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5세 이하의 어린이 사망원인 중 10% 이상이 암이다. 급성 백혈병과 중추 신경계 암이 어린이 암 사망의 60-75%이다. (321.3)
 3. 영아와 소아에게 흔한 암은 신경모 세포종, Wilms 종양, 망막모 세포종, 급성 백혈병, 횡문근 육종(판막이나 심방의 폐쇄를 일으키는 심종양) 등 (321.4)
 D. 유전
 1. 유전성 암 증후군(상염색체 우성) (321.5)
 2. 가족성 암종: 유방, 난소, 결장, 뇌 등 (321.6)
 3. DNA 복구 결손의 상염색체 열성 증후군: 염색체성, DNA 불안정성 (321.7)
 E. 후천성 전암성 질환
 1. 습관성 흡연자의 기관지 점막 회생과 이형성-기관지암 (321.8)
 2. 약 80%의 간 세포암은 간경화증에서 발생한다. (321.9)
 3. 기타 전암성 상태: 악성 빈혈의 만성 위축성 위염, 피부의 일광 각화증, 만성 궤양성 결장염, 구강이나 외음 또는 음경의 백반증 (321.10)
 V. 발암기전
 A. 발암인자(인체 암의 80-90%가 생활습관, 환경적 요인) (321.11)
 1. 화학적 발암 물질: 산업화 과정에서 많이 발생하며 그 수가 대단히 많다. (321.12)
 1) 1단계 - 개시 단계: 화학물질이 착수제(initiator)로 작용한다. (321.13)
 2) 2단계 - 촉진 단계: 촉진제(promoter)로 작용하여 세포를 변형시킨다. (321.14)
 2. 물리적 발암 기전 (321.15)
 1) 자외선: 자외선 파장 UVB(280-320nm)에서 많이 나타나며 세포 내의 각종 효소의 불활성화, 세포 분열의 방해, 돌연변이, 세포의 사망과 암 유발을 일으킨다. 일광 과다노출로 인한 피부암은 멜라닌 색소가 적은 백인에게 많다. (321.16)
 2) 석면: 건축, 절연, 산업에 주로 쓰이는 규산염의 일종인 섬유질이며 흉막과 복막의 악성 중피종을 일으킨다. (321.17)
 3) 이물질: 플라스틱, 금속 필름, 섬유, 플라스틱 스펀지, 구슬, 덱스트란 합성체 등 (321.18)
 4) 방사선: DNA 대사에 장애를 가져와 돌연변이를 유발하고 변형세포를 만든다. (32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