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빈자와 부자를 제쳐놓고, 현 시대에 야고보의 관심을 적용시킬 수 있는 다른 범주나 대조가 있는가? 다른 영역에서 대 반전—뒤집어짐이 일어난 것을 본 적이 있는가? 상론(詳論)하라. (68.3)
 4. 당신의 야고보서 노트를 두 부분으로 나누라. 한쪽 편 상단에는 “긍정적 자랑”, 다른 편 상단에는 “부정적 자랑”이라 기록하라. 첫 번째 부분에 당신이 일반적으로 자랑하는 긍정적인 행동, 생활상, 인간관계들의 목록을 기록하라. 다른 부분에는 당신의 부끄러운 행동, 생활상, 인간관계들의 목록을 작성하라. 어느 편에 들어갈 무엇인가를 발견했는가? 그것들은 어떠한 것인가? 그 이유는? (68.4)
 ■ 말씀을 연찬함
 1. 성구 사전에서 가난이라는 단어를 찾아보라. 소선지서(호세아에서 말라기까지)에서 이 단어가 사용된 열 구절을 선택하여, 그 구절과 인접한 문맥을 읽으라. 야고보서와 비슷한 점들의 목록을 작성하라. 부유함(rich)과 윤택함(wealthy)이란 단어도 동일하게 해보라. 이제 누가복음에서도 찾아서, 각각 다섯 구절씩 찾아서 반복해서 연습하라. (68.5)
 2. 성구사전을 활용하여 성경 기자들이 인생살이를 꽃으로 묘사한 관련 구절들을 찾아보라. 그 같은 연구를 통해 모여진 다양한 교훈들의 목록을 작성하라. 당신의 발견과 성경 사전의 “꽃”에 대한 연구를 비교하라. (69.1)
 ■ 말씀의 추가 연구
 1. 이 구절의 사회적 배경에 대한 상세하고 섬세하게 주석한 탁월한 책은, R. P. Martin, James를 보라.

 2. 이 구절의 상세한 연구를 위해서는 P. Maynard-Reid, Poverty and Wealth in James를 보라. 특히 “대 반전”이라는 장, 38-47쪽을 보라.

 3. 그리스도인들이 그들의 재산을 가난한 자들과 어떻게 나누어야 할 지에 대한 성서적 주해를 위해서는, P. Maynard-Reid, “Called to Share” in The Midas Trap (65-70), ed., David Neff를 보라. 그 책 전체는, 그중 많은 장(chapters)들이 Christianity Today (12 May 1989)에 나타나며, 가난함과 부함의 문제에 대한 선교적 관점을 정립하는 탁월한 자료이다. 또한 G. M. Stulas, “Who Are ‘the Rich’ in James?”를 참고하라.

 4. E. G. White은 가난한 자에게 나누어주는 문제에 대해 많은 진술을 하였다. 이에 대한 광범위한 자료가 교회증언, 3:511-521에 “불행한 자들에 대한 의무”(Duty to the Unfortunate)라는 주제로 주어졌다. (6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