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천사의 기별과 영원한 복음 제 10 장 세 천사의 기별과 재림교회의 선교적 사명(장병호)
 2. 둘째는 세 천사의 기별은 마지막 시대를 살아가는 하나님의 백성들을 세상으로부터 영원히 분리시키는 기별(message of separation)이므로 무엇보다 이 기별들을 자신에게 적용하여 생활로 나타내야 한다. 재림신자들 스스로가 바벨론의 도덕적인 타락의 분위기에서 나와 하나님의 계명과 예수의 믿음을 지키는 자(계 12:17)로 견고히 서야 한다. (234.1)
 3. 세째는 안식일을 준수하는 백성들에게 안식일이야말로 참으로 기쁘고 즐거운 구원의 날이 되어야 할 것이다(사 58:13, 14). 안식일 준수를 자기 의에 기초한 공로를 축적하는 인본주의적인 신앙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창조와 구속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은혜로 이미 구원을 받았다는 상태의 변화에 기초한 감격과 감사의 예배 축제가 신앙의 내용이 되어야 할 것이다. (234.2)
 4. 네째는 이 기별이 지금의 재림신자들을 제외한 타 교단 신도들이나 아니면 불신자들만을 위한 제한적인 기별(limited message)로 생각하지 말아야 한다. 이 기별은 바로 이 마지막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모든 사람을 포함하고 있는 포괄적인 마지막 기별(comprehensive message)이다. 재림신자들 개인의 지상에서의 삶을 하나님 중심적으로 마무리짓게 하는 마지막 기별이므로 이 기별에 세심한 관심을 가지고 신앙을 실천에 옮기는 생애를 살아야할 것이다. (234.3)
 5. 다섯째는 세 천사의 기별에 대한 보편적인 이해(universal understanding)가 필요하다. 세 천사의 기별은 “영원한 복음”, “마지막 기별”, “심판의 기별”, “경고의 기별”, “바벨론의 멸망의 기별”, “출애굽의 기별”, “경배의 기별”, “죄의 용서의 기별”, “하늘 성소의 기별”, “안식일의 기별”, “하나님의 인의 기별”, “건강개혁의 기별”, “재림의 기별” 등등 많은 이름들을 붙일 수 있다. 그러나 개인의 성향에 따라 어느 한 기별을 지나치게 부각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234.4)
 예컨대, 비록 1844년 이 후에 그리스도께서 하늘 지성소에 계시면서 중보와 심판을 동시에 병행하시므로 이 기별을 “지성소의 기별”로만 칭하거나 셋째 천사의 기별은 “건강기별”로만 한정하는 것 역시 옳지 못하다. (234.5)
 6. 끝으로 세 천사의 기별을 교회와 신앙공동체를 허무는 파괴적인 기별(destructive message)로 사용하지 말고 오히려 하나님의 교회는 세우는 기별(constructive message)로 사용해야한다. 세 천사의 기별은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용기를 주는 기별이다. 이 기별은 자백과 용서를 통해서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되는 속죄의 기별이며, 인간의 마음에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시키는 회복의 기별이다. 이 기별은 상대방을 비방하는 기별이 아니고 오히려 성도들 개개인과 그리스도 밖에 있는 영혼까지라도 긍휼과 사랑으로 싸매고 치유하는 기별(healing message)이다. 이 기별은 하나님의 백성을 무방비로 버려 두는 기별이 아니고 오히려 성도들을 끝까지 보호하신다는 약속과 보증의 기별이다. 이 기별의 목적은 교회와 성도들 밖에서 안으로 향하는 기별이 아니라 개인의 영혼 안에서 뜨거운 선교열정에 동기를 부여받아 밖으로 향하는 원심력(遠心力)을 가진 선교기별(centrifugal missionary message)이다. (235.1)
 미주
 1) 오만규, 재림교회사, 서울:성광문화사. 1982, 116, 117 참조.

 2) Bacchiocchi. Samule (사무엘레 바키오키). 십자포화에 휩싸인 안식일 (The Sabbath under Crossfire) 장병호 역. (서울:시조사. 1999). 23, 24. 52~54 참조).

 3) Bates, Joshep. “An Explanation of the Typical and Anti-Typical Sanctuary,”[TAS], 10).

 4) Review and Herald, (Oct.2, 1855), 52, 53.

 5) Ibid. 53.

 6) White. James. “The Day of Judgment.” Advent Review[AdR], Sept. 1850, 100.

 7) White. Ellen G. Early Writings, 63: Manuscripts 11. 1850 참조).

 8) White, EUen G. Spritual Gifts, Vol. I. 165, 166.

 9) White, James. Review and Herald, January 13. 1852, 76.

 10) Cottrell, Roswell F. Unity of the Church, 1859, 125.

 11) Andrews, John N. The Three Message of Revelation, 82.

 12) Andrews, John N. The Third Angels Message, 12, 68.

 13) White, Ellen G. “The Spirit of Sacrifice”, True Missionary, January 1874, 1.

 14) Butler, George I. True Missionary, March 1874. 21.

 15) Review and Herald. Nov. 1850, 7.

 16) Andrews George N. The Three Angels of Revelation. 82; Review and Herald, March 20. 1855, 194.

 17) Andrews George N. Western Midnight Cry. January 14, 1845, 38~40.

 18) Review and Herald, May 26, 1853, 4.

 19) White, Ellen G. Testimonies for the Church, No. 22, 1872, 49:3T. 161.

 20) White, James. “Third Angel’s Message”, 108.

 21) White, Ellen G. Letter to Barnes, No. 5, 1851.

 22) White, Ellen G. Testimony fbr the Church, No. 12, 1867;IT, 559.

 23) White, James. Review and Herald, August 20, 1872, 22.

 24) White, Ellen G. Testimony for the Church, Vol. 3, 168. (2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