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별 천연치료 질병별 천연치료 요실금(Incontinence Urinary)
 I. 설명
 배뇨 조절이 잘 안 되는 것은 보통 있는 일이지만 난처한 문제이다. 어린이에게는 오줌싸개로 나타나는데 신체적 및 정서적인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한다. 성인 여성의 경우 긴장성 요실금(stress incontinence)이 있는데 웃거나 재채기 또는 기침만 해도 소변이 나와 버린다. 남자나 여자 모두 갑작스럽게 조절이 되지 않는 요실금이 있는데 긴급 요실금(urge incontinence)이라고 한다. 요실금을 일으키는 것과 관련된 수많은 질병이 있는데 대부분 잘 치료된다. 그러나 일부 요실금은 심각한 질병의 증상으로 나타난다. 요실금의 해부학적 문제는 여자에게 임신, 비만, 그리고 신경 손상 등이며 남자에게는 전립선 장애이다. (363.1)
 II. 원인
 
 1. 알츠하이머 질병(Alzheimer's disease): 뇌 장애로 점진적인 정신적 퇴화가 나타나며 주로 노인들에게 많다. 악화된 상태에서는 환자들이 기억력 상실과 함께 방광과 직장 조절을 완전히 상실한다. (364.1)
 2. 유노증 또는 야뇨증(bedwetting, enuresis): 10세 미만의 어린이에게는 밤에 오줌싸개가 흔하지만 어른에게는 그렇지 않다. 어린이에게는 보통 신체적 미성숙에서 발생하며 특히 남자 어린이가 잠이 너무 깊이 들어 일어나지 못한다던가 아니면 방광 조절에 관계된 호르몬의 부족도 원인이 된다. 성인의 경우는 당뇨병의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어린이나 어른에게 모두 정서적인 요인이 작용할 수 있다. (364.2)
 3. 방광염(cystitis): 여성에게 더 많이 발생하고 요도염과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밤에 소변이 급하고 자주 일어나게 되면 만성 방광염의 증상 중의 하나이다. (364.3)
 4. 치매(dementia): 정신적 손상에서 오는 뇌 장애이며 원인은 만성 알코올 중독, 에이즈, 그리고 반복되는 약한 뇌졸중 등이다. 원인이야 어떻든 치매는 영구적인 뇌의 조직 파괴가 발생한다. 요실금과 함께 건망증, 우울증, 그리고 여러 가지 태도 변화가 생긴다. (364.4)
 5. 당뇨병(diabetes): 빈뇨증과 요실금은 두 가지 형태의 당뇨병의 증상이다. 그리고 피로, 심한 갈증, 식욕 증가, 그리고 저항력 약화 등도 나타난다. (364.5)
 6. 폐경기(menopause): 폐경기의 여성들은 방광과 요도가 자극을 받아 요실금을 일으킬 수 있는데 특히 출산으로 골반 근육이 쇠약해진 자들에게 발생한다. (364.6)
 7.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원인 불명의 이유로 신경을 덮고 있는 지방층이 파괴되는 만성 질병이며 방광 조절 능력을 포함하여 신경계의 많은 기능을 파괴한다. 상태가 진전되면서 방광과 장 조절 기능을 상실하고 언어 장애, 심한 허약, 떨림, 그리고 기분 변화가 생긴다. (364.7)
 8. 파킨슨씨병(Parkinson's disease): 나이가 많은 자들에게 나타나는 중추 신경계 질병으로 점진적인 근육 경직과 떨림 그리고 불안한 동작이 나타난다. 경우에 따라서는 방광 조절을 상실하고 음식을 삼키기가 어렵게 되기도 한다. (365.1)
 9. 전립선염(prostatitis): 전립선 위와 주위에 근접해 있는 방광과 요도가 영향을 받게 되어 급하고 빈번한 소변, 소변 시작과 끝의 어려움, 완전히 방광을 비우는 어려움, 그리고 소변 시 타는 듯한 감각 등이 나타난다. 소변이 너무 급하여 요실금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365.2)
 10. 척추 손상(spinal injuries): 척추 상해나 질병으로 신경이 손상을 받으면 방광 조절 기능이 무력해지고 따라서 마비, 감염, 그리고 다른 심각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365.3)
 11. 뇌졸중(stroke): 뇌의 출혈이나 혈전으로 뇌 조직의 죽음을 가져오는 것을 말하는데 증상은 손상을 받은 뇌의 부위에 따라 다르게 발생하며 시력이나 언어 장애, 허약과 마비, 태도 변화, 그리고 방광과 장의 조절 능력 상실 등이 나타난다. (365.4)
 12. 매독(syphilis): 성적 접촉으로 발생하며 초기 증상은 생식기와 입과 직장에 하감(下疳)이라고 하는 통증 없는 붉은 궤양이 나타나고 말기 증상으로는 요실금, 정신적 퇴화, 그리고 다른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킨다. (365.5)
 13. 배뇨 장애(urinary obstructions): 주요 배뇨 장애는 부분적으로나 전면적으로 소변 기능이 무력해지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소변 시작과 끝에 방울방울 떨어뜨리는 것을 포함하여 요실금을 일으키기도 한다. (365.6)
 III. 예방 및 치료
 1. 방광이나 요도를 지지하는 근육을 튼튼하게 하는 단순한 운동은 많은 경우에 여성들에게 긴장성 요실금을 조절하는데 도움이 된다. 매일 30분 이상 계속 걷기 운동이 가장 우주적인 운동이다. (365.7)
 2. 철저한 개인위생과 안전한 성생활은 요실금을 일으키는 감염을 예방한다. (36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