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확대경 - 출애굽기 제 II 부 하나님께서 구원(救援)하심 (출애굽기 3-18장) 제 4장 하나님께서 애굽을 심판하심 (출애굽기 7:8-11:10)
 이러한 주장들의 문제점은 재앙의 성격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은 20세기를 사는 현대인들에게 모든 것을 천연적 현상으로 믿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는 있겠지만, 성경은 그렇게 이야기하고 있지 않다. 나일강이 피처럼 보인 것이 아니라 실지로 피로 변해 물고기가 죽어 악취가 났다. (106.4)
 재앙은 모두 하나님의 직접적인 역사였으며 모세와 아론을 통하여 행하시기도 하셨다. 이 재앙들의 전체적인 주안점은 이들 재앙들이 하나님께서 당신의 백성을 구하시고자 직접 행하신 역사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연적 현상으로 해석하는 것은 성경을 문자 그대로 해석하는 것을 범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구원의 능력을 축소시키는 것이다. (107.1)
 하나님은 역시 훌륭한 전달자 이셨다. 하나님께서는 애굽이 가진 환경의 일부를 사용하시었다. 그분께서는 아마존을 피로 변하게 하지 않으셨으며 북금 곰에게 역병을 내리지 않으셨다. 모든 재앙은 애굽인들과 직접적 관련이 있는 것들이었다. 하나님께서는 애굽의 환경들과 관련 있는 것들을 사용하시므로 그분의 말씀을 듣는 모든 이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셨다. (107.2)
 재앙의 형식에 관하여
 출애굽기의 재앙을 연구하는 많은 학자들은 재앙이 가진 다양한 형식과 진행을 발견하였다. 그들의 제안 몇 가지를 살펴보기로 하자. (107.3)
 대부분의 주석가들은 재앙의 연속적 흐름이 하나님과 바로 또 그의 신들과의 전쟁이었기 때문에, 재앙들에 종교적인 한 형식이 있음을 알았다. 그들은 여러 면에서 이 재앙들이 애굽의 신들을 치고 있는 것으로 해석했다. 그 가능성은 다음과 같다. 애굽인들이 나일강을 숭배했기 때문에 나일강을 피로 변하게 한 것은 거룩한 강에 대한 모욕을 의미했다. 다산과 관련 있는 헤카(Heka)라 불리는 개구리 신이 애굽에 있었는데, 개구리 재앙은 개구리 신 헤카를 치신 것이다. 이러한 나열은 계속된다(Ramm, p.61 참조). (107.4)
 하나님께서 애굽의 신들을 치셨다는 일반적 사실을 학자들은 동의치 않는다. 정확히 어떤 애굽 신이 하나님의 징벌을 받았으며, 어떤 재앙이 그들의 세력을 멸(滅)했는가 등이 확실치 않다는 것이다. (107.5)
 재앙을 구분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제시되어 왔다. 본인의 출애굽기 개요는 이들이 각각 짝을 이루고 있는데, 각각의 짝은 유사한 문제들을 다루고 있다. 앞에서 언급했지만, 어떤 이들은 이 재앙들을 아론이 행한 것들(1-3절), 하나님께서 행하신 것들(4, 5, 10절), 모세가 행했던 것들(6-9절)로 나누기도 한다. 다른 어떤 이들은 처음 다섯 재앙에서 바로의 마음이 강퍅했음을 지적하기도 한다. 여섯 번째 재앙의 초기에 하나님께서 바로의 마음을 강퍅케 만드신다. 그러므로 바로가 스스로 마음을 강퍅케 한 이후에 하나님께서 그의 마음을 강퍅케 하셨던 것이다. (108.1)
 이러한 모든 재앙의 형태가 흥미롭고 진실된 요소가 많지만, 가장 분명한 사실은 시간이 갈수록 점진적으로 악화되어 간다는 것이다. 처음 일곱 가지 재앙은 근본적으로 인간에게 해롭다기보다는 성가신 것들이다. 있음직하기도 한 흑암 재앙을 제외하고는, 사건이 진행됨에 따라 점점 심각해 가고 해롭게 되어간다는 사실이다. 모든 장자의 죽음에서 재앙은 절정을 이룬다. 하나님께서는 바로에게 매번 기회를 주시지만 바로는 그의 아들을 잃을 때까지 매번 이를 거절한다. (108.2)
 사건 진행의 시간적 길이는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이스라엘로 하여금 반복되어 가는 사건들을 지켜봄으로 하나님의 권세를 이해 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스라엘의 구원을 위하여 하나님께서 오랜 시간 간섭해 오셨음을 증거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애굽인에게는 그분께서 단호한 징벌을 취하시기 전에 당신의 백성을 보낼 것을 요구하시는 그분의 바램과 인내를 보이셨다. 재앙을 통한 심판은 바로가 순종하기를 거절할 때마다 점점 더 호된 모습을 보인 장기간에 걸친 심판이었다. (108.3)
 본 장에서 우리는 모든 재앙을 하나의 큰 그림으로 보았다. 다음 장에서는 재앙들 하나하나에 초점을 맞춰 보자. 숲을 봤으니 이제 나무들을 살펴보자. (108.4)
 ■ 말씀에 들어감
 출애굽기 7:15-11:10
 재앙에 관하여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 출애굽기 7:15-11:10을 두 번 정독하라. 읽어가면서 종이 위에 다음의 질문들에 답해 보라. (109.1)
 1. 재앙 가운데 정확히 무슨 일이 있었는가? (109.2)
 2. 누가 그 재앙을 가져왔으며? (109.3)
 3. 그 재앙의 결과는 무엇인가? (109.4)
 4. 재앙이 어떻게 누그러지고 멈추었는가에 대한 언급은 있는가? 어떤 언급인가? (109.5)
 5. 재앙 속에 두드러진 특별한 요소들이 있는가? (109.6)
 6. 재앙의 의미심장함을 설명하고 있는 구절은 있는가? (10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