of the Past, 7:75. in R. L. Odom, 23.
25) Ibid., 76.
26) F. Lenormant,
Manual of the Ancient History of the East (London: Asher and Co., 1869), 1:483. in R. L. Odom, 23.
느부갓네살은 이 신전을
‘일곱 천체의 신전’(The Temple of the Seven Spheres)라고도 호칭했다. Eberhard Scharder,
The Cuneiform Inscriptions and the Old Testament (London: Williams and Norgate, 1885), 1:109, 110. in R. L. Odom,
Sunday in Roman Paganism (Washington, DC: 1944), 23.
27) W. H. Lane, ibid., 187. in Tompson, ibid., 193.
28) Ceram, 288, 289.
29)
‘에사길라’는
‘윗 부분에 세워진 집’ 또는
‘윗 부분을 높이 올린 집’이라는 뜻인데
‘에테메난키’ 곧
‘하늘과 땅의 기초가 되는 집’이라는 지구라트의 꼭대기에다 세운 집이다.
“그 높은 탑 중에서 단지 남아있는 것이라고는 맨 아래 층에 얼마 안되는 단편인 점토판들 뿐이었다. 이 단편은 ... 돌 부스러기 밑에 뭍혀 있었다. 모든 것을 검토한 결과 바벨탑 높이가 적어도 7층에 이르렀으며 7층 꼭대기에 마르둑 신의 거처인 신전이 세워졌던 것으로 판단되며 300피트 이상으로 추정되었다. 그런데 한편 바벨론의 ‘천지 창조 서사시’(Tablet 6, line 58-61)에 그들은 1년간 꼬박 벽돌을 찍었다. 2년째 접어들자 그들은 에사길라의 머리를 높이 세웠다.” James B. Pritchard,
Ancient Near Eastern Texts (NJ: Princeton Univ. Press, 1973). 1:38.
30) Ceram, 295.
31) Lane, ibid., 179. in Tompson, ibid., 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