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하나님께 찬송하라”(계 19:5)에 해당되는 그리스어 표현은 본질적으로 할렐루야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2) 바벨론 탈무드는 이 전승이 모세 때로부터 내려온 것이라고 한다(
Pesahim 1l7a); 또한 마 26:30을 보라.
3) 시 135:19~21을 보라, 참조 대상 16:25, 36.
4) 나중에 교회가 가르쳤고 이탈리아의 시인 단테 알리기에리(Dante Alighieri)가 상상했던 영원한 지옥의 존재를 이 표현으로부터 연역(演)해 내는 것은 잘못이다. 성경은 일반적으로 전적인 멸절(滅絶)을 묘사하기 위하여 이 표현을 사용한다. 성경에서는 바벨론의 멸망(계 14:11)과 소돔과 고모라의 멸망(유 1:7; 참조 벧후 2:6)을 묘사할때 그 표현을 사용하였다.
5) 사 61:10.
6) 창 24:5; 아 4:1, 3; 6:7.
7) 렘 2:32.
8)
“대언의 영”에 대한 이러한 정의가 아람어 타르굼에 의해서도 입증된 것을 볼 수 있다. Strack and Billerbeck,
Kommentar zum Neuen Testament, vol. 2, pp. 128, 129을 보라, 참조 J. W. Etheridge,
The Targums of Onkelos and Jonathan Ben Uzziel on the Pentateuch(London: 1862), vol. 1, pp. 131, 556, vol. 2, p. 442.
9) 예컨대 고전 1:6을 보라; 참조 W. de Boor,
Der erste Brief des Paulus an die Korinther, Wuppertaler Studienbibel(Wuppertal: 1968), p. 28; 참조 Gerhard Pfandl,
“The Remnant Church and the Spirit of Prophecy,” in
Symposium on Revelation-Book 2, ed. Frank B. Holbrook, Daniel and Revelation Committee Series(Silver Spring, Md.: Biblical Research Institute, General Conference of Seventh-day Adventists,1992), vol. 7, pp. 310, 316.
10) 뒤에 가서 그 두 형용사는 하나님의 나라와 새 예루살렘의 진정성을 표현하기 위하여(계 22:1~5)
“말씀”을 수식한다(6절).
11) Doukhan,
Secrets of Daniel, p. 155을 보라.
12) 1 Enoch 10:4, 5; 참조 88:1.
13) Doukhan,
Secrets of Daniel, pp. 125~133.
14) 시 91: 7, 119:72; 대상 16:15; 전 7:28.
15) Doukhan,
Secrets of Daniel, pp. 183을 보라.
16) 레 8:10, 12, 30; 21:6, 7.
17) 레 11:44, 45; 19:2; 20:7, 26.
18) 사 6:3; 57:15; 시 99:5.
19) 참조 겔 38:4~9, 13, 15, 16, 22, 23; 39:2, 11, 12, 15, 16.
20) 예루살렘 남쪽 힌놈의 골짜기는 베냐민과 유다 지파 사이에 경계의 역할을 하였다.(렘 15:7, 18:15, 16을 보라). 그곳은 너무 악명이 높아서 예 레미야가
“골짜기”(렘 2:23)에서 행해지는 제사를 비난할 때 그 이름을 직접 언급할 필요조차 없었다.
21) 그 개념은 창세기 10장에서 70 족속을 언급한 것에서 비롯된다. 그 수는 또한 야곱의 식구 수 와도 일치된다(창 46:27; 출 1:5; 신 10:22) . 유대의 전통은 이러한 일치를
“이스라엘 자손의 수효 대로”(신 32:8) 민족들의 수가 결정된다는 신명기의 원칙이 적용된 것이라고 해석하였다.
“칠십 민족”이라는 모티프는 랍비들의 문헌에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그래서 그 70 민족이 이해할 수 있도록 제사장들과 레위인들은 십계명을 70개 언어 로 기록하였다(Mishnah
Sotah 7:5). 비슷한 이유로, 사람들은 시내산에서 70개 언어로 말씀하시는 하나님의 음성을 들었다(Babylonian Talmud,
Shabbath 88b). 성소에서 드린 70마리의 희생은 70 민족을 속죄하기 위한 것이다(Babylonian Talmud,
Sukkah 55b).
22) 아주 옛날부터 히브리 글자들에는 수(數) 값이 있었다(
알레프는 1,
베이트는 2 등). 랍비들은 종종 어떤 단어를 수로 계산했을 때 중요한 의미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한 해석 체계를
게마트리아(아마도 영어의
‘geometry’라는 말이 파생된 그리스어로부터 와전(祝傳)된 히브리말인 것 같다)라고 한다.
게마트리아의 고전적인 예는 창세기 14장 14절에 나오는 318명의 부하들에 대한 것이다. 해석자들은 그들과 아브라함의 종 엘리에셀 사이에 어떤 연결이 있다고 보았다. 그의 이름의 값은 318이다(see Babylonian Talmud,
Nedarim 32a; Midrash Rabbah,
Genesis 43.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