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별 천연치료 질병별 천연치료 식탐(Cravings)
 I. 설명
 
 대부분의 사람들은 특정한 음식에 대한 선호도를 갖는다. 미국의 전직 대통령 중에 레이건은 젤리 빈(과자)을 좋아하고 부시는 브로콜리를 싫어하였다. 그러한 음식 선호도가 영양 상태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면 염려할 것이 없다. 그러나 어떤 사람들은 비정상적이고 기괴한 식탐을 가지고 있다. 비정상적인 식탐에 대한 기전은 충분히 이해되지 못하고 있다. 연구자들에 의하면 식욕과 포만감은 뇌의 시상하부에서 조절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지만 비정상적인 식탐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267.1)
 II. 원인
 1. 병적 기아(bulimia): 게걸병(bulimia)이란 용어는 헬라어의 “ravenous hunger"에서 유래된 말이다. 이것은 일반적인 식사 장애로 자기 스스로 구토를 유도하거나 살이 찌는 것이 싫어서 나타나는 일시적인 문제이다. 대부분 성취욕이 강한 젊은 여성에게 많으며 때로는 신경성 식욕부진(anorexia nervosa)으로 나타난다. 식탐을 가진 사람은 사탕이나 가공 식품을 엄청나게 많이 먹고 가끔 죄책감을 느끼면서 토해 내기도 하고 설사약을 먹기도 한다. 원인은 이해 부족과 심리적 및 호르몬 영향 등이 있다. (267.2)
 2. 투약(medications): 약이 식욕의 변화를 일으키며 가장 일반적인 부작용은 식욕 상실이지만 반대로 일부 음식에 대한 갈망을 일으키기도 한다. 식탐에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약은 스테로이드제이며 피임약과 에스트로겐도 같은 영향을 주기도 한다. (268.1)
 3. 영양 결핍(nutritional deficiencies): 일부 영양부족이 비정상적인 식탐을 일으킨다. 전통적인 생각과는 달리 식탐은 부족한 영양소를 보충할 수 있는 음식에 대한 것이 아니다. 예로 빈혈이 있는 사람이 철분이 많은 음식 대신에 얼음, 진흙, 흙, 그리고 전분 등을 갈망한다. 아연과 구리 결핍도 이상한 갈망을 일으킨다. (268.2)
 4. 비만(obesity): 비만은 유전적인 소인과 함께 식사 조절을 잘못하여 나타난다. 비만인 경우 음식을 많이 먹고도 배가 고프다고 말한다. 아마도 과잉 비만세포가 식욕조절 중추신경에 식욕에 대한 신호를 보내는 것이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268.3)
 5. 이식증(pica): 부자연스런 음식을 먹고 싶어 하는 욕구로서 히스테리, 임신부, 및 영양 불량의 소아에게서 보는 것과 같은 도착된 식욕을 말한다. (268.4)
 6. 생리 전 증후군(PMS, premenstrual syndrome): PMS는 생리 전 1주일 안팎에서 일어나는 모든 증상을 일컬어 말하는 상태이다. 증상은 정서적으로 과민성, 신경쇠약, 그리고 우울증이 나타나고 신체적으로는 유방의 민감성, 복부와 다리의 부종, 그리고 달고 신 음식에 대한 갈망이다. (268.5)
 7. 임신(pregnancy): 임신부의 입덧은 일종의 사랑스러운 증상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그 정도를 벗어나는 경우도 있다. 한 밤중에 일어나 신 장아찌나 아이스크림 그리고 특히 짠 음식을 몹시 먹고 싶어 한다. 신체적 이유로는 임신하는 동안 혈액량이 배가되고 체액 조절을 위하여 여분의 염분이 필요 되기도 한다. (268.6)
 8. 설탕 및 사탕(sugar and sweets): 대부분의 사람들이 단 음식을 선호한다. 연구 보고에 의하면 아이는 “달콤한 치아”를 가지고 태어난다고 한다. 나면서부터 단 것을 좋아하는 경향에 대하여 두 가지 이유를 말하기도 한다. 하나는 설탕은 인체의 주요 연료인 포도당으로 신속하게 전환되기 때문이고 다른 하나는 쓰고 신 음식보다 단 음식이 독성이 더 없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래서 우리 조상들이 많은 시행착오를 거쳐서 이런 사실을 터득하고 활용해 온 것이라고 한다. (268.7)
 9. 빈혈이나 호르몬 장애와 같은 질병이 이상한 식탐을 일으킬 수 있다. (268.8)
 III. 예방 및 치료
 1. 대부분의 식탐은 잘 조절을 하면 해로운 것이 아니다. (268.9)
 2. 음식 이외의 것에 대한 식탐은 영양결핍이나 식중독에서 온다. (268.10)
 3. 영양 보충과 영양 균형을 위하여 청국장 가루(1-2T와 물 1/2컵/매 끼니)와 스피룰리나(2알/day)를 식후에 복용한다. (268.11)
 4. 필요에 따라 튀밥과 같은 배가 덜 부르면서 입만 즐겁게 하는 음식을 먹는다. (268.12)
 5. NEWSTART 천연치료를 적절하게 활용한다(뉴스타트(NEWSTART) 천연치료 기본적용 참조). (268.13)
 6. 원적외선 온열매트 70°C에서 1시간 정도 전신 열 치료를 필요에 따라 적용한다. 땀이 나기 시작하면 머리와 목과 얼굴에 냉 습포를 적용한다. 치료 후에는 누운 채로 30분 정도 휴식을 취하고 이동하도록 한다. (26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