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경우 마비는 안면과 같은 인체의 특별한 부위에 나타나는 국부적인 증상이다. 언제든지 신속하게 의학적 조치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316.1)
II. 원인
1. 벨 마비(Bell's palsy): 안면을 지배하는 삼차 신경이 부어올라 얼굴에 통증이 오고 마비가 온다. 마비는 보통 일시적이며 통증과 함께 안구 건조증 및 음식 먹기 곤란 등을 가져온다. (316.2)
2. 뇌성 마비(cerebral palsy): 중추 신경계의 손상으로 오는 대표적인 증상이며 다양한 형태의 마비, 일련의 비정상 상태, 그리고 학습 장애가 나타나며 대부분의 경우 출생 전에 손상이 발생한다. (316.3)
3. 헌팅턴 무도병(Huntington's chorea): 점진적인 유전병으로 뇌와 신경에 영향을 준다. 전형적인 초기 증상은 티크(tics)와 씰룩거림이며 35-45세 사이에 나타난다. 동반되는 증상은 심한 마비가 나타난 후에 개성 변화와 치매가 발생한다. (316.4)
4. 작업 마비(occupational palsy): 반복적이며 긴장을 주는 작업 활동이 손에 다양한 형태의 마비를 일으킨다. 대표적인 경우는 반복적 스트레스 증후군과 수근 터널 증후군이다. 팔을 따라 손가락까지 미치는 정중 신경(median nerve)이 부어올라 손목의 좁은 터널을 지날 때 압박을 주면서 일어난다. 컴퓨터 키보드 작동 자나 육류 가공업자 그리고 반복적인 손동작을 하면서 일하는 자들에게 많다. (317.1)
5. 파킨슨씨병(Parkinson's disease): 신경 기능을 원활하게 하는 뇌의 화학 물질인 도파민(dopamine) 결핍으로 발생하는 점진적인 질병으로 근육반응이 느려지면서 떨림이 오고 걸음걸이가 불편하게 된다. 병이 진행되면서 근육이 경직되고 얼굴표정이 굳어지고 눈을 깜박거리지 못하게 되며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마비가 나타난다. (317.2)
6. 수면 마비(sleep paralysis): 아침에 일어나면서 움직일 수 없게 되는 것인데 마비는 단순하지만 놀라움은 크다. 많은 사람들이 수면 마비와 함께 급 발작(cataplexy)을 일으키기도 하는데 인체의 하나나 여러 개의 근육이 갑자기 강도와 힘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발생한다. 급 발작이 생기면 말도 못하게 되고 발작이 일어난 부분을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317.3)
7. 척수 장애(spinal cord disorders): 척수는 척수관을 통하여 지나가는 신경 섬유 다발을 말하는데 뇌와 근육 사이에 메시지를 전달한다. 만일 척수가 잘리거나 회복이 어렵게 손상을 받으면 관련된 근육이 마비된다. 원인은 선천적인 경우와 사고에 의한 경우가 있고 또한 악성 빈혈이나 다른 질병에 의하여 점진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317.4)
8. 뇌졸중(stroke): 뇌의 작은 동맥에 혈전이 형성되어 막히면 뇌에 산소 결핍상태가 생기면서 뇌졸중을 일으킨다. 또한 뇌의 혈관이 파열되면서 발생한다. 어떤 경우든지 마비증상이 생기면서 언어 장애와 다른 기능 상실이 나타난다. 증상이 일시적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지면 미니 뇌졸중(또는 TIA, transient ischemic attack)이라고 하며 뇌졸중의 전조로 나타난다. (317.5)
III. 예방 및 치료
1. 생명에 지장이 없는 한 목이나 등이 부러진 환자를 사고 장소에서 옮기지 않는다. (317.6)
2. 어떤 마비나 또는 근육 기능의 상실은 신속한 의학적 조치가 요구된다. 조기진단과 치료는 불구를 예방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317.7)
3. 물리치료나 작업 치료는 마비와 연관된 근육소모, 관절구축, 그리고 다른 병변들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된다. (317.8)
4. 응급조치가 끝난 후에 NEWSTART 천연치료를 적절하게 적용한다(뉴스타트(NEWSTART) 천연치료 기본적용 참조). (317.9)
5. 영양균형과 강장효과를 위하여 스피룰리나(2개/day)와 청국장 가루(1-2T와 물 1/2컵/매 끼니)를 식후에 먹는다. (31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