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살핫돈(Esarhaddon, 681-669 B.C.)의 아들 아슈르바니팔(Asshur- banipal, 669-626 B.C.) 말기부터 앗시리아 제국은 갑자기 쇠퇴하기 시작했다. 제국 내 깊숙이 침입한 스키티아인(Scythians)의 약탈과 방화, 그리고 도처에서 봉기되는 반란이 그치지 않았다. 거기에다 아슈르바니팔 사후에 왕위 계승권 쟁탈전으로 내분이 그치지 않자 제국의 중앙 집권의 기능이 완전히 마비되었다.
1) 그 와중에 이집트는 독립을 선언하고 엘람도 제국의 세력권에서 벗어 나갔다. 설상가상으로, 앗시리아 제국이 완전히 괴멸하게 된 결정타는 두 지역에 아슈르바니팔이 죽기 전에 총독으로 임명한 두 봉신들의 배신이었다. 그 하나는 바빌로니아 지역 최남부
“바다의 나라”2) 총독으로 임명받은 나보폴라사르(Nabo- polassar, 625-605 B.C.)
3)와 다른 이는 이란 고원 지역의 메대(Media) 총독으로 임명된 키악사레스(Cyaxares)의 반란이었다.
(18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