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일 준수의 기원과 역사 제2장 천문학의 여명에 제2절 갈대아 사람들의 지혜-점성술
 

네르갈 신. 미국의 메트로폴리탄 미술 박물관. 뉴욕
(146.1)
“만일 화성(Nergal)이 탐무스 달에 보일 때에는 병사들의 잠잘 데가 없어질 것이다(원정하게 될 것이다).”33)
(146.2)
“화성이 역행 운동을 한 후 전갈자리에 들어가면 왕은 조심해야 한다. 이 날은 심히 나쁜 날이므로 왕은 궁전 밖으로 나가서는 안 된다.”
(146.3)
“화성이 금성 왼쪽에 오면 악갓 시가가 황폐하게 된다.”
(146.4)
“화성이 달의 궁에 있고, 그 때 월삭이 일어나면 왕은 죽고 그 나라는 좁혀진다.”34)
(146.5)
 

화성의 움직임
(147.1)
 이것들은 아슈르바니팔(Ashurbanipal, 669-626 B.C.) 왕궁 도서관에서 출토된 B.C. 7세기경의 것으로 추산된 바빌로니아의 설형문자 점토판에 쓰여 있는 점성술 점괘들이다. (148.1)
 구약(왕하 17:30)을 보면, 앗시리아 제국의 사르곤 2세(Sargon II, 722-706 B.C.)가 북방 이스라엘 왕국의 수도 사마리아 도성을 정복하고, 그곳 주민을 여러 외지에 흩어버린 뒤, 그 대신 몇몇 다른 지역 주민들로 채울 때 구테아인들(Gutheans)도 이주해 왔는데, 이 주민들이 각각 자기들의 수호신을 갖고 왔을 때 구테아 사람들도 그들의 수호신 네르갈을 모시고 왔다는 기록이 있다. 이 네르갈의 배우신은 명부(冥府)의 여왕 에레쉬키갈(Ereshikigal)이며, 페니키아인들(Penicians)은 이 신을 “Ngrl”이라 불렀다.35) 헬라 사람들은 그들의 전신(戰神) 아레스(Ares)로, 로마 사람들은 그들의 군신(軍神) 마르스(Mars)로 생각했다. (148.2)
 바빌로니아 사람들의 수성 네보(Nebo) 신36)은 보르십파(Borsippa) 도성37)의 수호신이며, 마르둑 신의 아들로서 그의 신탁을 위임받은 신이었다. 그래서인지 구약 이사야에서는 이들 두 신이 나란히 언급되어 있다.38) (148.3)
 네보 신의 주 신전은 에지다(Ezida)인데 현재 비르스-님루드(Birs- Nimrud)라고 불리우는 보르십파 성안에 있다. 네보는 설형 문자를 발명했고, 바빌로니아의 문학과 과학의 창시자인 동시에 그것의 수호자였고, 청문자 타스밋의 남편이기도 하였다.39) (149.1)
 이집트에서는 이 신을 누브(Nub), 또는 눔(Num)이라고 불렀다. 헬라 사람들은 이 네보를 그들의 문예와 지혜의 신 헤르메스(Hermes)40)라고 생각했고, 이들을 통해 배운 로마 사람들은 이 신을 자신들의 문예의 신이요, 예술과 학술의 신 메르쿠리(Mercury)라고 생각했다. (149.2)
 태양신 “샤마쉬”(Shamash)는 도시 국가 라르삼(Larsam)41) 도성의 수호신인데 본래는 수메르인들의 태양신으로서 움마(Umma) 도시 국가에서는 “우투”(Utu)라고 불렀으며, 다른 곳에서는 “밥바르”(Babbar)라고 부르며 숭앙했었던 것을 셈족 사람들이 “샤마쉬”라고 고쳐 불렀던 것이다. “샤마쉬”는 셈족어의 태양이다. 앗시리아-바빌로니아 사당(Assyria-Babylonian Pantheon)에서는 “샤마쉬”는 월신 신(Sin)의 아들이었다.42) 메소포타미아 상류에 정착했던 셈족 악갓인들(Akkadean)의 수도 십파르(Sippar 또는 Akkade)는 이 태양신 샤마쉬를 주신으로 신봉했었다.43) 그의 주 신전은 “에브라”(Ebra)였고, 그의 유명한 신전 탑은 “에-두르-안-키”(E-dur-an-ki)였다. (149.3)
 

함무라비 법전. 함무라비 왕이 정의의 태양신 샤마쉬로부터 통수권을 인수하는 모습이 법전비 상부에 양각된 것. 파리 루브르 박물관 소장.
(150.1)
 샤마쉬는 깜깜한 밤을 물리치며, 추운 겨울을 쫓아버리는 신비로운 능력이 있는 신으로 고대인들은 생각했었다. 그리고 동시에 샤마쉬는 악의 흑암을, 불의의 암흑을 그의 찬란한 빛으로 추방해버리는 “정의의 신”이었다. 고대 바빌로니아의 제1왕조[Amorite]의 제6대 왕 함무라비(Hammurabi, 재위 1729-1686 B.C.)가 세운 그의 법전 비문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44) 그 서문에 아래와 같은 문구가 담겨져 있다: (151.1)
“바벨론의 신 마르둑이 하늘의 최고 신 아누(Anu)와 도시 신들의 우두머리인 엔-릴(En-lil)에 의하여 신 엔-릴과 동등한 위에 올랐다. 함무라비 왕은 아누와 엔-릴, 이 두 신들에게 불려나가 정의를 펴고 사를 없애며, 강한 자가 약자를 학대하는 일이 없도록 이 땅에 공의가 빛나게 백성을 위하여 빛을 밝히라는 사명을 정의의 신 태양 샤마쉬로부터 받았다.”45)
(151.2)
 3. 7층 신전탑 지구라트
 피라밋이 애굽의 옛 종교, 문화, 예술 그리고 건축, ... 더 나가서 그 시대의 정치 형태까지 들여다볼 수 있는 그 나라의 상징적 유물이었다고 한다면, 지구라트(ziggurats, zigguratus)는 바빌로니아의 고대 종교, 문화, 예술, 그리고 건축과 과학 등등 더 나가서는 당시의 정치 영역에 이르기까지 그 나라의 모든 분야를 드러내 보이는 대표적 유물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151.3)
 이 두 유물들은 종교적 측면에서 볼 때 피라밋이 영혼 불멸의 신앙에 대해 진하게 풍기고 있다면, 지구라트는 점성술적 신앙에 관하여 폭넓게 이야기하고 있다. 그래서 오덤(Robert L. Odom) 교수는 다음과 같이 진술했다: (151.4)
 

우루크의 지구라트 유적, 이락
(151.5)
“점성술이 바빌로니아 종교 사상에 끼친 감화의 현저한 사례는 지구라트로 알려진 그들의 유명한 몇 개의 신전 탑들의 건축 양식에서 엿보인다.”46)
(1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