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내가 내 말을 할 때, 그것이 얼마나 확실한가? 다른 사람들이 그 것을 믿을 수 있는가? 내가 내 말을 지킴으로 인하여 손해가 된다 할지라도 그것을 지켰는가? 왜 내가 그렇게 했는가? 내 말을 지키지 않았던 때가 있었는가? 왜 그랬는가? (158.4)
 6. 히브리서 7장을 연구한 후, 어떤 면에서 예수께서 나에게 더 실제적이신 것 같은가? 이 장의 어느 문단들이 나를 돕고자 하는 그 분의 끝없는 자발성(自發性)에 대한 나의 확신을 특별히 강화시키는가? 각 문단에서 나는 어떤 특별한 보증을 얻는가? (158.5)
 ■ 말씀을 연찬함
 1. 성구 사전을 사용하여 성경의 첫 다섯 책에서 레위(Levi)와 레위 족속(Levites, 레위인들)에 대한 말들을 찾아보라. 왜 레위 지파에게 제사장직이 주어졌는가? 레위 지파에서 나온 첫 대제사장은 누구였는가? 그리스도께서 레위 지파에 속하지 아니하셨을지라도, 그가 레위 족속의 어떤 특성들을 지니셔서 제사장 자격을 갖추셨는가? (158.6)
 2. 히브리서에서 그리스도의 유혹과 그의 완전케 되심에 대한 구절들을 찾아보라(2:10, 17-18; 4:15; 5:9; 7:28). 그 다음, 그리스도의 고난에 대한 이야기를 적어도 사복음서 중 하나에서 읽으라. 겟세마네에서 시작하여 그의 십자가에 이르기까지를 다 읽으라. 어떤 의미에서 이런 경험이 그의 완전케 되심에 이바지했다고 생각하는가? 시험이 어떻게 그대의 완전함에 이바지할 수 있는가? (159.1)
 ■ 말씀의 추가 연구
 1. 바울 당시의 유대인 주석가들이 사용한 구약 해석법을 더욱 잘 이해하기 위하여, 그리고 히브리서 7:1-3에서 어느 해석법들을 찾을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P. E. Hughes, A Commentary on the Epistle to the Hebrews, 237-250을 보라.

 2. 히브리서 7장의 각 절에 대한 직설적인 주석을 위해서는 F. F. Bruce, The Epistle to the Hebrews, rev. ed., 156-179를 보라.

 3. 히브리서 7장의 헬라어 본문에 대한 자세한 구절과 함께 학적인 주석을 위해서는 B. F. Westcott, The Epistle to the Hebrews, 170-210을 보라. (15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