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확대경 - 야고보서 제I부 시련과 유혹 (1:1-18) 3. 축복이냐, 비난이냐 (1:12-18)
 1. 내가 고난이나 시험을 당하여 하나님(혹은 사단)을 비난하였을 때, 입장을 바꾸어봄으로써 나는 누구도 비난할 수 없음을 깨달았을 때가 얼마나 있었는가? 두세 가지의 그런 예를 적어 보라. (84.2)
 2. 나는 고의적이든 고의가 아니든 나의 움직임을 설명해 주는 점성술적 징조를 사용한 적이 얼마나 있었는가? 내가 태어났다는 그 “징조”가 나의 행동 속에서 어떤 일을 하였는가? 야고보서의 이 구절은 이 문제를 어떻게 말하고 있는지 설명하라. (84.3)
 3. 과거에 당신은 “왜 의인이 고통을 당하는가?”라는 질문에 대답을 가지고 있었는가? 야고보의 이 연구는 당신의 변화를 얼마나 도와주었는지, 혹은 그 문제에 대한 당신의 이해를 얼마나 정련해 주었는지를 요약하라. (84.4)
 4. 나는 내 안에 있는 “죄 된 욕망”을 어떻게 다루는가? 나는 시험이 나의 죄 된 성향에 이르러 오는 것을 고백하고 그 결과를 회개하는가? 혹은 나는 그것을 무시하려 하거나 혹은 그 밖의 어떤 것에 그것을 투영하는가? 설명하라. (84.5)
 5. 하나님께서 지난주에 주신 열 가지의 “좋고 온전한” 은사에 대하여 열거하라. (85.1)
 ■ 말씀을 연찬함
 1. 야고보서 1:13마태복음 6:13을 비교하라. 그것들은 서로 상충되는가? 당신의 답변을 설명하라. 좋은 성경 주석에서 마태복음 6:13을 훑어 보라. 아 구절에 대한 당신의 설명은 그 주석의 것과 가까운가? 만일 그것이 차이가 있다면 차이점들을 설명하라. (85.2)
 2. 당신의 성구사전에서 신약 성경에 있는 욕망(lust)과 욕구(desire)라는 단어를 훑어 보라. (만일 당신이 헬라어 자료, 예를 들면, Young's Strong's 혹은 The NIV Exhaustive Concordance와 같은 성구 사전을 가지고 있다면 epithumia로 번역된 경우만을 살펴보라.) 각 단어에 대한 다섯 구절을 뽑아서 그것들을 분석하라. 어떤 구절들이 긍정적인 단어를 사용하는가? 어떻게 부정적으로 이 단어를 사용하였는가? 그것이 중성적으로 사용된 경우는 얼마나 되는가? 당신은 그 번역에 대한 어떤 것에 동의하지 않는가? 그런 번역들을 적어보고 당신이 왜 동의하지 않는지를 설명하라. (85.3)
 3. 이 장이 시작되는 “Getting Into the Word”의 1번 질문에서 당신은 다른 성경—아마도 17절처럼 하나님은 변함이 없으심을 진술하는 많은 다른 본문들을 포함하는—에서 일어나는 야고보서 1:12-18에 대한 인상적인 분석을 주목하였다. 이제 창세기 6:6에 대한 관주에서 주어진 그 구절을 살펴보라. 그 구절들은 야고보서 1:17과 연관을 가지고 언급된 것과 신학적으로 차이가 있는가? 당신의 결론을 설명하라. (85.4)
 ■ 말씀의 추가 연구
 1. E. G. White의 “시험”(temptations)에 대한 설명과 그것들의 발생에 관한 연구를 위해서는, 산상보훈, 116-119를 보라.

 2. 유대주의에서 “죄 된 욕망”의 배경에 대한 상세한 본문적 역사적 연구를 위해서는, J. Marcus, “The Evil Inclination tn the Epistle of James”를 보라.

 3. 총괄적으로 이 구절들에 관한 좋은 주석을 위하여 R. P. Martin, James를 보라. (8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