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 성소 (재림교회 신학의 심장) 제 7 장 그리스도와 1844년1)
 내가 판단하기에, 이런 생각은 우리의 선구자들이 1844년에 일어난 일을 묘사한 것에 대한 우리의 평가에도 적용된다. “겉옷” 속에 들어있는 것을 찾고자 하는 자들에게는, 다니엘 8:14의 예언적 기간의 끝에 그리스도께서 전혀 새로운 성격을 띤 봉사의 국면 곧 하나님의 이름과 영예의 최종적 옹호, 하나님의 성소와 백성의 옹호, 우주의 영원한 안전을 그것의 목표로 삼는 국면을 시작했다는 것이 그들이 표현한 진리의 본질이었다. (136.9)
 150여년 후에 살고 있는 우리가 오늘날에도 이 특정 진리를 그들 이 당시에 사용했던 것과 동일한 언어로 표현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 때 문제가 발생한다. 그들이 죽은 자 가운데서 부활하여 우리가 그들의 시대 이후로 아무런 신학적 진전을 이루지 못하고, 심지어 그들의 발언을 방부처리하여 그대로 보유하고, 지금도 그들이 당시에 보았던 것 이상을 확실하게 보지 못한다는 것을 안다면 그들이 얼마나 실망하 겠는가! (136.10)
 우리는 지금 용감하고 영감적인 그들의 어깨 위에 서 있으며, 따라서 믿음의 기본 기둥들을 이루는 널빤지 한 장 바꾸지 않고도 우리는 진정으로 더욱 확실한 이상을 깨닫는다. 오늘날에도, 십자가에서 이룬 대승리 후에 우리의 흠 없는 대제사장이 하늘 성소의 한 장소에 제한되어 있다고 주장한다면(문자적으로 그런 장소가 있다고 가정할 때) 그것은 1800년 동안 신학적으로 부조리하고 수용할 수 없는 일이 되었을 것이다. (136.11)
 그러므로 눈물로 범벅이 된 그날 아침 하이럼 에드슨에게 이르러 왔던 그 진리를 표현하는 더 나은 방식은 다음과 같을 것이다. 그리스도께서는 승천한 후 하나님 앞으로 가시고(이렇게 말하는 것은 신약과 조화를 이룸), 소위 “첫째 칸 봉사”를 시작하셨다(고대의 표상적 예식과 조화를 이룸), 2300주야(년)의 끝인 1844년에 그분은 소위 “둘째 칸 봉사”를 시작하셨다(대속죄일에 행하는 고대의 표상적 예식과 조화를 이룸), 다시 말해서 하늘 성소의 회복, 옹호 또는 정결을 시작하셨다(레위기 16장다니엘 8:14과 조화를 이룸). (136.12)
 내 생각에는, 이것이 하나님께서 한 백성인 우리에게 위탁하신 기별의 본질이라고 본다. 또한 예언적 시계가 1844년을 가리켰을 때 땅에 거하는 자들 곧 모든 나라와 족속과 방언과 민족에게 전할 영원한 복음을 가진 천사들이 공중에 날아가면서, 낭랑한 음조로 그리스도의 하늘 성소 사역의 이 영광스러운 새 국면을 선포하는 장면이 이상 중에 보여졌다. “하나님을 두려워하며 그에게 영광을 돌리라 이는 그의 심판하실 시간이 이르렀음이니”(계 14:7). (136.13)
 그리스도의 사역의 이 극적인 새 국면의 범위와 의미에 대한 오해로 말미암아 1844년의 대실망이 생긴 것이다. 또한 내가 믿기로는, 나라와 개인에게 그토록 오래 지체된 하나님과의 만남을 갖게 해 주는 것은 하늘 성소에서 수행되는 소위 위대한 “둘째 칸 봉사”의 새로운 국면을 온전히 이해하고 선포하는 데 있다. (136.14)
 참고
 1) 나는 다니엘 8:14에 언급된 2300주야의 끝으로서 이 연대의 정확성에 대해 전적으로 만족한다. 나는 그것에 대해 여기서 변증할 생각이 없다. 이 문제에 대한 재림교회의 역사적인 입장을 알기 원하면, Adams, The Sanctuary Doctrine, 42~45, 특히 43, n. 1을 참조하라. 다니엘 8:14에 관한 근자의 해석을 보려면 Hasel, in The Sanctuary and the Atonement, 177~227을 참조하라. 그리고 1844년의 욤 킵푸르(대속죄일)를 10월 22일로 보는 견해의 정확성에 대해서는 Shea, Selected Studies on Prophetic Interpretation, 132~137을 참조하라.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인들이 나치 군대의 암호문을 해독하여, 런던의 도로 밑 지하 벙커에 있던 윈스턴 처칠이 나치 군대의 계획에 대한 경고를 사전에 받을 수 있었다. 군사 이론가들은 암호를 해독하는 데 따른 방법이 정확했는지, 그렇다면 정확한 판독 원리에 따랐는지 논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영국 군사 실무 관계자들에게 중요한 사실은 암호가 해독되었다는 점이다. 하나님의 섭리를 통해, 다니엘 8:14과 9:24~27의 암호가 해독되어 1844년이라는 연대가 확정되었다. 더 좋은 설명을 가진 사람이 있다면 그것을 가지고 나오게 하라.

 2) Hiram Edson, 단편 원고, Heritage Room, James White Library, Andrews University, Berrien Springs, Michigan.

 3) Ibid.

 4) Ibid.

 5) Ibid., 7(강조 첨가).

 6) 참조 엘렌 G. 화잇, 각 시대의 대쟁투, 419~422. 7) 더 자세한 설명을 보려면 The Sanctuary Doctrine, 108~112을 참조 하라.

 8) 독자는 다음의 성경구절들을 조사해 보면 이 주장의 타당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출 26:31, 33, 35; 27:21; 30:6; 35:12; 36:35; 38:27; 39:34; 40:3, 21, 22, 26; 레 4:6, 17; 16:2, 12, 15; 21:23; 24:3; 민 4:5; 18:7; 대하 3:14.

 9) 참조 The Sanctuary Doctrine, 109.

 10) 참조 출 26:33; 레 16:2, 12, 15; 민 18:7.

 11) 출 26:35; 27:20, 21: 30:6; 40:22, 26; 레 4:6; 4:17; 24:1~3. 사실 밸린저가 말하는 용례는 모두 여섯 가지이다. 그는 출애굽기 30:6을 놓치고, 출애굽기 40:22, 26에 나온 두 경우를 하나로 헤아렸다. 참조 Ballenger, Cast Out, 29, 30.

 12) 참조 The Sanctuary Doctrine, 109, n. 2; 110, n. 3; 144, 145.

 13) Ibid., 145.

 14) 참조 막 16:19; 행 5:31; 엡 1:20; 골 3:1; 히 8:1; 계 3:21.

 15) 이 주제에 관한 탁월한 책은 윌리엄 존슨의 In Absolute Confidencel 다. 그 책에 제시된 개념들 가운데 대표적인 본보기를 보려면 116~118을 참조하라.

 16) 이런 태도는 18세기로 거슬러 올라가, 대륙의 경건주의 및 감리교 운동 에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다. 이런 운동들은 “스콜라주의 신학자들의 장황한 이론이나 철학자들의 사변”에 대한 반동(反動)을 대표한다(Justo L. Gonzalez, A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Nashville: Abingdon Press, 1975], vol. 3,274; 참조 287~289). 또한 19세기 중반쯤 뉴 잉글랜드 사람들의 삶의 사회적 및 종교적 배경에 관한 묘사는, Sydney E. Ahlstrom, A Religious History of the American People (New Haven, CN: Yale University Press, 1972), 373, 438,443을 참조하라.

 17) Gustaf Aulen, Christus Victor: An Historical Study of the Three Main Types of the idea of Atonement, trans. A. G. Herbert(New York: Macmillan Pub. Co., Inc.. 1969), 53.

 18) Ibid., 103, 104, 109, 110.

 19) Ibid., 10,47.

 20) Ibid., 47.

 (13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