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원 종양 유전자(proto-oncogene): 우성 암 유전자, 정상 세포의 분화와 증식을 조절하는 유전자로 정상 유전자이다. (322.17)
 2) 암 억제 유전자(anti-oncogene, 항종양 유전자): 열성 암 유전자, 정상적으로 세포의 과도증식을 막아주는 유전자로 한 쌍이 모두 손상되어야 암을 발생시킨다. (322.18)
 3. 최근에는 세포소멸(apoptosis) 곧 자살세포(programmed cell death)에 관련된 유전자들이 발암 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실이 확인되고 있다. 쉽게 말하면 할 일이 없어진 세포는 스스로 알아서 죽게 되는데 이 유전자에 고장이 나면 죽어야 할 세포가 죽지 않고 계속 살게 되면서 암으로 변한다는 것이다. (322.19)
 B. 종양 유전자
 대다수의 인체의 암은 바이러스 이 외의 다른 원인으로 생기는데 그래서 유전자의 변화를 연구하게 되었다. 정상 세포의 분화와 증식을 조절하는 유전자가 원 종양 유전자이며 불활성 상태로 정상 세포에 있다가 자극을 받으면 활성으로 바뀌면서 종양을 유발하는 종양 유전자(oncogene, onc)가 된다. 원 종양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두 가지 요인은 다음과 같다. (322.20)
 1. 세포성 종양 유전자(cellular oncogene, c-onc): 화학 물질에 의한 암 발생 (323.1)
 2. 바이러스성 종양 유전자(viral oncogene, v-onc): 바이러스성 발암 작용 (323.2)
 C. 종양(암) 억제 유전자
 종양 억제 유전자는 정상적으로 과도한 세포 증식을 막아주는 생명체의 중요한 조절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종양 억제 유전자는 염색체 13q14에 자리 잡고 있는 Rb 유전자로 망막 모세포 종에서 그 존재가 가장 먼저 예측되었다. 현재까지 종양 억제 유전자는 10여 개가 알려져 있는데 그 일부는 다음과 같다. (323.3)
 1. P53: 염색체 17p13.1에 자리 잡고 있으며 인체의 암에서 가장 흔하게 변환되어 있는 유전자이다. 세포증식과 세포소멸에 다 관련되어 있다. (323.4)
 2. APC(adenomatous polyposis coli): 대장암 방지 유전자 (323.5)
 3. NF-1(neurofibromatosis type 1): 신경섬유 육종방지 유전자 (323.6)
 4. DCC(deleted in colon carcinoma): 대장암 (염색체 18q21)과 위암 방지 유전자 (323.7)
 5. WT-1(Wilms' tumor): 염색체 11p13에 위치하는 망막 세포종과 소아 종양인 윌름즈 종양억제 유전자 (323.8)
 VII. 암의 진단
 A. 형태학적 진단 또는 병리 조직학적 진단(조직 검사)
 1. 육안 및 광학현미경 (323.9)
 2. 투과 전자현미경 (323.10)
 3. 주사 전자현미경 (323.11)
 4. 면역 형광법 (32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