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째로, 사울이 권력을 잡게 된 과정 속에서 주요 도시인 기브아와 길르앗 야베스는 사사기의 초기 기록에서 둘 다 심한 오명을 얻었다. 사울의 고향 기브아는 그 여인이 해를 당한 곳이며(
삿 19:12-16), 사울이 구원한 길르앗 야베스는 베냐민 지파를 대항하여 이스라엘의 나머지 백성과 연합하기를 피함으로 언약의 책임을 거절한 곳이다(
삿 21:9). 그 결과로 이스라엘은 그 도시를 멸망시켰으며, 훼파하되(히브리어,
헤렘[
ḥerem]) 살아 남은 베냐민 남정들을 위하여 400명의 처녀를 남겨 두었다(10-14절). 그러나 이 새로운 사건 속에서도 야베스는 나하스와 조약을 맺으므로 다시 하나님의 언약을 범하려고 하였다(
삼상 11:1). 그러므로 베냐민 사람 사울은 악한 기브아와 언약을 범하는 야베스의 후손이었다. 길르앗 야베스와의 결속은 사울의 죽음 후에도 분명히 드러났다. 왜냐하면 그 도시가 몰락한 왕의 시신을 처리하였으며(31:11-13), 얼마 동안 그 집안에 대하여 충성스럽게 남아 있었기 때문이다(
삼하 2:4-7).
(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