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설명
  (261.1)
 습진이란 임상적으로 가려움증, 홍반, 인설과 군집된 구진, 수포를 보이고, 조직학적으로는 표재성 피부염으로서 표피에는 해면화를 동반하고 진피에는 혈관 주변에 염증세포가 침윤된 염증성 피부 반응을 보이는 피부질환군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염과 같은 동의어로 사용하고 있으나, 피부염은 피부의 모든 염증성 병변을 지칭하는 용어로 피부염이 습진보다 광범위한 의미가 있다. 습진은 신체 어느 부위에서나 발생가능하며, 손에서 발생하는 경우 수부 습진, 눈꺼풀 습진, 외이도의 습진, 유두습진 등이 잘 알려져 있다. (262.1)
 습진은 여러 가지 피부질환을 아울러 말하기도 한다. 습진은 처음에는 피부가 붉고 습하고 진물이 나오고 부스럼이 생기며 나중에는 딱지가 생기고 딱딱해지고 색소침착이 나타난다. 작은 물집 같은 것이 생기기도 한다. 습진이란 헬라어의 뜻은 “끓어 넘치고 식은 결과”이다. (262.2)
 영아 습진은 아주 흔하다. 보통 2개월에서 두 살 사이에 잘 생긴다. 습진은 가장 흔하고 빠르게 나타나는 알레르기이다. 영아 시절 습진이 있는 많은 아이들은 나중에 천식이나 건초열(hey fever)이 발생하기도 한다. 그들은 알레르기에 대한 가족력을 가지기도 한다. (262.3)
 II. 예방 및 치료
 1. 감염부위에 알로에 베라 젤을 바른다. (262.4)
 2. 수두(chickenpox)에서 설명한 오트밀 욕을 하면 도움을 받는다. (262.5)
 3. 모직, 나일론, 가죽, 그리고 다른 자극제들을 삼간다. 인조섬유도 피한다. 피부에 닿는 것은 면제품으로 한다. (262.6)
 4. 증상이 갑자기 오르면 온열치료를 적용하여 완화시킨다. 오트밀 욕의 수온을 42-43℃로 올려서 침수 욕을 하기도 하고 원적외선 온열매트를 사용하기도 한다. 온열치료 시간은 30분에서 1시간 정도로 조절한다. (262.7)
 5. 일부 약품이 습진을 일으키기도 한다. 한 여성은 피임약이 습진을 일으켜 퍼지게 했는데 피임약을 중단할 때까지 계속 습진이 악화되었다. 약에 의하여 습진이 생기지 않았더라도 약을 사용하면 습진이 악화된다. (262.8)
 6. 소다욕도 습진에 효과가 매우 좋다. 베이킹 소다 1컵을 욕조에 타고 수온을 35-37℃ 정도로 하여 30분에서 1시간 정도 침수 욕을 한다. 끝마칠 때는 욕조에서 일어나서 부비지 말고 타월로 물기를 말린다. 오한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262.9)
 7. 비누도 자극이 있으므로 가능한 한 사용하지 않는다. 손과 발 정도는 비누를 사용하고 몸의 다른 부분은 비누를 사용하지 않는다. 합성세제, 향수, 그리고 다른 화학제품들도 피부에 닿지 않도록 한다. (262.10)
 8.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식품이나 다른 자극제들은 일단 모두 제거한다. 제거한 음식물 중에서 꼭 필요한 것은 1주일 후부터 3-5일 간격으로 하나씩 점진적으로 사용한다. 또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것은 당분간 제거한다.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보편적인 것들은 우유, 계란, 초콜릿, 감귤류와 밀이다. 3-4주 동안에는 모든 종류의 낙농식품들을 제거한다. 민감한 사람에게는 우유 단백질이 조금만 들어가도 문제를 일으킨다. 거의 모든 베이킹 식품에는 분유가 들어간다. 식품의 라벨을 잘 확인하고 구입한다. 가장 안전하고 좋은 길은 집에서 직접 제배한 채소나 곡식을 먹는 것이며 아니면 자연농 식품을 구하여 먹는다. (263.1)
 9. 피부가 건조하고 까칠하면 올리브 오일을 바른다. (263.2)
 10. 가려운 곳은 옥수수 가루 2컵을 물에 타서 씻어주면 도움이 된다. (263.3)
 11. 아주 차거나 뜨거운 상극 온도를 피하고 급변하는 온도를 피한다. 피부를 항상 따뜻하게 한다. 체온이 정상상태를 유지하면 우리 몸의 자생력이 활성화된다. (263.4)
 12. 대상포진바이러스 등 감염에서 보호한다. 예방접종도 의사의 자문을 받고 맞는다. (263.5)
 13. 환부를 긁지 않도록 한다. 바셀린을 바르면 가려움을 줄이고 회복을 빠르게 한다. 피부를 씻은 후 곧 바셀린을 손바닥에서 문지른 다음 피부 결을 따라 부드럽게 바른다. (263.6)
 14. 붉은 클로버(red clover)와 골든 씰(golden seal) 차에 적신 냉 습포를 20분 정도 환부에 붙이는데 하루에 4회 적용한다. 피부의 수렴작용은 치료에 도움을 준다. 이 약초차를 마시기도 한다. 컴프리 차는 습포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마시지는 않도록 한다. 컴프리 차는 식도암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한다. (263.7)